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Expectancy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8초

UTAUT에 기반한 m-learning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m-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UTAUT)

  • 송형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123-12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UTAUT에 기반한 m-learning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각 요인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289부의 설문지를 SPSS 22.0,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보안성이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다양성과 경제성도 성과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학습자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런 결과는 UTAUT에 기반한 m-learning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시사점이 있다. 이와 같은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UTAUT에서 제시된 요인 중 일부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에는 대학생 외에 일반인에 대한 분석도 포함하여 UTAUT에 기반한 m-learning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변수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보완하고자 한다.

Predicting Online Learning Adoption: The Role of Compatibility, Self-Efficacy,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Acquisition

  • Mshali, Haider;Al-Azawei, Ahmed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3호
    • /
    • pp.24-39
    • /
    • 2022
  • Online learning is becoming ubiquitous worldwide because of its accessibility anytime and from anywhere. However, it cannot be successfully implemented without understanding constructs that may affect its adoption. Unlike previous literature, this research extends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with three well-known theories, namely compatibility, online self-efficacy, and knowledge sharing and acquisition to examine online learning adoption. A total of 264 higher education students took part in this research. Partial Least Squares-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valuate the proposed theoretical model. The findings suggested that performance expectancy and compatibil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behavioral intention, whereas behavioral intention, facilitating conditions, and compatibility had a significant and direct effect on online learning's actual us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knowledge acquisition, knowledge sharing, and online self-efficacy were determinates of performance expectancy. Finally, online self-efficacy was a predictor of effort expectancy. The proposed model achieved a high fit and explained 47.7%, 75.1%, 76.1%, and 71.8% of the variance of effort expectancy, performance expectancy, behavioral intention, and online learning actual use, respectively. This study has man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have been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기대 - 가치와 자기효능감이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ectancy-Value and Self-Efficacy on the Satisfaction with Metaverse Learning)

  • 신지희;정동훈
    • 정보화정책
    • /
    • 제29권4호
    • /
    • pp.26-42
    • /
    • 2022
  • 본 연구는 학습자 관점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 메타버스 교육플랫폼을 사용하기 전후 수업에 대한 기대와 가치가 충족되었는지를 평가하고, 2) 메타버스 기반의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자기효능감과 기대-가치 변인을 통해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기대-가치는 학습효과와 소통, 수업관여도, 그리고 학습 태도로 평가했고, 자기효능감은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 그리고 자신감으로 살펴보았다. 서울시 동북부의 한 대학교에서 메타버스 교육플랫폼을 활용한 교과목을 신청한 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학습자는 메타버스를 사용하기 전에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기대와 가치 평가가 높았으나, 이용 후 모든 것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만족도 평가 결과, 기대-가치 평가항목은 메타버스 교육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성이 일부 나타났는데,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 중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 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이 이제 막 시작하는 상황에서 학습자 중심의 메타버스 기반 교육 평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과학과교육 강의에서 예비 초등교사들의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 교수효능감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Regards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n Science Education Courses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 전경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8-14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focus/ability-meritocracy/cooperative climate) and achievement goals (mastery/performance-approach/performance-avoidance) in science education courses jointly contributed to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A path analysis supported a causal model in which the perception of the learning focus influenced the mastery goal, which in turn influenced the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The perception of learning focus also had a direct effect on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The perception of ability-meritocracy influenced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via the performance-approach (positively) or, conversely,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negatively). No link .was deduced from the perception of cooperative clim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 PDF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의도 영향변인 규명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Mobile Learning in Cyber University)

  • 주영주;함유경;정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77-49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및 개인혁신성향이 노력기대와 성과기대를 통해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가설적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2013년도 2학기에 W사이버대학에서 웰빙건강학부 한방건강학과의 전공과목 수강생 279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시스템품질과 개인혁신성향은 노력기대에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및 개인혁신성향은 성과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노력기대와 성과기대는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러닝 학습자의 지속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모바일러닝의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 및 서비스품질을 높이고, 학습자의 혁신성향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Acceptance of Moodle as a Teaching/Learning Tool by the Faculty of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Studies at Sultan Qaboos University, Oman based on UTAUT

