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Plans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24초

유아교사의 다중지능과 교수학습계획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lans)

  • 황혜신;오연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8호
    • /
    • pp.85-9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this purpose, multiple intelligences test(K-MIDAS) was conducted on 80 teachers in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sangnam-do and they were asked to map out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bout topics. The data were analys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PC program(16.0 version).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eachers had the highest levels in interpersonal intelligence, followed by music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accounted for an especially high proportion of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lans. The higher a preschool teacher's physical activity intelligence,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physical exercise, music, and logic and mathematics in their teaching plans. It was also found that preschool teachers with higher levels linguistic intelligence made more plans on self-understanding, whereas preschool teachers with higher levels of intelligence in the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of nature made more plans on spatial area.

J 대학교 재학생의 학습역량 실태조사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learning competences in students at a college)

  • 송경희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1-3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competencies of students at a college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30, 2017,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foster learning competencies in college years, which lay the foundation for work and social lives. 1. The learning competencies of the subjects consisted of academic vision, student identity, cognitive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learning management and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Out of five points, they scored the highest in academic vision and student identity with 3.34, followed by learning management with 3.20,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with 3.18, emotional regulation with 3.16 and cognitive regulation with 3.14.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vision according to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military service experience and career plans.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 identity and cognitive regulation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military service experience and career plans.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management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grade point average,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6.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fathers, commuting time,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As they were poorest at the cognitive regulation area among the areas of learning competencies,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s that deal with how to study, learning process, how to take notes and arrange them, how to link different pieces of acquired knowledge and how to map out study plans should be developed to give support to students.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Lesson Plans

  • Hong, Jung-Lim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1-18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sson plans from third to sixth grades of science and to find out teaching strategies in respects of learning functions provid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education university. On the whole, to control students' learning process preservice teachers used more shared-regulation strategy than strong teacher-regulation one. Teaching activities for regulative learning function were most used in strategy of strong teacher-regulation, and in strategy of shared-regulation those for cognitive learning functions were most used. But teaching activities for affective learning functions were used a little considered in both teaching strategies. In introduction step of instruction, affective and regulative learning functions were more instructed by strong teacher-regulation strategy and cognitive learning functions were more instructed by shared-regulation strategy. The affective, cognitive, and regulative learning functions were largely planned by shared-regulation teaching strategy in development. The regulative learning functions were planned by strong teacher-regulation strategy than by shared-regulation strategy and affective learning functions were considered a little bit in consolidation. There was a tendency that strong teacherregulation strategy was increased in lessons for fifth and sixth grade.

의생활 영역 학습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기술ㆍ가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for Clothing Behavior)

  • 전은주;이희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5-7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lesson plans, study aids and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for the clothing units in TechnologyㆍHome economic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It's also meant to utilize these materials in instruction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more direct and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and make them capable of leading a successful life in the 21st century. 1. The teaching plans were mapped out for the clothing units in TechnologyㆍHome economics class for middle school grade 2, which were all covered by eight textbooks: clothing and life(the function of clothes, my attire, wearing a suit, and wearing Korean traditional dress), the preparation of garments(the type of fiber, understanding of stuff, and preparing garments), and cloth care and storage (washing, storage, alteration and recycling). 2. The lesson plans included information on the name of units, period, learning objectives, teaching environment, materials, learning content, introduction, development, remarks, topping off, announcement for next session, and related Web sites. 3. To raise the effect of education, study aids were developed to be appropriate for the units. The lesson plans and study aids for the clothing part of TechnologyㆍHome economics class for middle school grade 2 would serve to help students build the right clothing habits, and are expected to serve as good teaching materials.

  • PDF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Situated Learning Theory-Applied Teaching-Learning Plans for the 'Clothing and Self-Expression' Unit of Seventh Grad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 황혜민;이예영;안소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7-77
    • /
    • 2013
  •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 가정 수업에서 상황학습이론이 학습자들의 의생활 영역에 관련한 의식과 태도 및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목표로 가정교과의 중학교 1학년 '옷차림과 자기 표현' 단원에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하여 총 3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서울시 B중학교 1학년 중에서 실헙집단 2학급에는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 2학급에는 전통적 강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의생활 영역에 관련한 의식과 태도와 수업만족도 검사를 실시하고 SPSS 12.0을 이용해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생활 영역에 관련한 의식과 태도는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후검사에서는 상황학습에 따른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 강의 수업을 받은 비교집단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상황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대체로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이러닝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인터넷 중독 해소 지도 방안 (Teaching Plans to Resolve Internet Addiction using e-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 김현배;유선봉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11-118
    • /
    • 2010
  • 인터넷 중독에 대해서는 심리적 또는 사회적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닝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을 해소 방안을 탐구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에 중독된 초등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터넷 소프트웨어의 종류를 확인하고, 인터넷 중독의 요소를 확인한다. 그리고 사이버 가정학습에서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인터넷 중독을 해소 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모색한다.

