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Participation Intention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교육서비스 품질과 참여의도가 교육성과 향상에 미치는 연구: Action Learning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n Educational Performance through a Case of Action Learning)

  • 이돈희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847-86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participation inten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 action learning class. Methods: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s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hypothese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one of action learning clas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educational service quality(reliability, assurance, tangibles, empathy, information accuracy, and relationship quality) positively affects participation intention which in turn improve educational performance, including aspects of before and after class of action learning. In addition, participation intention in classroom positively affects educational performance with both groups. For after class of action learning, the result confirms the effect of responsivenes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participation intention, however, in before class of action learning there is not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Conclusion: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can be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by the instructor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es who want to apply the active learning forum in classroom.

유아코딩교육에 관한 원장의 지지, 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및 코딩교육 실행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The Effect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on the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 김보현;이홍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25-41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a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a structural model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fant teache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between a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positively mediates the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n particular,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ding-related learning communiti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infant teachers' intention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based on total effective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 abov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intention of infant teacher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learning community related to coding education and encourage participation from infant teachers.

평생교육 참여유형별 시민참여교육 참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the Participation in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by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 Focusing on Chungcheongnam-do)

  • 정재헌;임세영;강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31-340
    • /
    • 2018
  • 본 연구는 '2016 충남도민 평생교육요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시민참여교육 기초실태를 분석하고, 영역별 평생교육 참여 관심과 참여의사를 유형화 하여 유형별 시민참여교육 참여관심과 참여의사 비교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충남의 시민참여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6 충남도민 평생교육요구조사 4,108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평생교육 참여 관심과 참여의사에 따라 3개의 하위 집단으로 유형화 되었고, 학습누리형, 학습편중형, 실버학습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학습누리형 집단은 평생교육영역 전반에 걸쳐 참여하면서 즐기는 집단이다. 학습편중형 집단은 보편적으로 평생교육이 직업능력교육, 문화예술교육, 인문교양교육에 한정되어 있다고 인지하는 집단으로 3가지 분야에만 관심과 참여의사가 있는 집단이다. 실버학습형 집단은 전형적인 노인학습자의 특성을 보이고 있는 집단으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가 집중되고 있는 집단이다. 셋째, 학습누리형 집단은 참여경험이 두번째로 많고, 참여관심과 참여의사가 가장 높은 집단이며, 학습편중형집단은 가장 많은 집단이며, 참여관심과 참여의사는 두 번째로 높은 집단이다. 실버학습형 집단은 참여경험, 참여관심, 참여의사가 가장 낮은 집단이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분야에서 시민참여교육 활성화 방안을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해운·항만물류 관련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의도와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ntion of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Outcome of Adult Learners in Shipping & Port Logistics)

  • 최성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65-182
    • /
    • 2020
  • 최근 정부는 대학이 학령인구 감소와 등록금 수입 감소로 위기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하였으며, 이러한 학령인구 구조 변화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대학이 평생교육 중심의 학사구조와 교육과정으로 개편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인 해운·항만물류 관련업에 종사하는 성인학습자의 경우 열악한 근무환경, 주야간 교대근무, 주말이나 야간근무 등으로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수·광양항 해운·항만물류 관련업에 종사하고 있는 평생교육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참여의도와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성인학습자들의 평생교육 참여 기회를 증대시키고 학습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평생교육 참여의도와 이들이 학습성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분석결과, 학습참여 의도의 목표지향형이 학습성과의 개인적 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학습지향형이 학습성과의 사회적 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학습성과와 학습참여 의도의 학습지향형이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학습한 후 얻게 되는 개인적 변화나 이익을 반영하는 학습성과가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성인학습자들의 평생교육 참여 증대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교양댄스수업 참가자가 인식하는 교수행동과 수업몰입 및 지속적 참여의도의 구조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Teaching Behavio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Dance Classes, Lecture concentr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 정문미;원영신;이민규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5호
    • /
    • pp.593-60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댄스수업참가자가 인식하는 교수행동, 지속적 참여의도, 그리고 수업몰입의 구조관계를 파악하고 수업몰입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의 교양댄스수업에 참가하고 있는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비확률 표본표집법 중 유의표본표집법을 이용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대학에서 총 31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댄스수업참가자가 인식하는 교수행동은 수업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양댄스수업참가자가 인식하는 교수행동은 지속적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교양댄스수업참가자가 인식하는 수업몰입은 지속적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양댄스수업참가자가 인식하는 교수행동과 지속적 참여의도의 관계에서 수업몰입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교육 참여동기, 만족도와 지속참여의도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among Media Education Motiva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ous Participation)

