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athematics books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4초

우리나라와 미국의 초기대수 비교 연구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연산 감각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Early Algebra between Korea and USA Textbooks -focusing to operation sense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 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355-392
    • /
    • 2013
  • Generally school algebra is to start with introducing variables and algebraic expressions, which have major cognitive obstacles to students in the transfer from arithmetic to algebra. But the recent studies in the teaching school algebra argue the algebraic thinking from an early algebraic point of view. We compare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with Americans from this perspective. First, we discuss the history of school algebra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Second, we investigate the recent studies in relation to early algebra. We clarify the goals of this study(the importance of early algebra in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se discussions. Next we examine closely the number sense in the arithmetic and the symbol sense in the algebra. And we conclude that the operation sense can connect these senses within early algebra using the algebraic thinking. Finally, we compare the elementary mathematics book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operation sense. In this comparative study, we identify a possibility of teaching algebraic thinking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and early algebra can be introduced to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rom aspects of the operation sense.

수학교육에서 교수매체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 조사 연구 (A Survey of the cognition of Teachers, Students, Parents Towards Instructional Media in Mathematics Education)

  • 노선숙;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265-289
    • /
    • 2001
  •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in Korea has been modified periodically to reach today's 7th national curriculum. Although the intent of each new curriculum was to improve education, lack of proper prepara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has not made the new curriculums as effective as it could be. Goodlad et al.(1979) suggested that curriculum should encompass all practices including not only knowledge but all the elements of the curriculum and experiences of the student and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practices of the current curriculum with focus on the use of instructional media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 nationwide curriculum survey was carried out with the Goodlad's curriculum inquiry model as the framework. The result shows that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sed textbook manual (for teachers) and practice books most frequently for their class preparation. In addition to these, mathematics teachers also used manipulatives, visual aids, computers, internet, and calculators in a decreasing order. In general, many mathematics teachers did not use much instructional media in their classes and said that there are not enough effective instructional media to use. However, the teachers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ducational media that they have us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rvey data regarding educational tools, their use and effect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new curriculum model in mathematics for a knowledge-based society.

  • PDF

형식불역의 원리에 관한 소출 (On the principle of the permanence of equivalent forms)

  • 이승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3호
    • /
    • pp.463-481
    • /
    • 2002
  • In this paper, I review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rinciple of the permanence of equivalent forms" and sum- marize properties of "the principle of the permanence of equivalent forms" as a kind of heuristic. 1 think that "the principle of the permanence of equivalent forms" can be used effectively for student's discovery of the algebraic structure. There are three ways of using "the principle of the permanence of equivalent forms" in extending number system - an extension on the base of set theory(SMSC), the formal or axiomatic extrapolation and the inductive-extrapolatory method. All those three methods are mixed up and being used potentially at various levels in current Korean text books. "The principle of the permanence of equivalent forms" is used most effectively in the subject of the exponent. 1 try to present a situation that makes the students find more general definition and cultivate their desirable attitudes for the mathematics in the process of extending the exponent through summarizing the debate between Goel & Robillard(1997) and Tirosh S, Even(1997).

  • PDF

유클리드의 원론에 나타난 대수적 개념에 대하여 (On the Algebraic Concepts in Euclid's Elements)

  • 홍진곤;권석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32
    • /
    • 2004
  • 본 고에서는 유클리드의 원론에 나타난 대수적 개념들을 개괄하고, 현대적인 기호로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유클리드의 원론에는 이차방정식, 곱셈공식, 비례식, 정수론, 무리수 등의 대수적 개념이 포함되어 있으나, 그 표현과 추론은 완전히 기하학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내용을 분석하는 것은 대수학의 발생적 본질을 찾아 최초에 수학이 만들어지는 상황을 학생들에게 경험하게 함으로써 수학화를 구현하려는 교육적인 문제의식에도 일종의 시사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PDF

대학 기초수학 교육 내용의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 생명.나노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 (Study of Structural Scheme of Basic Mathematics Education in University - Focusing on life and nano-related areas -)

  • 서종진;유천성;최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21-247
    • /
    • 2008
  • 생명 나노 관련 분야의 대학 기초수학 교육 내용의 구성과 그 방안을 찾기 위하여, 그 분야의 대학생들이 기본함수(2차 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에 대한 그래프 표현과 그래프에 내포한 기본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고등학교 기초 수학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분야와 관련된 전공 서적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학 내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기본함수에 대한 그래프 표현과 그래프에 내포한 정보에 대한 이해 및 고등학교 기초 수학 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명 나노 관련 분야의 각 전공에 사용되고 있는 수학 내용의 양과 내용의 깊이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생명 나노 관련 분야의 대학 기초수학 교육 내용 구성에서, 각 전공 분야의 대학생들의 고등학교 기초수학 내용에 대한 이해 정도를 반영하고 각 전공에 따라 수학 내용의 양적인 면과 내용의 깊이를 다양하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도형영역에서의 '변(邊)'의 의미 및 도입방법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Meaning of 'Side' in Geometry and Methods of its Introduction in Mathematics Textbook)

