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l survival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7초

다양한 곤충에 의한 계분의 분해능력에 대한 연구(1) (A Case Study on the Degradability of Poultry Manure by Various Insect Larvae (1))

  • 김정연;최인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989-992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larval stages of three species, namely, Tenebrio molitor,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and Ptecticus tenebrifer larvae, in degrading poultry manure, specially, broiler and duck manure. The survival rates of larvae were also noted. For the experiment, T. molitor (n=300), P. brevitarsis seulensis (n=60), and P. tenebrifer (n=300) hatched larvae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with three replicates. The degaradation efficacy tests were then performed for 30 days in a laboratory. The test groups were as follows: T1, 110 g broiler manure + T. molitor larvae (n=50); T2, 110 g duck manure + T. molitor larvae (n=50); T3, 125 g broiler manure + P.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n=10); T4, 125 g duck manure + P.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n=10); T5, 105 g broiler manure + P. tenebrifer larvae (n=50); and T6, 105 g duck manure + P. tenebrifer larvae (n=50).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efficacy in degrading broiler and duck manure (p<0.05). The highest survival rates were recorded for T. molitor larvae in both manure types [T1 (92.67%) and T2 (50%)], followed by P.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T4, 40%) and P. tenebrifer larvae (T6, 14.67%) in duck manure. Next, the survival rates of P. brevitarsis seulensis (T3) and Ptecticus tenebrifer larvae (T5) in broiler manure were 0%. In conclusion, these results point to the feasibility of using insect larvae to degrade broiler and duck manure.

피스테리아와 피스테리아 유사종의 전복 유생 섭식 특성과 생존을 연구 (Survival Rates of Larval Abalone by Direct Attack of Pfiesteria and Pfiesteria-like Species)

  • 김재성;이창원;이희만;정해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3호
    • /
    • pp.189-194
    • /
    • 2009
  • 종속영양 와편의류인 Pfiesteria 종과 이와 유사한 형태의 Pfiesteria-like 종간의 생태적 지위차를 확인하기 위해, Pfiesteria piscicida, Cryptoperidininopsis brodyi, Stoeckeria algicida 3종에 전복유생(abalone larvae)을 투입하여 그들의 섭식 여부를 확인하고, 이들의 농도변화에 따른 전복 유생의 생존율 변화를 확인하였다. P. piscicida와 C. brodyi는 부화 1일차의 전복 유생을 직접 공격하여 치사 시킨 후 peduncle이라는 섭식기관을 이용하여 개체 전체를 섭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형태적으로 이들과 매우 유사하고 peduncle도 가진 S. algicida는 전복 유생을 직접 공격하거나 섭식하지 않았다. 전복 유생의 생존율은 P. piscicida와 C. brodyi의 초기 투입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한 종속영양성 와편모류일지라도 그들이 가지는 생태적지위는 매우 다르며, 보다 명확한 해양 생태계 먹이사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종(species) 수준의 명확한 종 동정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해 준다.

2015년 하계 및 추계 동해 남서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유생의 분포 양상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Larvae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in Summer and Autumn, 2015)

  • 김윤하;신동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0-228
    • /
    • 2019
  • 동해 남서해역에서의 살오징어 유생 출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8, 9, 11월 여수 근해부터 평해 연안까지 총 35개 정점에서 IKMT 네트(망목 : $500{\mu}m$)를 사용하였으며, 초기 생활단계의 주요 해양환경 인자인 수온은 CTD(SBE9plus)로 관측하였다. 유생의 월별 외투장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 software(ver. 12.0)를 이용하였다. 채집된 살오징어 유생의 개체수는 총 228개체로 외투장 범위는 1.4 - 21.9 mm였다. 유생밀도 범위는 8월에 $0.2-5.2inds./1,000m^3$, 9월에 $0.1-3.2inds./1,000m^3$, 11월에 $0.3-7.9inds./1,000m^3$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생은 연안측 정점보다 조사해역의 동남부인 부산 근해에서 더 높은 밀도를 보였다. 8, 9, 11월의 유생출현률은 각각 64.3 %, 62.9 %, 68.6 %였다. 평균외투장 범위는 5.24 - 5.68 mm였으며, 월별 평균외투장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또한 외투장 분포에서 4 - 5 mm 구간의 유생이 최다 출현빈도를 보였다. 유생이 채집된 정점에서 유생의 생존이 가능한 수온대가 8월에는 대부분의 정점에서 표층부터 약 20 m 부근까지 유생이 서식하기에 부적합한 수온대가 존재하였던 반면, 9월과 11월에는 표층부터 유생이 서식하기 적합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얕은 수심의 연안쪽 정점에서는 표층에서 저층까지 적수온대가 형성되었으며, 100 m 이상의 깊은 수심의 외양쪽 정점에서는 표층부터 수온약층의 상층부까지 유생의 생존가능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먹이영양과 물만들기에 따른 붉은쏨뱅이(Sebastiscus tertius) 자어의 성장과 생존 (Effects of Feed Nutrition and Green Water on Growth and Survival of Red Marbled Rockfish(Sebastiscus tertius) Larvae)