  • PDF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건축시공 교육과정 운영방안 (Plans for Building Construction Curriculum Operation Applied with Team-based Learning)

  • 조민진;김성빈;김재엽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7-88
    • /
    • 2021
  • Due to the effects of COVID-19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struction engineering education has been required to change. As part of efforts to respond to changes, innovative teaching methods such as team-based learning have been introduced, but specific measures are still lack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d plans for building construction curriculum operation applied with team-based learning, building construction course operation applied with team-based learning, and building construction course grade evaluation applied with team-based learning.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operation plans can be used in educational settings where team-based learning is to be applied in a changing class environment.

  • PDF

중학교 「기술·가정」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단원에 적용한 스마트 교수·학습 과정안과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ba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a smart textbook for 'healthy diet and meal plans'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 최송은;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5-114
    • /
    • 2014
  • 본 연구는 21세기 학습 환경과 학습자가 변화되고 있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중학교 기술 가정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가정과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과 스마트교재를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스마트교재를 평가하고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가정과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한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기본으로 하여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식생활 스마트교재를 제작한다. 셋째, 개발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 수업을 실행한 후에 이 수업을 평가한다. 연구 과정은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2009 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 교육과정과 해설서, 성취기준 성취수준 분석 및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관련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상하고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육과정의 '청소년의 생활' 단원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교과서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내용을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내용을 토대로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청소년의 생활'에 속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중 2개의 소단원인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와 '균형 잡힌 건강 식생활의 실천'으로 각 2차시씩 총 4차시 분량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 및 학습 자료 등의 교수 학습 자료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인 DocZoom을 이용하여 스마트교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성 및 스마트교재 활용 수업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사전 사후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적용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관련 스마트교재를 수업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을 토대로 제작한 소단원 2개 분량의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를 이용하여 2014년 6월 2일부터 6월 13일까지 경기도 광명에 있는 남녀공학의 S 중학교 1학년 각각 3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1주일에 2시간씩 기술 가정 수업에 직접 활용하였다. 총 2주간의 수업을 실행한 후,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고, 평가 단계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설문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쌍표본 t-test를 실시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의 수업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에서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t=-3.99, p<.001),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t=-2.61, p<.05), 학습에의 주도성 및 독립성(t=-4.77, p<.001), 학생들의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t=-3.83, p<.001)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 수업에 대한 평가를 한 결과,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수업 자료를 찾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으며, 동영상과 도표 등의 관련 자료를 바로 볼 수 있어 이해하기 쉬웠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다수의 학생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편리하였으며, 수업이 더 재미있어졌다고 응답하는 등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이용한 수업을 흥미로워 하였으며, 학습에 도움이 되는 등의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정과에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은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학습에서의 주도성 및 독립성,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지속가능한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the Sustainable Dietary Life Teaching-Learning Plans to Implemen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 이정은;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49-16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식생활 단원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한 학습 요소와 수업 주제를 선정하고, 교수·학습 과정안 및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타당성 및 현장 적합성을 검증받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분석, 설계, 개발, 평가 단계를 거쳐 실행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단계에서는 17개 지속가능목표, 169개 세부목표 중 식생활과 관련한 세부목표를 추출하고,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5종의 식생활 단원 내용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할 교수·학습 과정안에서 다룰 수 있는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설계 단계에서는 교과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바람직한 식생활', '식품의 생산', '식품의 유통', '식품의 소비 및 폐기'로 수업 주제를 선정하였다.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체 수업의 총괄목표를 설정하고 개발될 식생활 영역 차시별 수업의 학습 목표, 학습 내용, 학습 방법과 함께 관련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셋째, 개발 단계에서는 총 9개 주제, 11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전문가에게 검증받을 타당도 평가지를 개발하였다. 넷째, 평가 단계에서는 가정과 교사 5인의 전문가를 통해 교수·학습 과정안의 현장 적합성과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검토의견을 토대로 총 9개 주제, 13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중학교 기술·가정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에 인성교육 요소와 STAD 협동학습 전략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s applying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and STA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focusing on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박다온;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1-109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교 2009년 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 내용에서 가정생활 영역에 속하는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을 중심으로 하여 인성 교육 요소와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로 수행하였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는 선행 연구 고찰, 기술·가정교육과정 및 12종 교과서의 '주거와 거주환경'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선정한 인성교육 요소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의 목표와 내용 구성, 차시별 활동내용, 학생평가자료, 학생용 활동 자료 및 교사용 자료 등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에 적용할 수 있는 총 8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 학생 활동지, 개인학습지(형성평가지) 등을 개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의 1차 타당도 평가를 가정교육학 전공 교수 1인과 가정 교육학 박사학위 소지자인 현장 중등교사 2인에게 받고, 2차 타당도 평가는 현직 가정과교사 7인으로부터 검토 받아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수정하여 최종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완성하였다. 타당도 평가 결과,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에 대한 타당도가 대체로 높은 수준에서 확보되었으며,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성교육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인성교육 요소와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이 현장 교사들 및 교육과정 개발자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