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Administration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4초

한강시민공원 시설이용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한강시민공원 뚝섬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cility and Satisfaction of Han River Citizen's Park - A Case Study of Ttuksum District -)

  • 김성욱;정태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59-68
    • /
    • 2013
  • 본 연구는 하천변 신규공원을 조성하거나 기존의 하천변 공원을 재정비할 때 전반적인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계획 및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강시민공원 뚝섬지구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시설이용도 및 만족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강시민공원 뚝섬지구를 이용하는 이용자 37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표집은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에 응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뚝섬지구 이용자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접근성과 관련이 있는 거주지 분포에서는 대상지와 5km 이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뚝섬지구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방문 목적은 산책이나 휴식 및 운동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동행인 특성으로는 친구, 가족과 함께 이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 목적 및 동행인 특성별 시설이용도는 잔디광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뚝섬지구 공원시설 이용자 만족도는 잔디광장(3.95), 운동시설(3.73) 및 음악분수(3.72)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원 특화시설 중 음악분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성 및 경관성에 대한 만족도는 접근성(4.03)과 야간경관(3.90)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에 이루어질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론들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실증적인 검증 절차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한밤마을과 괴란마을의 사례 분석을 통한 당산숲·마을숲 복원 자료 구축 (Preparation of Data for Restoration of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 from the Case Study of Hanbam and Goiran Villages)

  • 최재웅;김동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1-30
    • /
    • 2007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 (RCF), and seek for a landscape management scheme. Dangsan forests and RCF have been maintained by local residents since hundreds of years ago. However, many of them have been disturbed. The case sites were derived from the twenty villages previous investigated where dangsan forests and RCF's remainrd. The two sites were remodelled to restore what have been degraded. Hanbam village has maintained its dangsan forest with good management practices, whereas the dangsan forest and RCF of Goiran village showed relatively poor management. The size of dangsan forest at hanbam village was 13,784$m^2$, and major tree species was Pinus densiflora. In total, 151 trees with more than 30cm in DBH were standing on the site. As a cultural activity, the dangsan festival have been held in January $5^{th}$ by lunar calendar to the 2005 at the Jindongdan, a dangsan tree made of stone. The RCF of Hanbam village has disappeared due to the event of landslide in 1930, which needs to be restored. Goiran village has a dangsan forest and a RCF. The forests in Goiran village revealed many problems due to bad management practice. The prototype of the dangsan forest was deteriorated by introduced Prunus serrulata and the facilities for physical training. A systematic management scheme for dangsan forests and RCF's should be established with a close partnership among local residents, experts, and local government.

도시공원 벤치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개인적 거리 - 여의도 공원을 대상으로 - (Use Behaviour and Personal Distance of the Bench Users in Urban Parks - Focused on Yeouido Park -)

  • 윤희정;김현주;신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2-61
    • /
    • 2015
  • 개인적 거리는 동시대 도시민들의 개인적 공간과 영역성, 사회심리적 수용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심리학의 기초개념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 조경공간 중 하나인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벤치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개인적 거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의도 공원의 벤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Blind observation과 Pictorial analysis를 도입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남성과 여성그룹의 경우 평균 개인적 거리가 47.5cm로 가장 짧았고, 여성 집단의 경우 53.2cm, 남성집단의 경우 70.3cm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전 서양인들을 대상으로 한 개인적 거리 연구들을 대부분 지지하지만, 일부의 경우 한국인이 개인적 공간과 영역성이 더 좁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공원의 서비스스케이프, 정서적 이미지, 장소의존성 간의 구조적 관계 - 롯데월드 방문객을 대상으로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rvicescape of Theme Park, Affective Image and Place Dependence - Focused on Visitors of Lotte World -)

  • 이우산;윤희정;신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5-44
    • /
    • 2017
  • 본 연구는 주제공원의 서비스스케이프와 방문객들의 정서적 이미지, 장소애착 중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장소의존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의 롯데월드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롯데월드를 방문한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 주제공원의 서비스스케이프 중 심미성과 쾌적성이 방문객들의 정서적 이미지 요인인 매력성과 편안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이미지의 매력성과 편안함 요인 역시 장소의존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관광계획가나 조경설계가들은 주제공원의 이미지 및 장소애착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들 요인들을 유용한 계획 및 관리요인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의 천연기념물 지정내용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tural Monument Designations of South and North Korea)

