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26/jkfrma.2020.24.1.003

Perception and participate intention to HRD among Housewives of the Mid-old aged - Focused on the Participate in lifelonglearning -  

Jun, Yun-mi (Dep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ang, Ki-jung (Dept. of Social Welfare, Backseo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4, no.1, 2020 , pp. 41-5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middle-old aged housewive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s a par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study recruited 163 full-time housewives over age 40 years who live in C City. As a result, first, 87.1 percent of all respondents, or 142, said they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in the fut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cross-checking by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variables. Additionally, we used cluster analysis to measu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tention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middle-old aged full-time housewives. The perception variable of lifelong learning is: First, Cognitive degree, second, importance, third, activation awareness. Cluster 1(n=16) was divided into generally low-perception types, such as cognitive degree, importance, and life-long learning activation of the C city, while Cluster 2(n=61) was classified as a type of person who thinks that lifelong learning is important to life and Cluster 3(n=86) was generally classified as a type with a higher lifelong learning perception. and we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by all cluster Lastly, we found that participants who valu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measures of cognition than those who did not value it. Based on these results, we advocates social change that encourages the cultivation of talent through lifelong learning programs that can positively affect one's unique identity, not just wife and mother,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Keywords
mid-old age women; HRD; Participation in lifelongeducation; Perception and participate intention; Housewif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민정.권소영.임희정.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소기업 여성인력활용제도 정착 및 확산을 위한 정책과제: 경력개발과 일.가정 양립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 강희숙.이춘희(2017). 중년여성의 정신 심리적 요인에 아로마테라피가 미치는 효과-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인문사회21, 8(1), 757-774.
3 김경아(2016). 여성의 경력단절 원인 및 재취업 방안연구. 한국시민윤리학회보, 29(2), 93-113.
4 김동배.정규형.이은진(2012). 노인평생교육 참여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2(3), 801-817.
5 김선미.이기영(2002).인적자원 개발과 활용 관점에서 본 전업주부정책. 한국생활과학회지, 11(1), 1-18.
6 김승경.이나영(2006). 학제 간 학문으로서의 여성학: 여성학(과)의 정체성 및 제도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2(1), 35-76.
7 김지영(2014). 생애사를 통해 본 여성주의 인식전환 경험연구.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혜숙(2003). 성인학습자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남인숙(2010). 여성교육과 정책을 통해서 본 한국여성의 변화. 사회이론, 38, 67-97.
10 두경실(2017). 중장년층의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노후생활만족도 예측의 관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류종선(2015) 영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고독감,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원과 학습된 무기력.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국정기획자문위원회(2017).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서울: 진한엠앤비.
13 박성미(2010).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욕구형태에 따른 진로행동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165-179.
14 박은희(2017). 평생학습 참여가 여성 성인학습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서명희(2018). 평생학습의 사회적 자본 형성 연구 :평생학습도시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성진숙(2010). 평생교육 여성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소병한.김지현.송지훈(2019). 프론티언 경력의 통합적 개념모형개발. HRD연구, 21(2), 87-117.
18 송은주(2011) 평생교육 참여 동기가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송지연(2014).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신정례.곽종형(2017). 평생교육프로그램 만족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응력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 중심으로. 사회복지경영연구, 1(1), 131-150.
21 이민영.이유우.한주희(2015). 문화예술 활동과 중년 여성의 심리적 웰빙: 스트레스와성격의 조절적 매개역할. 여가학연구, 13(4), 1-24.
22 이석진.이승진(2018) 평생교육과 사회적 자본형성 간의 연관성 분석. 평생학습사회, 14(01), 71-100.
23 이운해(2018). 중장년층 라이프 스타일이 O2O 서비스이용의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이호숙(2019). 은퇴기 여성의 일-가족 생애이야기와 '은퇴'의 의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이화영(2018). '그림책 코칭맘'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전업주부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임정임(2016). 평생학습도시 정책 집행과정에서의 지자체 실무자와 지역주민이 인지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연구: 광명시와 남양주시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우무희(2017). 중장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윤혜림(2019). 비형식교육이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장선화(2015). 중년기 전업주부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문학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전경숙.정태연(2012). 한국사회 중년기 전업주부의 삶의 재평가.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1), 19-44.
31 조경욱.홍성효(2019). 지방 중고령 여성의 노후준비도 및 노후준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24(3), 419-435.
32 정미경(2009)지역사회 참여 평생학습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생의 의미와 사회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평생교육학연구, 15(1), 127-154.
33 정영자(2011). 울산광역시 베이비붐세대의 노후 생산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12(4), 155-184.
34 정현수(2010).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참여와 자기효능감에 관한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차갑부(2014). 평생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36 최성은(2017). 무엇이 한국의 고학력 여성의 노동시장참여를 어렵게 하는가. 페미니즘연구, 17(1), 145-192.
37 최유연(2019). 기업체 여성인력의 경력역량 측정도구 개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최윤정.정해숙.장희영.이현주(2016). 취업 및 비취업 여성의 역량 실태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 2016(-),1-318.
39 통계청 홈페이지 통계보도(2018.12.13). 한국의 사회동향 2018. http://kostat.go.kr/sri/srikor/srikor_ntc/1/index.board?bmode=read&aSeq=372007
40 평생교육통계(2018). 교육통계서비스, 테마통계, 주요지표, 평생통계. https://kess.kedi.re.kr/index
41 한국교육개발원(2018).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교육부.
42 황승회.김혜연(2014).중년기여성의 노후준비도 및 노후생활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6), 73-87.   DOI
43 Levinson D. J., Darrow C.N., Klein E.B., Levinson M.A. & McKee B., (1978) Seasons of a man's life. New York: Academic Press.
44 Erik H. Erikson.(1976). Life History and Historical Moment, New York : W. W. Norton & Co., 127-129.
45 Russo, M., Guo, L., & Baruch, Y. (2014). Work attitudes, Career success and health: Evidence from China.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6 Rossen, E. K., Knafl, K. A., & M. Flood(2008). Older Women's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ctivities, Adaptation & Aging, 32(2), 73-8.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