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의 여가참여유형이 여가만족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1.03.15
  • Accepted : 2011.04.28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67(boys=191, girls=276)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by one way ANOVA, factor analysis, Chi-squar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inds of activities participated in according to gender. Second, among of the subscale of leisure satisfaction, boys showed higher scores in more education and physical satisfaction than girls, and in the sub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boys indicated a higher score in flow and happiness than girl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types of leisure activity. Fourth,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leisure activity statistically influenced psychological well-being. Fifth, leisure satisfaction partially influenced on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flow. Education and soci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eywords

References

  1. 고영태. (2006). 대학생들의 여가 유형별 여가참여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고천호. (2003). 고등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교육인적자원부. (2004). 주5일수업제 모든 학교 월1회 실시 방안 연구. 서울:교육인적자원부.
  4. 김경렬. (2010).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참여가 학교적응 및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경집. (2006).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여가 인식 및 여가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광중, 천윤석. (2009). 고등학생들의 여가 스포츠 활동 참가에 따른 참여동기와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3), 19-31.
  7. 김미향. (2004). 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태도 및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3(3), 419-427.
  8. 김보숙. (2009). 초등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 참여 실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영재. (2004a). 한국형 여가만족척도 개발과 타당도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43(1), 291-299.
  10. 김영재. (2004b). 대학생의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형여가만족요인 사용. 한국스포츠리서치, 15(2), 197-204.
  11. 김영태. (2002). 초등학생의 여가활동 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윤경. (2010). 초등학생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아개념과 체육수업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장훈. (2006). 주5일 수업에 따른 중학생들의 여가활용방안.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재운. (2003). 교사의 여가활동참여와 교직스트레스, 교직만족, 자아실현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김진곤. (2008). 주5일제 수업에 따른 초등학생의 여가 실태와 활성화 방안.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호영. (2005). 초등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혜진. (2009). 방과후 학교 생활무용 프로그램 참여가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남인수, 남경완, 김종철. (2009). 남자대학생의 여가참여 동기가 여가만족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2), 27-38.
  19. 문수정. (2009). 초등학생 댄스스포츠 특기.적성 교육 참여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민경훈, 김수겸. (2008). 직업군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의 인과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4), 21-32.
  21. 박교식 (2004). 주 5일제 수업실시에 따른 초등학생 여가활동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박동선. (2005). 중학생의 여가활동 참여가 사회성 발달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박미현. (2008). 중년여성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박상욱. (1998). 청소년의 여가활동 참가와 참가유형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박상철. (2001). 청소년의 여가활동 실태 및 유형과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 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박찬보. (2002). 고등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유형이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방우정. (1996). 청소년의 여가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배현주. (2008). 초등학생의 토요휴업일 여가활동에 대한 인식.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석정선. (2009). 대도시 군 지역 초등학교 학생의 여가활동 실태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신근춘. (2004). 고등학생의 여가활동 참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양명환. (1998). 신체활동과 심리적 행복감:인지적-정서적 상태 측정지의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9(2), 113-124.
  32. 윤종대, 정철규, 윤필규, 노미라. (2009). 중학생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이 학교생활적응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2), 125-134.
  33. 윤재성. (2004). 초등학생의 여가활동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임승엽. (2000). 기혼여성의 생활체육 참가와 운동몰입경험 및 가정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임영실. (2004). 청소년의 긍정적 자기지각과 주관적 안녕감 및 귀인성향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전형상, 장순용. (2002). 여가활동유형별 생활만족에 관한조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2, 41-256.
  37. 주경남. (2007). 초등학생의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여가활동실태. 공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지성현. (2006). 서울지역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여가활동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최길례. (2006). 가족의 여가활동유형과 여가 동기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6, 497-507.
  40. 최종연. (2004). 중학생의 여가활동 참가가 대인관계성향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최재형. (1999).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에 나타난 생활체육의 경향에 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최장호, 박영숙. (2003). 대학생의 여가활동유형과 생활만족에 대한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2(1), 347-356.
  43. 최혜란. (2000). 중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Baker, D. A., & Palmer, R. J. (2006). Examining the effects of perceptions of community and recreation participation on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75, 395-418. https://doi.org/10.1007/s11205-004-5298-1
  45. Beard, J. G., & Raghed, M. G.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 20-33.
  46. Neulinger, J. & Raps, C. S. (1972). Leisure attitudes of an intellectual elit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3), 196-207.
  47. Rodriguez, A., Latkova, P., & Sun, Y. Y.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application of activity and need theory. Social Indicators Research, 86, 163-175. https://doi.org/10.1007/s11205-007-9101-y
  48. Shaw, S. M., Kleiber, D. A., & Caldwell, L. L. (1995). Leisure and identity formation i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 preliminary examin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7(3), 245-263.
  49. Spiers, A., & Waler, G. J. (2009). The effects of Ethnicity and Leisure Satisfaction on Happiness, Peacefulness and Quality of Life. Leisure Science, 31, 84-99. https://doi.org/10.1080/01490400802558277

Cited by

  1. Elementary School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the Types of Mother & Peer Attachment and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vol.25, pp.5, 2016, https://doi.org/10.5934/kjhe.2016.25.5.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