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odelphax striatellu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노린재목: 멸구과)의 시기별 날개형 및 기생율 (Wing Morphs and Parasitism Rates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Hemiptera: Delphacidae) in Korea)

  • 손병인;정종국;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97-501
    • /
    • 2014
  •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acute{e}$n))는 벼줄무늬잎마름병을 매개하여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벼 해충으로 국내에서 월동하는 토착종이며 중국에서 국내 서해안지역으로 비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애멸구의 분산과 개체군 동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16지역에서 2014년 4월과 7월에 애멸구를 채집하여 발생시기에 따른 날개형태의 비율과 홍집게벌 기생율 현황을 파악하였다. 수컷은 4월보다 7월에 단시형의 비율이 유의미하게 낮았고, 암컷 단시형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회귀분석 결과 4월의 단시형 비율이 위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약충 및 성충의 기생율은 7월보다 4월에 높았다. 또한 서해안지역의 약충 기생율이 대체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Suppression of Rice Stripe Virus Replication in Laodelphax striatellus Using Vector Insect-Derived Double-Stranded RNAs

  • Fang, Ying;Choi, Jae Young;Park, Dong Hwan;Park, Min Gu;Kim, Jun Young;Wang, Minghui;Kim, Hyun Ji;Kim, Woo Jin;Je, Yeon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3호
    • /
    • pp.280-288
    • /
    • 2020
  • RNA interference (RNAi)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promising approach to control plant viruses in their insect vectors. In the present study, to suppress replication of the rice stripe virus (RSV) in its vector, Laodelphax striatellus, using RNAi, dsRNAs against L. striatellus genes that are strongly upregulated upon RSV infection were delivered through a rice leaf-mediated method. RNAi-based silencing of peroxiredoxin, cathepsin B, and cytochrome P450 resulted in significant down regulation of the NS3 gene of RSV, achieving a transcriptional reduction greater than 73.6% at a concentration of 100 ng/μl and, possibly compromising viral replication. L. striatellus genes might play crucial roles in the transmission of RSV; transcriptional silencing of these genes could suppress viral replication in L. striatellus. These results suggest effective RNAi-based approaches for controlling RSV and provide insight into RSV-L. striatellus interactions.

벼에서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én) 개체군 밀도 변동 예측 모델 구축 (Modelling The Population Dynamics of Laodelphax striatellus Fallén on Rice)

  • 권덕호;정인홍;서보윤;김혜경;박창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47-354
    • /
    • 2019
  • 벼에 줄무늬잎마름병을 유발하는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의 온도에 따른 산란 등 성충 활동 특성을 12.5~35.0℃ 10개 항온조건 광주기 14L:10D에서 조사하였다. 산란모델을 만들기 위한 단위 함수를 개발하고 DYMEX를 이용하여 개체군 밀도 변동 모델을 구축하였다. 성충 수명은 15.0℃에서 56.0일로 가장 길었고, 35.0℃에서 17.7일로 가장 짧았으며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수명도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컷 한 마리당 총산란수는 22.5℃에서 515.9개로 가장 많았으며, 35℃에서 18.6개로 가장 적었다. 산란 모델 개발을 위해 성충발육율, 총산란수, 성충사망율 및 누적산란율 단위모델을 추정한 결과, 단위모델 모두에서 높은 수준의 모델 적합성을 보였다(r2=0.94~0.97). 개체군 밀도 변동 모델은 포트와 포장 실험을 통하여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포트 및 포장 실험 결과 접종 후 30일까지는 각 조사 시점에서 밀도 및 영기 분포 비율의 예측 정확도가 비교적 높았으나 이후에는 1, 2령의 조사 밀도와 예측 밀도 간에 큰 차이가 발생하였고, 영기 분포 변화의 경우도 모델에서 실제 조사 자료보다 1~2단계의 발육 영기가 빠르게 추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밀양에서 월동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의 개체군 생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onomics of Overwintering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en, in Milyang)