  • 김수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41-457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도입되는 '변'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여 각종 사전 및 이전 교육과정의 수학교과서 고찰을 통해, 그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변의 두 가지 속성을 밝혀내었으며, 변을 구성요소로 하는 도형의 범위가 사전의 유형이나 교육과정의 시기,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교과서에서 변을 도입하는 방법이 외연적 방법에 치우쳐 있어 변의 속성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예상되며, 수학용어라는 관점에서 변은 학생들에게 개념에 내재된 관념을 제공하지 못하는 현학적 용어임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여러 가지 논의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 두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에서는 변을 다각형의 구성요소로만 제한하고 각의 구성요소로는 도입하지 않는다. 둘째, 변을 도입할 때 외연적 방법과 더불어 내포적 방법도 아울러 사용한다.

  • PDF

이상설(李相卨)의 산서 수리(算書 數理) (Lee Sang Seol's mathematics book Su Ri)

  • 이상구;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4
    • /
    • 2009
  • 17세기에 서양 수학이 조선에 들어온 이래 조선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산서는 수리정온(數理精蘊)이었다. 19세기 말 조선에서 신교육이 시작되면서 수리정온(數理精蘊)이후의 서양 수학을 가르치게 되었다. 이 때 일본을 거쳐서 들어온 서양 수학은 주로 교과서로 나타난다. 이 논문은 독립 운동가로 잘 알려진 이상설(李相卨)의 저서인 수리(數理)를 조사하여 19세기 말 선교사를 통하여 서양 수학이 조선에 전해지는 과정을 알아본다. 특히 이상설(李相卨)이 조선 산학의 대수학 분야에서 중요한 변화와 발전을 이루어 낸 것을 밝혀낸다.

  • PDF

홍정하(洪正夏)의 천원술(天元術)과 증승개방법(增乘開方法) (Hong JeongHa's Tianyuanshu and Zhengcheng Kaifangfa)

  • 홍성사;홍영희;김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5-164
    • /
    • 2014
  • Tianyuanshu and Zengcheng Kaifangfa introduced in the Song-Yuan dynasties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quatio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mathematics. Furthermore, they became the most fundamental subject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mathematics as well. The operations, or the mathematical structure of polynomials have been overlooked by traditional mathematics books. Investigation of GuIlJib (九一集) of Joseon mathematician Hong JeongHa reveals that Hong's approach to polynomials is highly structural. For the expansion of $\prod_{k=11}^{n}(x+a_k)$, Hong invented a new method which we name Hong JeongHa's synthetic expansion. Using this, he reveals that the processes in Zhengcheng Kaifangfa is not synthetic division but synthetic expansion.

남북한 초등학교 교과서의 분수 도입 방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Way of Introducing Fractions in Mathematics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 박교식;이경화;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367-385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남북한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분수를 도입하는 과정을 분할분수와 동치분수로 나누어 비교하여 차이점을 파악하고 그에 관해 반성적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논의 결과, 남한 교과서는 사과와 같은 구체물을 등분할하는 활동의 소재로 사용하고 있으나, 북한 교과서에는 그와 같은 구체물을 실제로 등분할하는 활동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남한의 교과서는 연속량의 등분할과 이산량의 등분할을 시간 간격을 두고 다루는데 비해, 북한 교과서는 분수 도입 시점에서 같이 다룬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측정 단위가 붙은 양분수의 사용 측면에서도 남북한 교과서는 차이를 드러냈다. 또한 외연적 방법에 따라 분수를 도입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지만, 남한과 북한은 활동과 의미에 어느 정도 초점을 두는가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동치분수를 도입하는 방식을 비교한 결과, 세 가지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가장 큰 차이는 동치분수를 구하는 직접적인 방법을 제공하는가, 동치분수의 특성과 동치 분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한 탐구를 자극하는가하는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독서 자료를 활용한 수준별 고등학생들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Leveled High-School Students Using the Reading Activities in Mathematics)

  • 최수정;김홍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319-345
    • /
    • 2009
  • 학교 현장에서 독서 교육이 강조되면서 수학효과에서도 독서 자료를 활용한 수업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학생 개개인의 흥미, 적성, 관심 그리고 수준에 맞는 도서를 선정하기 보다는 일률적으로 단원과 관련된 읽을 거리를 제공하는데 그쳐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는 보조 학습 자료로서 수학과 관련된 독서 자료를 활용하여 수준별 학생들이 어떤 차이점들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여, 독서 자료가 수준별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독서 자료와 활동지를 학생들에게 적용시켜본 결과,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학 관련 독서 자료는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수학적 개념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