  • Saleem, Naifa E.;Al-Saqri, Mohammed N.;Ahmad, Salwa E.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5-27
    • /
    • 2016
  •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acceptance of Moodle as a teaching and learning tool by the faculty of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Studies (IS) at Sultan Qaboos University (SQU) in the Sultanate of Oman. The researchers employed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on the behavioural intention of SQU faculty members to employ Moodle in their instruction. Data were collected by the interview method. Results showed the emergence of two faculty groups: one uses Moodle and one does not use Moodle. In group that uses Moodle,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and behavioural intention are positively related, thereby influencing the faculty members' use behavior.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UTAUT constructs, four additional factors affect Moodle's adoption. These moderators are gender, age, experience and the voluntariness of use, amongst which gender exhibits the least influence on Moodle adoption. That is, male and female faculty generally both use the learning platform. Although some members of the group that does not use Moodle exhibit optimistic performance expectancy for technology, the overall perception in this regard for Moodle is negative. The other UTAUT constructs exert no influence on this group's adoption of the learning platform.

대학 수업에서의 블렌디드 러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연구 (A Study on the Learner's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BL in Universities)

  • 전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5-113
    • /
    • 2017
  • Considered as the "new normal" mode of learning, BL has become popular in recent years especially in University education. BL is defined as a learning approach that combines e-learning and face-to-face classroom learning. BL allows for more interactive and reflective learning environment resulting in enhancing learner-directed learning. The adoption of BL in university has made it significant to probe the crucial determinants that would entice instructors and learners to use BL and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f the satisfaction of BL in universities in terms of leaner's aspects. Learner's role is very important in BL, because learner should self-directed study for effectiv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BL environment. Based on prior studies motivation,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expectancy were identified as affecting factors of satisfaction in BL.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ll factors(motivation,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expectanc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arner's satisfaction in BL. It can provide practical guideline on effective operation strategy for BL in universities.

온라인 창업 교육의 사회적 현존감과 교육 만족도 관계에서 학습 기대감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Expectancy in Social Pres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 현선해;서문교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79-87
    • /
    • 2017
  • 기존 온라인 창업 교육 연구에서는 교육이 실제 창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만 연구가 진행됐을 뿐 교육 효과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의 한계점에서 벗어나 사회적 현존감을 이용해 학습 기대감과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했다. 또한 학습 기대감을 매개 변수로 활용해 사회적 현존감과 교육 만족도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전국 189명의 창업 관련 온라인 수업을 들은 대학원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 이론에 근거해 가설과 설문문항을 만들었으며, 교육 만족도의 경우 운영 만족도와 콘텐츠 만족도로 구분해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구분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분석 결과 사회적 현존감은 학습 기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학습 기대감은 운영 만족도와 콘텐츠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현존감이 운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학습 기대감은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콘텐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는 간접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온라인 창업 교육을 실시할 때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활발히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고 학습 운영의 만족도를 높일 때는 학습자의 부담감을 줄여 기대감을 높여야지만 효율적으로 작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집단지성과 성과창출을 위한 통합적 개념틀 검토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Creat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d Enhancing Performance)

  • 추철호;류수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3호
    • /
    • pp.173-187
    • /
    • 2018
  •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ing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creat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d enhancing group performance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including those related to learning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learning, knowledge management, and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first, we examined tha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other similar concepts, such as learning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knowledge management. Next,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creat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hanneling it into strong group performance were suggested. In this process, we reviewed conditions for creat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d segmented the major variables as expectancy, valence, and instrumentality, according to Vroom's (1964) expectancy theory. Characteristics of problems and the roles of leaders were respectively considered as valence for inducing collaboration and expectancy for managing probability to achieve goals. Instrumental factors were also adopted from conditions for creating group intelligence suggested from several researchers, such as creativity, openness, willingness for working together, horizontal communication, centralization in decision making, and building effectiv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ystem and active usage of it. We discussed two potentially disputable matters about the scope and level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group performance and suggest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Discussion.

모바일러닝의 사용의도 및 실제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Factors influencing usage intention and actual use of mobile learning)

  • 이정민;노지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9-30
    • /
    • 2015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모바일러닝 사용의도 및 실제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하고자 UTAUT모형에 태도를 추가하여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태도, 사용의도, 실제사용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285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데이터의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기대, 노력기대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영향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도는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용의도는 실제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과기대, 노력기대는 태도를 매개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태도는 사용의도를 매개로 실제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 및 경험에 따른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모바일러닝 실제사용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전략들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