  • 배순도;송유한;박경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1-327
    • /
    • 1995
  • 밀양에서 월동하는 애멸구 개체군의 월동생태에 관한 정확한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동 애멸구의 영구성 비율은 12월상순에 4령충(약 60%)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3령충(약 30%), 5령충(약 6%), 2령충(약 3.4%), 성충 및 1령충 순서였다. 이러한 월동 애멸구의 영구성 비율과 순서는 채집시기에 따라 변화였으며, 그 결과 3월상순에는 5령충(47-50%)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4령충(44-46%)이었으며, 4월상순에는 성충이 약 75-81%를 차지하였다. 월동 애멸구의 발육상황을 수치로 나타낸 평균령기는 월동기간동안 계속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채집년도간 평균령기의 차이는 연도간 월동기간중의 온도차이에 따른 월동 애멸구 영구성 비율의 차이에 따른 결과였다. 애멸구의 체중도 월동기간동안 계속하여 증가하였다. 월동기간동안 애멸구으 채집밀도는 보리밭보다 휴반에서 월등하게 높았다. 월동기간동안 애멸구 약충기생봉에 의한 기생률은 평균 약 21%였다.

  • PDF

Effects of Wood Vinegar Mixted with Insecticides on the Mortalities of Nilaparvata lugens and Laodelphax striatellus(Homoptera: Delphacidae)

  • Kim, Dong-Hun;Seo, Han-Eul;Lee, Sang-Chul;Lee, Kyeong-Yeol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1호
    • /
    • pp.47-52
    • /
    • 2008
  • Effects of wood vinegar on the activity of various insecticide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mortality of two species of rice planthoppers, Nilaparvata lugens and Laodelphax striatellus. Wood vinegar itself did not show insecticidal activity on planthoppers. When the planthoppers were treated with wood vinegar mixed with one of insecticides such as BPMC, dinotefuran, imidacloprid, carbosulfan or insect growth regulators, the planthopper mortality induced by carbosulfan was greatly increased by the wood vinegar in comparison with a single carbosulfan treatment. Wood vinegar showed no effect on other insecticides. In addition, the wood vinegar-carbosulfan mixture significantly reduced AChE activity of planthoppers, which is a target molecule of carbosulfan. This result suggests that wood vinegar has a synergistic effect on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carbosulfan. Our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a potential role of wood vinegar in facilitation of activity of specific insecticides.

RT-PCR에 의한 벼 줄무늬잎마름병 정밀진단 (Detection of Rice Stripe Virus using RT-PCR)

  • 이봉춘;홍연규;곽도연;오병근;박성태;김순철
    • 식물병연구
    • /
    • 제10권1호
    • /
    • pp.30-33
    • /
    • 2004
  • 현재까지 벼 줄무의잎마름병(Rice stripe virus, RSV)은 남부지방에 국한되어 발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RSV의 발생이 충청도, 경기도를 포함한 중부지방까지 확산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병의 병징은 육안으로는 생리적인 장해 현상과 구분하기가 힘들다 본 실험에서는 이병주 및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로 부터 viral RNA를 추출한 후 RNA복제효소 및 외피단백질유전자에 특이적인 primer를 제작하여 RT-PCR법에 의해 RSV를 검정하였다. 그결과 이병식물체 및 보독 애멸구로부터 RNA복제효소 유전자에 특이적인 band(1,023 bp) 및 외피단백질유전자에 특이적인 band(969 bp)가 관찰되었다.

Transcriptome Analysis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Carrying Rice stripe virus

  • Lee, Joo Hyun;Choi, Jae Young;Tao, Xue Ying;Kim, Jae Su;Kim, Woojin;Je, Yeon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330-337
    • /
    • 2013
  • Rice stripe virus (RSV), the type member of the genus Tenuivirus, transmits by the feeding behavior of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Laodelphax striatellu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virus and vector insect,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RSV-viruliferous SBPH (RVLS) and non-viruliferous SBPH (NVLS) adults to construct expressed sequence tag databases for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Over 30 million bases were sequenced by 454 pyrosequencing to construct 1,538 and 953 of isotigs from the mRNA of RVLS and NVLS, respectively. The gene ontology (GO) analysis demonstrated that both libraries have similar GO structures, however, the gene expression pattern analysis revealed that 17.8% and 16.8% of isotigs were up- and down-regulated significantly in the RVLS, respectively. These RSV-dependently regulated genes possibly have important roles in the physiology of SBPH, transmission of RSV, and RSV and SBPH interaction.

