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cture improvement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36초

대학 강의실의 음향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An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coustics Performance of the Lecture Room)

  • 한경연;서정석;김재수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1-366
    • /
    • 2004
  • This study has carried out in order to furnish the fundamental material to systemize the lecture room into multimedia in the future, by locating college lecture room as the subject of study, by compare and analyze on acoustic character in both before and after of each improvement. Thereby, now we are about to compare and analyze on physical character of room acoustics in both common lecture room before improvement and the modified multimedia-lecture room after its improvement. Observing the conclusion obtained through experiment, reverberation time in the modified 'lecture room after improvement' became shorter compare with the 'lecture room before improvement', definition and RASTI also improved to be suitable to lecture, and considered that it is able to elevate the intimacy with studying and teaching efficiency, as well.

  • PDF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현실적 수학교육의 적용 효과1) (Implementation effects of the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in B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 김원경;백경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3호
    • /
    • pp.435-456
    • /
    • 2005
  •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implementation effects of the Real mathematics Education(RME) i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this aim, two research questions are estabilished as fellows. (1) Is there any improvement of mathematical achievement in the class by RME's lecture than in the class by the mathematics text's lecture ? (2) Is there any improvement of mathematisation level in the class by RME's lecture than in the class by the mathematics text's lecture ? Before answering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RME.`s lecture notes and ordinary lecture notes are developed based on the learning principles of the RME and mathematics textbook respectively. Two classes are randomly chosen from a high school located at midium size city and assign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20 hours of the RME's lecture notes is administer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20 hours of the odinary lecture notes is administerd to the control group. It is shown that the class by RME's lecture is more effective in both of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the mathematisation activity than the class by the ordinary lecture. Hence, it is urged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at RME's context will be developed and the RME's lecture will be implemented in the other field of high school mathematics.

  • PDF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방안 연구 -"A" 대학의 강의평가 문항 개선 사례-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 Lecture Evaluation Tool in Higher Education -A case of improvement of a lecture evaluation questionnaire in "A" university-)

  • 박혜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033-504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A대학의 강의평가 문항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강의의 질 제고라는 강의평가의 본래 목적에 부합하도록 강의평가 문항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 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의미, 선행 연구의 강의평가 영역 및 요소, A대학의 현행 강의평가 도구의 내용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제안된 개선안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영역, 평가 항목, 평가 문항의 구성 체계를 재구성하였다. 둘째, 강의 개선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대학에서의 좋은 강의의 특징을 토대로 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선행 연구의 강의평가 도구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평가 요소 등과 관련한 문항을 개발하였다. 넷째, 강의의 질 제고를 위해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산술평균으로 결과를 제시할 수 없더라도 관련 문항을 개발하였다. 다섯째, 현행 강의평가 문항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부분을 수정 보완하였다.

SOFM신경망과 C4.5를 활용한 강의품질 개선 (Improving Lecture Quality using SOFM neural network and C4.5)

  • 이장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71-76
    • /
    • 2014
  • 대학, 기업 및 학원에서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주요 활동인 강의의 품질 개선이 필수적이다. 강의 수행 후 수강생에 의해서 평가되는 강의평가 설문 데이터는 강의 품질을 측정하고 개선할 수 있는 좋은 도구로서, 대부분 간단한 통계분석을 통해 처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의평가 설문 데이터를 SOFM (Self-Organizing Feature Map) 신경망과 C4.5와 같은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수강생의 만족도와 강의 성과 관련한 특징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개선이 필요한 강의 품질 요소를 구체적으로 도출하여 강의 품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을 국내 기업의 사내 강의에 적용한 결과, 만족도와 강의 성과 관점에서 미흡한 3개의 수강생 그룹에서 개선이 필요한 총 강의시간, 강의 자료, 강의 시간표 구성 요소를 개선하여 강의 품질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 comparison of two differential methods for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lecture- and experience-based learning program

  • Jung, Lan-Hee;Choi, Jeong-Hwa;Bang, Hyun-Mi;Shin, Jun-Ho;Heo, Young-R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1호
    • /
    • pp.87-91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lecture- and experience-based methods of nutritional education as well a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n effective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SUBJECTS/METHODS: A total of 110 student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in Jeollanam-do were recruited and randomly distributed in lecture- and experience-based groups. The effects of education on students' dietary knowledge, dietary behaviors, and dietary habits were analyzed using a pre/post-test. RESULTS: Lecture- and experience-based methods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otal scores for dietary knowledge in any group, although lecture-based method led to improvement for some detailed questions. In the experience-based group, subjects showed significant alteration of dietary behaviors, whereas lecture-based method showed alteration of dietary habits. CONCLUSIONS: These outcomes suggest that lecture- and experience-based methods led to differential improvement of students' dietary habits, behaviors, and knowledge. To obtain better nutritional education results, both lecture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need to be considered.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한 공과대학 강의평가 예측요인 탐색 (Exploration of the Predictors of Lecture Evaluation in College of Engineering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 이지연;이영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46-52
    • /
    • 2018
  • In general, lecture evaluation has been used in most universities as an important criterion to evaluate quality of education. This study is exploratory research on the predictors that determine lecture evaluation in college of engineering to g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For the exploration of predictors of lecture evaluation, the data of lecture evaluation in A College of Engineering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used, and Decision Tree Analysis was utilized as an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urned out to be the most distinct predictor comparing with those of course and instructor at lecture evaluation in college of engineering. That is, as various elements other than teaching competency influence lecture evaluation in college of engineering, it is necessary to be more careful in evaluating quality of lecture or teaching competence. Thus, a follow-up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adjust the influence by the predictors that instructors can hardly control.

