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plantarum fermentation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36초

유산균 발효에 의한 겨우사리 중의 렉틴 성분의 변화 : pH, 온도의 영향, 당 특이성, 림프구 자극분열효과 (Changes of Lectin from Viscum coloratum by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 Effect of pH and Temperature, Suger Specificity and Lymphocyte Stimulting Activity)

  • 박원봉;김희숙;나혜복;함승시
    • 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4-30
    • /
    • 1995
  • Lectin from mistletoe(Viscum coloratum)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was compared with the lectin from unfermented mistletoe. Agglunating activity of fermented mistletoe was stable at pH 3.77~8.71, at temperature range of $0~40^{\circ}C$ and in the presence of 9 mental ions, which results are similar to unfermented one, but less stable at pH 2.03~3.00 and more stable at temperature $60~80^{\circ}C$ than lectin from unfermented one. Agglunating activity of lectin from mistletoe fermented for 1 or 2 days and from fraction number 42~54 was not inhibited by all sugars used except for lectin from fraction number 21~34. Mitogenic activity to murine lymphpocytes of lectin from mistletoe was decreased by fermentation process.

  • PDF

유청을 이용한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발효를 통한 γ-aminobutyric acid와 생리활성물질 강화 (Fortification of γ-aminobutyric acid and bioactive compounds in whey by co-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김근영;임종순;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72-580
    • /
    • 2018
  • 본 연구는 모짜렐라 치즈 제조과정에서 분리된 유청을 B. subtilis HA와 L. plantarum EJ2014의 혼합 발효를 통해 ${\gamma}$-PGA, GABA 등의 기능성 물질이 강화된 발효물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유청 B. subtilis 발효 1일차의 시료 분석결과, pH는 6.51, 산도는 0.32%, 생균수는 8.39 log CFU/mL을 나타냈으며, 점질물과 점조도는 각각 6.06%와 $4.09Pas^n$로 발효 전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차 L. plantarum 발효를 통해 유청 혼합발효물의 최종 pH는 4.57까지 감소하였고 산도는 L. plantarum 발효 1일째 1.39%로 증가하여 최종 산도는 1.73%를 나타내었다. B. subtilis 생균수는 2차 L. plantarum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5.83 log CFU/mL까지 감소하였으나 L. plantarum 생균수는 5.73 log CFU/mL에서 L. plantarum 발효 1일째 9.08 log CFU/mL로 급격히 증가한 후 L. plantarum 발효 7일까지 유지하였다. TLC 정성분석한 결과 L. plantarum 발효 5일 이후 MSG가 모두 소진되어 GABA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C 정량분석으로 MSG는 L. plantarum 발효 초기 3.40%에서 L. plantarum 발효 7일째 거의 소진 되면서 혼합발효물의 GABA 함량은 2.21%를 보였다. 환원당과 젖당 함량은 각각 발효 전 11.07과 6.73%에서 L. plantarum 발효 7일째 각각 4.97과 3.68%로 크게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타이로신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증가되어 L. plantarum 발효 7일째 38.24 mg%를 나타내었다. 단백질 가수분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SDS-PAGE를 통해 발효 후 유청 단백질들이 대부분 가수분해되어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청의 발효 전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ABTS $RC_{50}$값은 26.81 mg/g에서 발효 후 8.78 mg/g, DPPH $RC_{50}$값 또한 발효 전 17.58 mg/g에서 발효 후 10.38 mg/g으로 감소하면서 혼합발효를 통해 전자 공여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저염 오징어젓갈 숙성중 젖산균의 변화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of Squid with Low Salt during Fermentation)

  • 조진호;오세욱;김영명;정동효;김정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08-1212
    • /
    • 1997
  • 수분활성을 조절한 오징어육으로 제조한 저염 오징어젓갈의 우점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고 숙성중 변화를 조사하였다. 우점미생물은 젖산균으로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Leuconostoc sp., Pediococcus sp., Streptococcus sp.,로 동정되었으며 총균수의 80%를 차지하였다. 숙성중 Leuconostoc, Streptococcus, Pediococcus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숙성적기 이후에 급속히 감소하였으며 Lactobacillus는 숙성적기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한편, yeast는 숙성중기 이후에 검출되었으며 숙성말기에 급격히 증가하여 주로 부패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국내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의 항균력 평가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ermented Extracts from Korean Dendropanax morbifera)