한국에서 벼 흑조위축병의 발생에 대하여 (Studies on the Occurrence of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in Korea)

  • 이재열;이순형;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1-125
    • /
    • 1977
  •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발생되지 않았던 새로운 수도 바이러스병인 벼 흑조위축병에 대하여 실시한 확인 및 동정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EN)가 벼 흑조위축병을 매개하였다. 2) 바이러스의 입자는 구형이었으며 직경은 약60nm이었다. 3) 이 병은 령, 호남지방 및 충청북도에서 발생하였다. 4) 이앙시기가 빠를수록, 바맥일수록 이병주율이 높았다.

  • PDF

벼검은줄오갈병 바이러스가 매개충 및 기주식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on Vector (Laodelphax striatellus U.) and Host Plants)

  • 이기운;김상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90-194
    • /
    • 1985
  • 벼검은줄오갈병 매개충인 애멸구의 기주식물 선호성은 실내유균접종과 포장상태에서 공히 옥수수가 벼보다 낮으나 발병율은 아주 높았다. 바이러스가 매개충의 생태에 미치는 영향은 보독충이 무독충보다 성충의 생존일수, 부화약충수 및 성충율에서 심한 장애를 나타냈다. 벼에서는 감염초기부터 후기까지 건물중이 이병주가 건전주보다 낮았다. 그러나 옥수수에서는 감염초기에 이병주가 건전주보다 건물중이 높았다. 한천내확산법 및 미량심강법에 의한 감염바이러스의 정량결과, 항혈청과의 반응정도는 옥수수잎, 벼줄기, 벼잎, 옥수수줄기에서 부분순화한 항원바이러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병기주식물의 phloem gall 형성에서 저온처리의 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EPG 파형과 감로 분비, 미세절편 관찰로 해석된 애멸구의 벼 섭식행동 (Feeding Behavior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Hemiptera: Delphacidae) on Rice Plants Based on EPG Waveform, Honeydew Excretion, and Microsection Analysis)

  • 서보윤;권윤희;정진교;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51-358
    • /
    • 2016
  • DC-EPG 시스템을 활용하여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암컷 성충이 벼를 섭식하는 동안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록하고 분석하여, 벼멸구에서 보고된 것(Seo et al., 2009)과 같은 방식으로, np, L1, L2, L3, L4-a, L4-b, L5의 7 개 EPG 파형으로 구별하였다. 파형들의 모양과 발생 패턴은 벼멸구(Nilaparvata lugens)와 매우 유사하였고, L4-b의 직전에는 반드시 L3와 L4-a가 연속된 순서로 나타났다. 감로는 L4-b에서 주기적으로 분비되었다. 레이저 stylectomy 후 섭식부분의 미세절편을 관찰한 결과, 애멸구 구침의 끝이 L3와 L4-a, L4-b에서는 벼의 체관부 근처 또는 체관부에서 관찰된 반면, L5에서는 물관부에서 관찰되었다. 레이저 stylectomy로 L4-b에서 잘려진 애멸구 구침의 절단부로부터 유일하게 벼수액이 용출되었고, HPLC로 분석된 수액 안의 당 성분으로 식물의 체관부 탄수화물 이동태인 설탕(sucrose)만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관찰 결과와 애멸구의 EPG 파형 전개 과정 분석을 통해, L1과 L2는 관다발 도달 전에 발생하는 구침을 찌르고 타액 분비가 동반된 구침의 이동 행동으로, L3와 L4-a는 체관부에서 섭식을 위해 사전에 준비하는 과정으로, L4-b는 체관부 수액을 흡즙하는 행동으로, 마지막으로 L5는 물관부에서 형성되는 섭식행동으로 벼멸구와 유사하게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