통계적 접근법을 기초로 하는 지능형 교육 지원 시스템 (The Statistical Approach-based Intelligent Education Support System)

  • 정준희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1호
    • /
    • pp.109-123
    • /
    • 2012
  • 기존 학습 시스템에서는 선수 지식이 없는 학생에게 너무 어려운 내용을 제공해서 실제로 학생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이미 해당 내용을 알고 있는 학생에게 같은 내용의 콘텐츠를 반복 제공해서 학생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논문에서는 학생들에게 가장 적절한 난이도의 강의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난이도는 상대적인 개념이라서 어떠한 학생 집단에게는 A라는 콘텐츠가 B라는 콘텐츠보다 쉬울 수 있고, 어떠한 학생 집단에게는 B라는 콘텐츠가 A라는 콘텐츠보다 쉬울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논문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고려해서 학생들에게 적절한 강의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논문 제안 시스템에서 전체 강의 콘텐츠는 여러 개의 강의 모듈로 나눠진다. 학생은 강의를 수강하기 전 패턴인식 문항이라고 하는 선수 테스트 문항을 풀고, 시스템은 채점 결과에 따라서 여러 개의 강의 모듈들 중 해당 학생에게 가장 적절한 강의 콘텐츠를 선택해서 제공한다. 시스템이 학생에게 전달할 강의 모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학생의 패턴인식 문항 답안과 강의 모듈들의 난이도가 반영된다. 강의 모듈들의 난이도는 패턴인식 문항을 풀었던 모든 학생들의 답안 채점 결과가 반영되므로 학생의 답안 채점이 진행될 때마다 따라 계속 변경된다. 논문 제안 시스템은 이렇게 학생들의 답안을 이용해서 해당 학생 집단의 상대적인 지식을 파악하고 각 강의 모듈들의 난이도를 지정한다.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전체적인 강의 콘텐츠의 순서가 강의 진행에 상관이 없는 경우에만 개선 효과가 적용된다. 1단원의 내용을 알아야 2단원의 내용을 배울 수 있는 형식의 강의 콘텐츠에서는 논문의 제안 방법이 적용되지 않는다. 논문에서는 강의 순서가 중요하지 않은 과목들 중에서 영어 문법 강의를 바탕으로 제안 방법이 설명되었다. 제안된 내용이 학습 환경에 적절하게 적용 된다면 기초 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학생은 기초 지식을 충분하게 배워서 보다 어려운 내용의 콘텐츠를 배울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고, 해당 단원의 내용을 이미 알고 있는 학생은 알고 있는 내용을 다시 배우지 않는 방법으로 시간을 절약해서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학습하게 되는 등 많은 개선 효과가 제공될 것이다.

사이버 강좌에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사례 연구 (Case Study for Increasing the Learning Effect In Cyber Lecture)

  • 엄종석;조세홍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1230-1237
    • /
    • 2013
  • 사이버 강의는 전통적인 수업의 대안으로써 주목을 받았으나, 교육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교육 공학이 접목된 사이버 강좌의 기획력과 최근 컴퓨터 및 네트웍 등의 기술 발전의 결합은 사이버 강좌 교육의 효율성을 상당히 제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의 지향점은 사이버 강좌 교육의 학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이버 강좌 제작에 있어서 중점이 되는 요소들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제작된 사이버 강좌는 강좌의 학습 효율성을 극명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일반적인 이론교육이 아닌 소프트웨어 실습이 중심이 되는 컴퓨터 교과목이다. 제작된 강좌의 학습 효율성을 위하여 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에 설문 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후 통계적인 처리를 통하여 사이버 강좌의 학습 효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새로운 미디어 환경의 대중강연이 공학교육 발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ublic Lectures on the Develop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 한경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6호
    • /
    • pp.52-60
    • /
    • 2017
  • This study analyzes the public lecture conducted by a university in Seoul and examined how a public lecture on the emergence of a new media environment could influence the actual field of engineering education. The current public lecture is changing away from past patterns which have been conducted on a daily, irregular and offline basis. Online lectures such as Mooc programs, as well as broadcast programs in the Internet media environment,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with mainstream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how public lecture experiences of engineering professors have affected the improvement of learner centered education and their communication skills. It also examines how public lecture in the field can affect to enhance public understanding of engineering. The advent of a new media environment is likely to inject new vitality into a college lecture that seems to fall behind in the pas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eliance on the teaching capabilities of professors become higher according to the emphasis on ac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genre of public lecture is expected to greatly helpful to expand future engineering education methodologies.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서울·경기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a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 Focusing on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in Seoul and Gyeonggi -)

  • 박숙현;정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84-292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lements that are required and that need improvement in the contents of dietary life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importance-satisfaction of a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for dietary life education trainees. The results of the rank test for the satisfactory elements of dietary life education were in the order of competence of instructors, educational contents, time of educ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ffordability of tuition.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construction of the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showed that "suitable contents for the theme of the class", "contents and construction of practice class", "diversity of practice menu" and "diversity of educational contents" had hig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scores and therefore, could be maintained at their current levels. Meanwhile, "adequacy of class time" and "contents and construction of theory class" showed low importance and satisfaction scores, requiring a little effort. Whereas, "time and construction of group practice", "structure of textbook for class" and "duration of course and number of classes" showe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compared to importance, requiring major efforts for improvement. Similarly, analysis of the lecture element from dietary life education showed that "professional lecture by instructors", "lectures suitable for themes" and "lecture applicable in real life" ha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compared to importance, requiring major efforts for improvement. In additio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rom dietary life education showed that "adequacy of lecture room space", "cooking equipment", "diversity of cooking utensils" and "sanitary condition of cooking utensils" also require major efforts for improvement. Therefore, dietary life education should not be executed with a simple delivery of knowledge but with both theory and practice classes to increase its application in real life, and active and specific efforts are required to nurture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establish educational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