  • 이재열;박태희;박세호;양선아;지광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9-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 ilchiwhangchil 1785와 L. plantarum ilchiwhangchil 2020을 이용하여 황칠나무 잎 가지 추출물 및 수액의 발효 조건을 검토하였다. 지수성장기의 L. plantarum ilchiwhangchil 1785와 L. plantarum ilchiwhangchil 2020 균주를 발효에 사용하였다. 발효 중에 발효액의 pH 변화와 생균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당한 발효 조건은 잎 가지 추출물 20 wt% 및 수액 1 wt%를 함유하고, $37^{\circ}C$에서 2일간 발효시키는 것이었다. 잎 가지, 수액 발효 추출물의 항균력은 최소저해농도법(MIC)과 disk diffusion 방법을 이용하여 대장균(Escherichia coli, E. coli),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비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한 것보다 황칠나무 잎 가지 추출물 및 수액의 발효액을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한 세 가지 균주 모두에서 항균활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의 함량에 비례하여 항균 활성이 증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황칠나무 잎 가지 추출물 및 수액의 발효물의 천연보존제, 화장품소재 및 천연물 포장소재 등 천연 생기능성 물질로의 응용가능성을 시사한다.

Effects of wilting and additives on the ensiling quality and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udangrass silage

  • Wan, Jiang Chun;Xie, Kai Yun;Wang, Yu Xiang;Liu, Li;Yu, Zhu;Wang, Bing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호
    • /
    • pp.56-65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lass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ensiling quality and in vitro rumen fermentation of sudangrass silage prepared with or without wilting. Methods: The ensiling experiment, measured with 3 replicate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a 2×4 (wilted stages×additives) factorial treatment structure. Dry matter of the fresh (210 g/kg fresh matter) or wilted (305 g/kg fresh matter) sudangrass were ensiled (packed into 5.0-L plastic jars) without additive (control) or with molasses (M), Lactobacillus plantarum (LP), or molasses + Lactobacillus plantarum (M+LP). After 60 days of ensiling, the silages were analyzed for the chemical, fermentation, and in vitro characteristics. Results: After 60 days of ensiling, the fermentation parameters were affected by wilted, the additives and the interactions of wilted with the additives (p<0.05). The M+LP treatment at wilted had higher lactic acid levels and V-score (p<0.05) but lower pH values an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than the other treatments. In comparison with sudangrass before ensiling, after ensiling had lower dry matter and higher non-fibrous carbohydrate. The in vitro gas productio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n vitro crude protein digestibility, and in vitro acid fiber detergent digestibility changed under the effects of the additives.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observed between wilted and the additives in terms of in vitro gas production at 48 h, asymptotic gas production, gas production rate, half time, and the average gas production rate. The total volatile fatty acid levels in the additive treatment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Conclusion: Wilting and supplementation with molass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had the ability to improve the ensiling quality and in vitro nutrient digestibility of sudangrass silage. The M+LP treatment at wilted exhibited the strongest positive effects on silage quality and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말로락틱 발효에 적합한 토착 Lactobacillus plantarum 분리 (Isolation of indigenous Lactobacillus plantarum for malolactic fermentation)

  • 허준;이찬미;박문국;정도연;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69-176
    • /
    • 2015
  • 말로락틱 발효(MLF)은 유산균의 말로락틱 효소(Mle)에 의해 malic acid가 lactic acid로 전환되는 과정으로 와인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전통 발효 식품으로부터 54개의 유산균을 분리한 다음 MLF 특성을 가진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Lactobacillus plantarum mle 유전자 서열의 보존 영역에 대한 primer 쌍을 제작했고, PCR을 통해 이 유전자를 함유한 4 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들의 16S rRNA 염기서열과 생화학적 특성, rec gene 영역의 PCR을 수행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모두 동정되었다. 1,644 bp로 구성된 이들 mle 유전자의 분석 결과 JBE60 균주의 염기 서열은 JBE150, JBE160, JBE171 균주들과 96.7%, 아미노산 서열로는 99.5%가 일치했다. 에탄올 저항성을 확인한 결과 JBE60 균주가 10% 에탄올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높았다. MLF 활성을 확인한 결과 이들 균주는 평균 43%의 malic acid 감소를 보였으며 균주 간 분해율은 비슷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JBE60 균주가 와인용 MLF 종균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치 유래 GABA 생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발효 및 항상화 특성 (Fermented Proper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GABA 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Kimchi)

  • 이영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0-446
    • /
    • 2021
  • GABA는 식물, 동물 및 미생물 등 자연계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항고혈압, 이뇨, 진정, 수면유도 및 항스트레스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식품, 의약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 부터 분리한 GABA 형성 유산균을 옥수수 수염 추출물에 적용하여 발효 특성과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신규 L. plantarum LAB459의 분리와 동정은 생화학적 특성, 당자화성 및 16s rRNA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그리고 TLC와 HPLC 분석을 통해 분리된 L. plantarum LAB459가 GABA 생성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탈지유가 포함된 옥수수 수염 열수 추출물에 대해 발효를 수행한 결과, 동결 건조된 발효물에 약 1 ㎍/mg 수준의 GABA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물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와 항산화 분석은 옥수수 수염 열수 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된 L. plantarum LAB459는 다양한 식품 발효의 스타터 또는 식품 소재와 의약품 소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과 Leuconostoc mesenteroides에 대한 향신료 에탄올추출물의 선택적 항균효과 (Selective Antimicrobial Effects of Spice Extract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Isolated from Kimchi.)

