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earner's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BL in Universities

대학 수업에서의 블렌디드 러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연구

  • 전병호 (서울여자대학교 기초교육원)
  • Received : 2017.08.17
  • Accepted : 2017.08.31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Considered as the "new normal" mode of learning, BL has become popular in recent years especially in University education. BL is defined as a learning approach that combines e-learning and face-to-face classroom learning. BL allows for more interactive and reflective learning environment resulting in enhancing learner-directed learning. The adoption of BL in university has made it significant to probe the crucial determinants that would entice instructors and learners to use BL and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f the satisfaction of BL in universities in terms of leaner's aspects. Learner's role is very important in BL, because learner should self-directed study for effectiv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BL environment. Based on prior studies motivation,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expectancy were identified as affecting factors of satisfaction in BL.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ll factors(motivation,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expectanc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arner's satisfaction in BL. It can provide practical guideline on effective operation strategy for BL in universities.

Keywords

References

  1. 우종정, 김보나, 이옥형, "대학에서 면대면 수업대안으로서의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2009, pp. 219-225.
  2. 한지영, 이은화,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이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정도와 학습만족도 -S대학 보건교육학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3권, 제6호, 2010, pp. 69-77.
  3. 김동일, 이혜정, 손지영,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Blended e-Learning 체제 정착 방안 연구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6권, 제4호, 2005, pp. 97-123.
  4. Graham, C. R., Blended learning systems: definition,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Bonk, C. & Graham, C. (Eds.),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San Francisco: Pfeiffer, 2006.
  5. 서용준, 박지윤, 하귀룡,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 및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영학 교과목을 중심으로," 경영연구, 제32권, 제2호, 2017, pp. 315-337.
  6. 서남숙, 우상준, 하윤주, "융복합 블렌디드 러닝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9호, 2015, pp.11-19. https://doi.org/10.14400/JDC.2015.13.9.11
  7. Hien M. Voa,b, Chang Zhua, Nguyet A. Diep, "The effect of blended learning on student performance at course-level in higher education: A meta-analysis,"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Vol.53, 2017, pp. 17-28. https://doi.org/10.1016/j.stueduc.2017.01.002
  8. 권회림, 문은경, 박인우,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1권, 제3호, 2015, pp. 333-359.
  9. Driscoll, M., "Blended learning," e-Learning, Vol.3, No.3, 2002, pp. 54-56.
  10. 임정훈,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찰활동이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4호, 2007, pp. 49-76.
  11. Lefoe. G., and Hedberg. J. G., Blending On and Off Campus, In Bonk. C. & Graham,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San Francisco: Pfeiffer, 2006.
  12. 전은화, 한재훈, "대학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과 온라인 학습 활동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학습분석 접근법," 교육공학연구, 제31권, 제3호, 2015, pp. 431-457.
  13. Ramazan Yilmaz, "Exploring the role of e-learning readiness on student satisfaction and motivation in flipped classroom,"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70, 2017, pp. 251-260. https://doi.org/10.1016/j.chb.2016.12.085
  14. Yungwei Hao, "Exploring undergraduates' perspectives and flipped learning readiness in their flipped classroom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59, 2016, pp. 82-92. https://doi.org/10.1016/j.chb.2016.01.032
  15. 석말숙 "사회복지교육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의 효과성: 자기주도적 학습력, 학습동기,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5권, 2016, pp. 1-29.
  16.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1997.
  17. 전병호, "대학교의 정보교육 만족과 성과의 영향 변인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4권, 제4호, 2010, pp. 477-489.
  18. 전병호, "대학 수업에서의 SNS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와 지속적 이용의도 변인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2권, 제2호, 2016, pp. 51-59.
  19. Wu, J. H, Tennyson, Hisa, "A study of student satisfaction in a blended e-learning system environment," Computers & Education, Vol. 55, 2010, pp. 155-164. https://doi.org/10.1016/j.compedu.2009.12.012
  20. 전병호, 전병철, "대학 수업에서의 SNS 활용에 대한 연구: 경험자와 비경험자 학습자의 비교,"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2권, 제3호, 2016, pp. 205-214.
  21. Shin, N.,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Vol.24, No.1, 2003, pp.69-86. https://doi.org/10.1080/01587910303048
  22. 하영자, 하정희,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이러닝 환경의 학습자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7권, 제2호, 2011, pp. 197-217.
  23. Hair, J. T., R. E. Anderson and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Fif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rentice Hall, 1998.
  24. Nunnally, J. C., and I. 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1994.
  25. Digital Learning Now, Blended Learning Report, 2013 (http://digitallearningnow.com)
  26. 강민석, 임걸, "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2013, pp. 1014-102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1014

Cited by

  1. 루브릭의 인지여부가 코딩교육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vol.13, pp.4, 2017, https://doi.org/10.17662/ksdim.2017.13.4.201
  2.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컴퓨터 실습수업에서의 학습자 만족 연구: 콘텐츠 요인과 교수자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vol.13, pp.4, 2017, https://doi.org/10.17662/ksdim.2017.13.4.221
  3.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동기 형성에 관한 연구 vol.15, pp.3, 2017, https://doi.org/10.17662/ksdim.2019.15.3.055
  4. 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자 만족 연구 vol.16, pp.3, 2017, https://doi.org/10.17662/ksdim.2020.16.3.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