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influencing usage intention and actual use of mobile learning

모바일러닝의 사용의도 및 실제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이정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 노지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Received : 2015.04.06
  • Accepted : 2015.06.09
  • Published : 2015.07.29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 attitude, usage intention and actual use. In order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e surveyed 285 high school students in spring semester of 2014. After collecting data, we examin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xpectancy and effort expectancy significantly affected attitude; however, social influence did not. Second, attitude affected usage intention and usage intention significantly affected actual use.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attitude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usage intention were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usage intention between attitude and actual was also significant.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experience were not significant. Based on this study, the practical strategies to facilitate usage intention and actual use of mobile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모바일러닝 사용의도 및 실제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하고자 UTAUT모형에 태도를 추가하여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태도, 사용의도, 실제사용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285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데이터의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기대, 노력기대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영향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도는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용의도는 실제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과기대, 노력기대는 태도를 매개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태도는 사용의도를 매개로 실제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 및 경험에 따른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모바일러닝 실제사용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전략들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민경배, 신명희, 류태호, 곽선혜 (2014). 국내 대학 e-러닝의 운영 특징 및 수강자 요구 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31-39.
  2. 이정민, 노지예 (2014). 모바일 과학학습 성과 에 대한 시간관리, 유용성, 흥미의 예측력 검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1). 65-73.
  3. 교육부(2013). 초.중.고 학교 스마트기기 보유 현황.
  4. 산업통상자원부(2014). 이러닝산업실태조사.
  5. J. H. Huang, Y. R. Lin, and S. T. Chuang (2007). Elucidating user behavior of mobile learning: A perspective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lectronic Library, 25(5). 585-598. https://doi.org/10.1108/02640470710829569
  6. S. Y. Park, M. W. Nam, and S. B. Cha,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Evaluat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ducational Technology, 43(4). 592-605.
  7. Y. S. Wang, M. C. Wu, and H. Y. Wang, Investigating the determinants and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acceptance of mobile learn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0(1). .92-118. https://doi.org/10.1111/j.1467-8535.2007.00809.x
  8. 주영주, 정애경, 정유진 (2015). 이러닝과 연계된 모바일러닝에서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 자기효능감과 이동성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1). 55-68.
  9. 강명희, 신은미, 유지원(2013). 외국어 학습에서 모바일러닝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29(3), 637-665.
  10. Venkatech, V., Morris, M. G., Davis, G. B., & Davis, F. D. (2003). Users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
  11. S. Y. Park, M. W. Nam, and S. B. Cha,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Evaluat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ducational Technology, 43(4). 592-605.
  12. Rice, R. E. (1993). Using network concepts to clarify sources and mechanisms of social influence. Communication Science, 12. 75-93.
  13. Rice, R. E., & Aydin, C. (1991). Attitudes toward new organizational technology: network proximity as a mechanism for socail information processing.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6(2). 219-244. https://doi.org/10.2307/2393354
  14. 한정선, 김소희 (2006).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논의.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4), 29-50
  15. Allport, G. W. (1935). Attitudes. In C. Murchison. Handbook of socila psychology. Worcester, MA: Clark University Press.
  16. 이재신 (2006). 기술 사용에 대한 태도 변화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종단적 연구: 개인의 주관적 판단과 사회적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6). 388-414.
  17.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18. 박성열, 남민우 (2012). 정보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대학생 모바일러닝 사용의도와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1). 51-75.
  19. 권오준 (2010). 스마트폰 잠재수용자의 수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1(1). 55-83.
  20. 전새하, 박나래, 이중정 (2011). 공공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0(2). 97-112.
  21. Karahanna, E., Straub, D. W., Chervany, N. L., (1999).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cross tim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pre-adoption and post-adoption beliefs. MIS Quarterly, 23(2) 183-213. https://doi.org/10.2307/249751
  22.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23. 송태민 (2010). 정부기관 웹 사이트 만족도 및 사용태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보건복지가족부 관련기관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0(1), 242-261.
  24. M. Fishbein, I. Ajzen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Cambridge, MA: Addison-Wesley.
  25. Moran, M., Hawkes, M., & Gayer, O, E., (2010). Tablet personal computer integration in higher education: apply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technology model to understand supporting factors.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42(1). 79-101. https://doi.org/10.2190/EC.42.1.d
  26. 이문봉 (2012). 혁신성이 SNS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UTAUT를 중심으로. 한국산 업정보학회논문지. 17(7). 177-186.
  27. 이종옥, 김용문 (2013). 국내 스마트폰 사용 자들의 앱북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8(3). 45-67. https://doi.org/10.7838/jsebs.2013.18.3.045
  28.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 16-29.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29.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30. 조규락 (2012). 고등학생의 모바일 러닝 실태 및 인식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5(6). 5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