  • 김옥미;김미경;이갑랑;김순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73-378
    • /
    • 1998
  • 김치가 젖산발효식품으로서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보존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의 일환으로, 김치의 젖산 생성량이 낮은 초기 숙성균인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생육에는 무관하면서 김치의 산패에 관여하는 Lactobacillus plantarum을 선택적으로 저해할 수 있는 항균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10여종의 향신료로부터 얻은 에탄올추출물의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Paper disc법에 의한 향신료 추출물의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10여종의 향신료 추출물중 cardamon, thyme 및 cumin의 에탄올추출물은 Lac. plantarum을 선택적으로 저해시키는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농도별에 따른 cardamon 및 thyme 추출물은 4%에서, cumin 추출물은 1% 이상의 농도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SDS-PAGE 및 투과전자현미경의 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향신료 에탄을 추출물의 주요 항균작용은 균체 세포벽 및 세포막을 약화시키며 이로 인하여 균체세포의 내용물을 세포외로 유출시킴으로서 성장을 저해 또는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무 쥬스 제조를 위한 starter로써 동치미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동정 및 발효 특성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Dongchimi as Starter for Radish Juice)

  • 김정희;김종일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7-314
    • /
    • 1999
  • 본 연구는 동치미에서 유산균을 분리하여 동치미의 가능성이 강화된 무 주스를 제조하기 위한 starter로써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산균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동치미에서 분리 동정된 40 균주는 당 발효능과 양상에 따라 5개의 group으로 분류되었다. Species별 분포를 살펴본 결과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sake,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fermentum의 5개 균종이었으며, 유산균의 분포는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52.5%로 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5개의 group에서 가장 생육능이 왕성한 1개 균주씩 Leuconostoc mesenteroides J-9, Lactobacillus brevis J-12, Lactobacillus plantarum J-39, Lactobacillus fermentum J-7 등 5균주를 선정하여 한외 여과한 무즙에 각각 0.3($10^6$ cfu/㎖)%씩 접종하여 25${\circ}C$에서 9일간 숙성하면서 pH 및 총 산도, 비휘발성유기산함량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각 접종 균주 중 Lactobacilus plantarum의 생육능이 가장 빠르게 나타났으며 Lactobacillus sake가 가장 느리게 성장하였다. 발효 개시 전의 한외 여과한 무즙의 pH 및 총 산도는 6.30~6.36, 0.09~1.0%이었으나 9일째 pH 3.2~4.3, 0.85~1.2%로 나타났다. 각 접종 균주의 pH, 산도의 변화를 비교해보면 미생물의 생육능과 상관성이 높아 유산균수의 증가속도가 빠를수록 pH는 빠르게 감소하고, 산도는 빠르게 증가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의 변화를 보면 모든 접종구에서 시트르산, 말산, 말론산, 숙신산은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락트산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관능적으로 맛에 좋은 영향을 주는 유기산으로 알려진 숙신산과 락트산의 함량을 보면 L. mesenteroides J-9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락트산 단독의 경우는 L. plantarum J-39m, L. brevis J-12 접종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cdot}$ 화학적 검사와 향미에 대한 관능검사결과 L. mesenteroides J-9, L. brevis J-12, L. fermentum J-7이 무쥬스의 젖산발효를 위한 starter로써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ermentation of red ginseng extract by the probiotic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613P: ginsenoside conversion and antioxidant effects

  • Jung, Jieun;Jang, Hye Ji;Eom, Su Jin;Choi, Nam Soon;Lee, Na-Kyoung;Paik, Hyun-D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20-26
    • /
    • 2019
  • Background: Ginsenosides, which are bioactive components in ginseng, can be converted to smaller compounds for improvement of their pharmacological activities. The conversion methods include heating; acid, alkali, and enzymatic treatment; and microbial conver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bioconversion of ginsenosides in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FRGE). Methods: Red ginseng extract (RGE) was fermented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613P.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insenoside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in FRGE using diverse methods. Results: Properties of RGE were changed upon fermentation. Fermentation reduced the pH value, but increased the titratable acidity and viable cell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L. plantarum KCCM 11613P converted ginsenosides $Rb_2$ and $Rb_3$ to ginsenoside Rd in RGE. Fermentation also enhanc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RGE. FRGE reduced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however, it improved the inhibition of ${\beta}$-carotene and linoleic acid oxidation and the lipid peroxidation. This suggested that the fermentation of RGE is effective for producing ginsenoside Rd as precursor of ginsenoside compound K and inhibition of lipid oxidat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RGE fermented by L. plantarum KCCM 11613P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