  • 양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24-131
    • /
    • 2017
  •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미디어 활용이 증가하면서 학자들과 시청자주권 관련 시민단체들은 미디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그렇지만, 미디어 교육의 효과와 참여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 참여자들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와 미디어 교육 지속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와 부산의 시청자미디어센터 교육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활동지향 동기가 참여자들의 만족도와 교육 지속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미디어 교육프로그램 계발에 활용하여 시청자의 미디어교육 참여를 더욱 확대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의 시간등록제 학습을 경험한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학습자특성, 학습만족,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of learners who have experienced university part-time registration system on learner characteristics, learn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 이상우;오현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915-922
    • /
    • 2024
  • 현재 한국의 경우 저출산 고령화의 분위기에 따라 교육 대상층의 학습능력 향상에 관심이 높게 발생하고 있다. 인구가 줄어드는 딜레마는 결국 가용 가능한 인구자원의 활용성을 효율적으로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부담을 유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동기(활동지향동기, 학습지향동기)가 학습자 특성(학습가치, 학습효능감)과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결과적으로 평생학습 참여 지속의도(추천의도, 관계지속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동기는 학습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이렇게 형성된 감정은 추천의도와 관계지속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또한 학습지향동기는 학습만족과 학습자의 특성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학습효능감의 경우 추천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지향점과 개인의 성취방향 그리고 추천의도와 관계지속의도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관계유지 및 학습자의 특성에 기인한 교육체계의 기초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OSRL), Satisfac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of Online Courses in University

  • Hanho JEO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4권2호
    • /
    • pp.203-23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VID-19-induced sub-dimensions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OSRL) and satisfaction in online courses conducted in the 'post-COVID-19 era,'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such as 'course planning,' 'device type,' and 'course repetit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structs a measurement model with sub-dimensions of Environment Structuring, Learning Strategy, Help Seeking, and Self-Evaluation as components of OSRL.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who enrolled in online courses offered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t University A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several key insights. First, among the sub-dimensions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Environment Structuring, Learning Strategy, and Self-Evaluation significantly influence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Seco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ir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ng in such courses. Third, 'course planning' during online course hours and 'course repetition'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dimensions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some future implications and challenges of online courses.

중노년 전업주부의 인적자원개발 인식과 의향 - 평생학습참여 중심으로 - (Perception and participate intention to HRD among Housewives of the Mid-old aged - Focused on the Participate in lifelonglearning -)

  • 전윤미;강기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4권1호
    • /
    • pp.41-5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middle-old aged housewive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s a par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study recruited 163 full-time housewives over age 40 years who live in C City. As a result, first, 87.1 percent of all respondents, or 142, said they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in the fut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cross-checking by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variables. Additionally, we used cluster analysis to measu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tention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middle-old aged full-time housewives. The perception variable of lifelong learning is: First, Cognitive degree, second, importance, third, activation awareness. Cluster 1(n=16) was divided into generally low-perception types, such as cognitive degree, importance, and life-long learning activation of the C city, while Cluster 2(n=61) was classified as a type of person who thinks that lifelong learning is important to life and Cluster 3(n=86) was generally classified as a type with a higher lifelong learning perception. and we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by all cluster Lastly, we found that participants who valu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measures of cognition than those who did not value it. Based on these results, we advocates social change that encourages the cultivation of talent through lifelong learning programs that can positively affect one's unique identity, not just wife and mother,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머신러닝의 로지스틱 회귀를 활용한 MZ세대와 시니어 세대의 기부의도 분석 (Analysis of Donation Intention of MZ Generation and Senior Generation Using Machine Learning's logistic Regression)

  • 오민정;전익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2
    • /
    • 2024
  •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declining donation intention by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this end, in order to predict factors that affect donations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the senior generation,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clud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applied to build a model to determine variables that affect donation intention, and provide statistical verification and evaluation indicators. In this study, differences in donation intention by generation were expected as a variable affecting donation intention, and the senior generation was expected to show a higher donation intention tendency than the younger generation. However, although the research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younger generation showed a higher intention to donate, and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to mean that value consumption and ethical consumption, which are important to today's MZ generation, also influenced donation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in the amount of donations, and higher donation amounts were confirmed among the senior generation (those in their 50s or older) than the younger gener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revious donation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future donation intention, and the more motivation and importance of donation and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nline and offline, the more active one became in dona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