  • 나명하;홍윤순;김학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2-99
    • /
    • 2007
  • Korea began preserving and managing natural monuments in 1933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but South and North Korea had to establish natural monument management policies separately because of the division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atural monument designations of South and North Koreas between 1933 and 2005 to introduce advanced polices for Oneness-Korea.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According to data of December 2005, South Korea has 358 and North Korea has 474 natural monuments. North Korea has 116 more natural monuments than South Korea. In addition, over half of South Korea's designations are plants, whereas North Korea's designations are relatively well-balanced. Both South and North Korea designate plants(mostly trees) that are old and large. However, South Korea emphasizes the historical value of village forests, contrary to economic value in North Korea. Also, North Korea preserves many traditional fruit trees which have not been well-preserved in South Korea. As for animals, South Korea designates migratory wild animals by type and not by region to protect them at a national level, whereas North Korea designates the specific habitats of each type of wild animal. In addition, North Korea protects each region's cattle and chickens to preserve native traits of domesticated animals. Geologically, North Korea preserves 18 hot springs and 11 springs, whereas South Korea has none. Geographically, North Korea preserves 81 waterfalls, lakes, etc. In the conclusion, advanced natural monument management of South and North Korea is necessary to achieve effective preservation of natural monuments.

경주 월성의 역사공간 이미지 및 관광객 이용행태 분석 (Tourists' Historical Imag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for Heritage Site at Wolseong Palace in Gyeongju)

  • 강태호;박종구;반상;김상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48-158
    • /
    • 2011
  • 경주 월성은 신라시대 궁궐이 있었던 역사적 상징성이 있는 궁궐터로 왕경 경주의 대표적인 역사유적이다. 본 연구는 경주 월성을 대상지로 역사공간 이미지와 관광객들의 이용행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로 현장조사와 설문조사 두 단계로 실시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행태, 시간, 공간별로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경주 월성의 주된 이용행태는 서서 하는 행위, 앉아서 하는 행위, 놀이/유흥 순으로 나타나고, 일반적인 역사문화유적지와 비교해 이용행태는 매우 단조로운 것을 알 수 있다. 경주 월성의 이용활성화를 위하여 주 진입로의 역할기능을 강화하면서 탐방객들을 월성 내 타 공간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각 동선코스를 사전에 안내하는 표지판, 야간조명, 식생정비, 도로정비 등을 필요하다.

국내·외 가로수 조성 및 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Street Trees in Korea and Abroad)

  • 박현빈;김동필;이민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59-75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외 가로수 조성 및 관리체계를 살펴보고자 한국-서울, 미국-레버넌시, 일본-요코하마시 그리고 프랑스-파리시를 대상으로 가로수의 계획, 조성 및 관리의 단계별로 살펴보았다. 국가별로 국정운영체계 그리고 문화적 차이에 따라 가로수의 업무 체계 및 인식이 상이했으나, 참고할만한 각각의 주요한 차이점과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정성적인 기준을 설정해둔 점을 고려하며, 실제 업무수행에 있어서 객관성이 다소 결여될 가능성이 우려된다. 해외의 경우 다양한 방식으로 조성 및 관리 기준을 준수하도록 장치를 해 두었는데, 이는 업무효율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이기에 국내에서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한국의 가로수 관련 업무 전반에 걸친 개선을 위해 매뉴얼의 법정지위 부여, 위원회의 권한 확대 그리고 국제협력 등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사회의 변화와 필요성에 따라 개정 및 신설이 이뤄지는 법률, 체계 및 기준 등을 다뤘으므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외국의 조경관련 법제도의 비교분석과 한국에서의 조경기본법 제정을 위한 합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the foreign laws related to landscape architecture and a study on the reasonable application to the expected organic law for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 신익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6-88
    • /
    • 1997
  • There is no special law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So, examining the concept from the legal basis of LA with the viewpoint of a natural scientist not a juri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name and the related text of the foreign laws in force which were connected with LA.. And those foreign laws were arranged in the name and the text and classified by nations of regional groups and it was considered to the mutual relation with lots of laws which are scattered with the various laws. Current domestic regulations to the various fields of LA are assembled with the many related rules.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 conducting those business is nonexistent up to now and it is generally known to except the dept. of LA from the office organization in Korea. Being at a disadvantage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was progressed under the necessity of the scientific basis for the expected organic law of LA proposed to establish it by every field of LA. Though feels inconvenience if the study for the items itself of LA had been proceeded prior to the study of laws relating to LA throughout the study, such a extensive study will be a subject to be attempted constantly hereafter by all part of landscape architect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foreign laws connected with LA 1. The proposal & analysis of the problems and the solutions to the domestic laws connected with LA 3. The proposal of the reasonable application pklan in order to establish the organic law for LA. Among the items relating to LA such as engineer, contract, planning, design and supervision, construction, maintenance, plant and planting, open space, facilities, aesthetics and sight, park, land use and development planning, urban and regional planning, leisure space plann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cology, structural engineering of construction, administration, right and penal regulations, the laws dealing with the matter relating to LA directly or indirectly are prescribed dispersedly in the many other related laws and it is concluded to be impossible for the independent law of LA is likely to be establish with not only selecting and arranging the matter having closed connections to LA directly but also being recognized as the systematic equipment of the LA business. It was to b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ollected foreign laws relating to LA. After pointing out the problems to the domestic related laws being at issue, the remedies for it were presen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the landscape specialist in which the supporting opinions to the recognition to the problems and the solutions were come to a major portion. Three types of application such as applicable, non-applicable, applicable after examination were presented to decide whether or not the foreign related laws were applied to the domestic one.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42 statutes and 9 ordinances are applicable, 4 statutes and 7 ordinances are non-applicable, 1 constitution, 81 statutes and 48 ordinances are applicable after examination.