  • 김철원;정달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3권1호
    • /
    • pp.115-129
    • /
    • 2011
  • 붉은쏨뱅이의 인공종묘생산을 위하여 자어의 성장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먹이생물의 영양학적인 측면과 수질안정을 위한 첨가물들의 농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영양가치가 다른 먹이생물로 rotifer를 배양하여 자어에게 공급하였을 때 농축 Chlorella로 배양된 rotifer를 공급하였을 때 전장의 성장이 11.90 mm로 가장 좋았으며 생존율은 유지효모로 배양한 rotifer를 공급한 실험구가 47.0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Rotifer를 영양강화 시킨 후 먹이로 공급하였을 때의 super selco로 영양강화시킨 실험구에서 전장과 체중이 각각 13.0 mm, 12.7 mg로 가장 좋은 성장을 보였으며 생존율도 48.0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rtemia의 경우는 다른 실험구와 성장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생존율에서는 super selco로 영양강화한 실험구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먹이종류에 따른 자어의 성장은 rotifer+Artemia+배합사료를 공급한 실험구에서 전장과 체중이 각각 18.4 mm와 18.1 mg으로 가장 좋았고, 생존율에 있어서는 rotifer+Artemia 실험구가 5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물만들기는 Chlorella 농도가 10×105 cells/ml인 실험구에서 전장과 체중 성장이 각각 11.83mm와 14.3mg로 나타나 가장 효과적이였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존율은 20×105 cells/ml 실험구에서 5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SB의 첨가 효과는 PSB 농도가 15×105 cells/ml 실험구에서 전장과 체중이 각각 13.98mm와 13.15mg으로 가장 좋았으며 생존율은 PSB 농도 10×105 cells/ml 실험구에서 61.0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담수산 새우, Macrobrachium koreana (De Kwon)의 유생에 대한 수온, 염분 및 먹이의 영향 (The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Diet on the Larvae of the Fresh Water Prawn, Macrobrachium koreana (De Kwon))

  • 이복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5-149
    • /
    • 1988
  • Macrohrachium koreana의 유생에 대한 수온, 염분 농도 및 먹이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염분농도가 증가 할수록 생존율이 감소했고, 제2기 유생은 $40\%$ 해수농도$(13.7\%_{\circ})$이상 일때는 48시간내에 대부분 죽었다. 수온이 상승할 수록 각 stage별 소요기간이 짧아졌으며, 이들 유생의 성장에 알맞는 수온은 $22^{\circ}C\~26^{\circ}C$로 나타났고, 수온 $30^{\circ}C$에서는 생존율이 떨어졌다. 먹이효과는 바지락 급식구에서 가장 생존율이 높았고 무급식구와 분말급식구에서는 제4기 유생이 될때까지 대부분 죽었다.

  • PDF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의 인공산란과 유생 및 치패의 발생 (Artificial Spawning, Larval and Spat Developments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 오봉세;정춘구;김숙양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4
    • /
    • 2003
  • 중국에서 이식하여 어미패로 양성한 해만가리비를 수온 17.1-23.2$^{\circ}C$로 44 일간 Isochrysis galbana 등 5종의 먹이생물을 혼합시켜 공급하면서 성숙을 유도하여, 1997 년 1월 29일 및 31일 2회에 걸쳐 간출과 수온 자극을 가하여 총 4,532만개의 수정란 (평균 52 ${\mu}m$) 을 채란하였다. 난 발생 단계를 조사한 결과, D형 유생의 크기는 평균 77.5 × 63.8 ${\mu}m$이었고, 부착기 유생은 191.8 × 181.2 ${\mu}m$의 크기였으며, 부착기 유생은 이 크기에서 파판에 부착하여 치패로 발달하였다. 이 치패는 2월 14일부터 5월 7일까지 수온 22.8-26.3$^{\circ}C$, 염분 31.0-34.4에서 실내 사육한 결과, 평균 각장 3.04 mm로 성장하였다. 비단가리비의 경우는, 부착기의 부착유생들은 채묘기(collector) 에서 떨어지면 폐사하게 되는데, 이것은 Argopecten balloti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족사에 의한 부착기간이 짧아서가 아니라 부착유생들이 각기 소수의 족사를 가지기 때문에 채묘기에 대한 부착력이 약하여 부착유생의 생존율이 비교적 낮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황복, Takifugu obscurus의 초기 발달 동안 성장 및 생존에 있어 먹이와 염분의 효과 (Effect of Food and Salinity on Larval Growth and Survival of the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 강희웅;강덕영;조기채;이진호;박광재;김종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1-22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황복, T. obscurus의 초기발달동안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먹이 종류와 염분별 영향을 조사하였다. 먹이별 실험에서는 Artemia공급 시기인 부화 25일의 자어를 이용해 Artemia (대조구)와 5가지의 먹이 (실지렁이, 물벼룩, 바지락육질, 배합사료, 곤쟁이)를 30일간 혼합 공급하여 실험구별 성장과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염분별 실험에서는 일령 15일 자어(전장 5.8$\pm$0.4 mm: Stage I), 일령 36일 치어(전장 12.0$\pm$0.2 mm: Stage II) 및 일령 70일 치어(전장 44.5$\pm$0.7mm: Stage III)를 대상으로 4개의 염분 농도구(0, 10, 20 및 30 psu)를 설정하여 성장과 생존을 비교분석하였다. 먹이실험 결과, 성장도는 배합사료, 실지렁이, 물벼룩 공급구들이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생존율은 물벼룩 공급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빠른 성장을 보였던 배합사료와 실지렁이 혼합 공급구는 오히려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염분별 실험에서는 Stage I 경우 성장에 있어 염분별 뚜렷한 차이를 찾아 볼 수 없었으나, 생존율은 10∼20 psu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Stage II의 경우 성장과 생존 모두 10∼20 psu에서 양호하였으며, Stage III에서는 0∼30 psu의 모든 염분 조건에서 정상적인 성장과 생존을 나타내었다.