  • PDF

생태미학 연구의 개념화 및 방법론 탐구 (Establishing a Research Framework for Ecological Aesthetics: A Methodological Review)

  • 이종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71-80
    • /
    • 2017
  • 환경설계는 우리 사회의 생태적, 미적, 사회적 가치들의 조율을 추구하지만, 생태적 가치와 미적 가치는 쉽게 조율되기에는 복잡한 관계를 지닌다. 생태미학이라는 분야는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미적으로도 매력적인 경관설계를 그 목표로 경관의 지속가능성과 미학의 관계에 대해 탐구한다. 이러한 복잡한 관계를 다루는 학문 영역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극히 일부의 연구들이 생태미학과 관련된 주제를 경험적 방법을 통해 연구했다. 본 연구는 생태미학의 기존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연구방법론과 연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경관과 대중의 인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적 틀을 생태 미학적 관점에서 재정의했다. 이 관계에서 특히 디자인 및 정보가 개입하여 나타나는 조절 효과에 대해 보여준다. 이 틀로부터 도출되는 세 가지 하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생태적 기능과 경관 선호도의 상호관계, (2) 경관중재: 생태적 기능도 보호하고, 미적 가치도 확보할 수 있는 절충된 디자인 전략, (3) 정보중재: 생태에 대한 정보가 미적 경험에 미치는 중재 효과가 그것이다. 세 가지 주제는 개념적 틀에서 보여지듯,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이며, 각 영역의 연구 시 다른 영역의 고려가 필요하다. 세 가지 하위 주제에 따라 기존의 이론적, 실증적 연구들을 방법론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한계를 지적하며, 보완 가능한 방법론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해석적이고 이론적인 담론에 그쳐왔던 생태미학을 개념적 틀을 통해 정리하고, 각 영역을 넘어선 방법론적 고려를 제시함으로써 생태미학의 방법론을 보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정비 사업을 통해 본 경주 양동마을 전통조경 재료의 변화양상 - 1970년대 이후 마을 내 건축물 지붕 소재를 중심으로 - (A Changes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Materials in Yangdong Village, Gyeongju - Building Roof Materials in the Village Since the 1970s -)

  • 김동현;이종성;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0-57
    • /
    • 2018
  • 본 연구는 경주 양동마을을 대상으로 경주 양동마을 건축물의 외관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그간 수행되었던 조사사업 및 정비계획을 토대로 1970년대 이후 지붕재료의 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1970년대 양기와를 사용한 가옥의 비중이 와가와 유사하게 나타나며, 슬레이트 지붕이나 슬라브집 등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이미 근대화 도시화에 의한 근대적 재료의 사용으로 마을 경관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1977년 민속자료 보호구역 지정, 1984년 중요민속자료 지정에 따른 초기단계 정비 사업이 진행되었으나 보수정비 예산 부족, 무분별한 보수 공사로 그 실효성은 높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이전시기 초가의 감소, 양기와 슬레이트 등의 재료 사용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었다. 셋째,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문화재관리국에서는 대대적인 보수사업을 통해 전통방식으로의 회복을 추진하여 양기와 지붕의 감소, 함석 지붕의 제거, 초가의 증가 등 전통소재의 환원에 노력을 기울였다. 넷째, 2000년대 이후는 이전시기 다양한 정비 사업들이 완료되는 시기로 와가와 초가의 비율이 대폭 증가하고 슬레이트 지붕을 얹은 가옥이 절반 가량 감소하는 등 이전시기와 구별되는 특성을 지니며, 세계유산 등재(2010) 이후 마을의 퇴락가옥 보수정비, 경관 개선사업 등 유지관리 수준의 정비가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