사육조건이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유생과 어린 게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Larvae and Young Swimming Crabs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 서형철;임한규;김종식;조영록;장인권;강언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3-250
    • /
    • 2011
  • The effects of food, temperature, salinity, and rearing density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were studied. With regard to food, the larval survival rate to zoea IV was the highest (53.9%) in the mixed feed group (rotifers+ Artemia), followed, in order, by the rotifer, commercial feed, and Artemia groups. The growth of young crabs reared on different diets was the highest in group VI. The survival rate to zoea II at 20 to $30^{\circ}C$ ranged between 77.2% and 83.1%, and was the highest for crab I (17.3%) at $25^{\circ}C$. When young crabs were cultured individually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20, 25, 30, and $35^{\circ}C$), the growth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t 25 to $30^{\circ}C$, but was higher than at $20^{\circ}C$. The survival rate of larvae to crab I was 12.7 and 11.4% at 25 and 28 psu, respectively, while all of the larvae died at 15 psu. For young crab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and survival from 20 to 30 psu. The survival rate decreased with increasing rearing density from zoea I to crab I. Each molting cycle took 1 month from crab I to VIII. Subsequently, the interval increased with growth. The mean body weight of crab XV after 24 months was $428.05{\pm}57.63\;g$.

냉장보관된 농축 먹이생물의 지방산 조성 변화와 농축먹이로 사육한 굴 유생의 생존율 (Fatty Acid Composition of Concentrated Phytoplanktons by Cold Storage and Their Effects on the Larval Survival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임현정;박승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67-573
    • /
    • 1998
  • 패류 인공종묘 생산시에 먹이생물을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일환으로 비종묘생산시기에 미리 생산하여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패류 사육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먹이효율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Pavlova lutheli, Isochrysis galbana, Isochrysis aff, galbana Chaetoceros calcitrans를 농축 후, $4^{\circ}C$에서 보관하면서 보관기간에 따른 먹이생물의 생존율과 이들 먹이의 굴 유생에 대한 사육 효과를 생먹이와 비교하였으며 이들의 총지질 중 지방산 조성도 분석하였다. $4^{\circ}C$에서 30일간 냉장보관한 먹이생물의 생존율은 $23\~31\%$였다. 굴 유생에 4종 먹이생물을 생먹이와 농축먹이 형태로 공급하여 사육한 결과, 참굴 유생의 생존율은 농축먹이 공급구가 다소간 높았으며, 특히 농축한 I. aff. galbans를 공급한 실험구가 유생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먹이생물은 냉장보관 후 구성 지방산 중 EPA와 DH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I. aff. galbana는 냉장보관 후 조사한 먹이생물 중 DHA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패류 유생 사육시 DHA는 먹이가치의 중요한 요인이므로 먹이생물을 농축 냉장 보관하여 공급함으로써 굴 유생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I. aff, galbana를 냉장보관하여 굴 유생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저온조건에서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지방체 유전자 발현 변화 (Transciptomic Analysis of Larval Fat Body of Plutella xylostella under Low Temperature)

  • 김광호;이대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6-306
    • /
    • 2019
  • 온도는 곤충의 발달, 성장, 생식에 중요한 요인이며, 또한 곤충의 생존에 직접적 관련있는 물리적 요인이다. 변온동물인 곤충은 생존을 위해 기후변화에 반응을 해야 하며, 저온과 같은 취약한 환경하에서도 다양한 생존전략을 발달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저온에 대한 적응에 기여하는 유전자를 동정하기 위해 배추좀나방 유충의 지방체를 저온과 상온에 노출시켜 전사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저온전사체에서는 chitinase, 표피단백질, Hsp23, chytochrome, Glutathione S transferase, phospholipase 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된 반면,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UDP-당전이효소, trehalase, trehalose transporter는 오히려 발현이 감소하였다. 저온에 곤충이 노출되었을 때, 대사중심인 지방체의 유전자 발현의 변화가 곤충의 온도 적응을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