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black raspberry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48초

복분자 미숙과 물추출물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Water Extract)

  • 최혜란;이수정;이정현;권지웅;이희권;정종태;이태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899-1907
    • /
    • 2013
  • 복분자 미숙과 물추출물이 콜레스테롤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세포주(HepG2 cells)에서 복분자 미숙과 물추출물은 SREBPs를 증가시킴으로써 혈액 내에 LDL을 LDL receptor를 통해서 세포 안으로 흡수시키고,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여하는 HMG-CoA reductase 활성을 억제하면서 체내 콜레스테롤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HDL의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ABCA1, SR-B1)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복분자 미숙과 물추출물이 LDL receptor를 통해서 LDL을 억제시키고 체내에서는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억제하였으며, HDL의 생성에는 관여를 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ApoB1/ApoA1 ratio 값을 통해서 동맥경화 지표를 확인해 본 결과 유의성 있게 수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미숙과 물추출물이 콜레스테롤을 개선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대식세포(RAW 264.7 cells)에서 복분자 미숙과 물추출물이 CD 36, SR-A 수용체를 억제시킴으로 인해 세포 내의 ox-LDL 의 흡수를 차단시키고, 세포 안에서는 macrophage에 있는 PPAR-${\gamma}$를 억제시킴으로 인해 LDL 산화가 억제되었다. Adipophilin의 활성이 억제됨에 따라 세포 안에 있는 콜레스테롤 방출을 촉진시킴으로 인해 동맥경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복분자 열매(Rubus coreanus Miquel)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물질 (Antioxidant Activity and Effective Compounds of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ed by Different Solvents)

  • 진동혁;성종환;이영근;김동섭;정헌식;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74-482
    • /
    • 2016
  • The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contains anthocyanin, tannins, gallotannin, gallic acid, ferulic acid and phenolics. It brightens the eyes and protects the liver and kidneys. It was effective for anti-aging.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form the excellence of black raspberry and to screen antioxidant activity to ensure the possibility as a functional material. In this study, bioactive compounds in black raspberry were determined. Additionally, black raspberry was extracted by CM (chloroform:methanol, 2:1, v/v), 70% methanol and 70% ethanol, and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in vitro method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to compare each different solvents. In additi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reducing power were determined to measure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results were the highest in 70% ethanol extracts, and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capacity. When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raspberry was supposed to affect by the anthocyanin,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ti-Inflammatory and Anti-Superbacterial Activity of Polyphenols Isolated from Black Raspberry

  • Kim, Seong Keun;Kim, Hyuna;Kim, Song Ah;Park, Hee Kuk;Kim, Wony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7권1호
    • /
    • pp.73-79
    • /
    • 2013
  • The fruit of the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has been employed in traditional medicine, and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its measureable biological activities. However, the root of the black raspberry has not been studi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e root and unripe fruit polyphenols of the black raspberry. Both polyphenols proved to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y as evidenced by the decreased nitric oxide (NO), cytokines (IL-$1{\beta}$, IL-6, and IL-10) and prostaglandin E2 ($PGE_2$) levels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urine macrophages. However, root polyphenols showed stronger anti-inflammatory activity than fruit polyphenols. LPS-induc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s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levels were also decreased, confirm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Root polyphenols showed leth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CRAB), and Bacillus anthracis. In contrast, the black raspberry fruit did not demonstrate these properties. These data provide the first demonstration that black raspberry root has potential anti-inflammatory and anti-superbacterial properties that can be exploited as alternatives for use in the food and cosmetic industries and/or as pharmaceuticals.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아로니아 식초 제조를 위한 발효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for Aronia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희전;정소희;윤해훈;정지혜;송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92-79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of aronia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Alcohol content of aronia wine was 13.1% after alcohol fermentation of aronia fruits. The optimal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were determined by five levels of initial aronia alcohol content, initial acetic acid content, and acetic acid bacteria, using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The acetic acid yields, residual alcohol contents, pH, and color values (L, a, b) of acetic acid fermentation products were very significantly different ($p{\leq}0.01$), and were 26.34~57.82 g/L, 0.80~1.53%, 3.19~3.43, 47.58~71.00, 31.77~51.15, and 18.45~48.57, respectively. For the results, the optimal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of aronia were 7.78% of the initial alcohol concentration, 1.58% of the initial acetic acid, and 19.39% of the acetic acid bacteria.

Development and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Cetoniidae) by additional feeding Korean black raspberry marc and blueberry marc

  • Lim, Ju-Rak;Moon, Hyung-Cheol;Park, Na-Young;Lee, Sang-Sik;Kim, Woong;Choi, Chang-Hak;Kim, Hee-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4권2호
    • /
    • pp.44-54
    • /
    • 2022
  • The food source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is important to economical performance. The P. brevitarsis larva were feed by mulberry and oak fermented sawdust. The effect of additional additives, Korean black raspberry (called bokbunja) marc and blueberry marc to fermented sawdust feed on the development and oviposi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eriods of P. brevitarsis was decreased from 165.7 d to 40.0 d (mulberry sawdust) and 169.3 d to 39.0 d (oak sawdust), but the survival rate of larva was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Korean black raspberry marc to fermented sawdust. However, blueberry marc addition to the fermented sawdust did not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period and survival rate of P. brevitarsis. The percentage of larva weight over 2.5 g was tend to increase by addition of Korean black raspberry marc and/or blueberry marc. The number of oviposition was also tend to increase by adding additional feed to sawdu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복분자 와인 제조를 위한 바이오제닉 아민 비생성 효모의 선별 및 통계학적 기법을 이용한 배양조건 최적화 (Screening of Biogenic Amine Non-Producing Yeast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Using Statistical Method for Manufacturing Black Raspberry Wine)

  • 양희종;정수지;정성엽;허주희;정도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92-601
    • /
    • 2015
  • 복분자 와인의 제조를 위하여 복분자 과실 및 엑기스로부터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BA29를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생화학적 특성 및 biogenic amine 생성 여부, 배양학적 특성 및 알코올 발효능과 알코올, 당, 아황산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S. cerevisiae BA29의 산업적 공정 적용을 위한 균체량 증가를 위하여 통계학적 방법인 반응표면분석법을 사용하여 배양 배지 조성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실험계획법은 중심합성계획을 사용하여 모델을 설정하였고, 산업적 공정 적용 시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은 molasses를 대체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최대 균체 성장을 위한 배지 조성으로는 molasses 200 g/L, peptone 30 g/L, yeast extract 40 g/L로 예측되었으며, 이때의 최대 균체량은 20.6565 g/L로 예측되었다. 모델의 검증실험 결과 기본 배양 배지와 비교하였을 때 6.39 g/L에서 $20.9167{\pm}0.7925g/L$로 약 3.27배 증가하였다. 최종적으로 S. cerevisiae BA29를 사용하여 복분자 와인을 제조한 결과 20.33%의 알코올 생성능을 나타냈다. 이로써 복분자 과실로부터 분리한 효모 S. cerevisiae BA29를 이용한 우수한 복분자 와인 제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복분자 미숙과와 홍삼 추출물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Effects of Extra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and Red Ginseng on Cholesterol Synthesis)

  • 이수정;이민정;고영종;최혜란;정종태;최경민;차정단;황승미;정후길;박종혁;이태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28-635
    • /
    • 2013
  • 본 연구는 복분자 미숙과와 홍삼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간 간암세포주(HepG2)와 위장관세포주(Caco-2)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억제효과 및 그와 연관된 HMG-CoA reductase 활성 억제효과 및 LDL 및 HDL과 관련된 분자기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복분자 미숙과와 홍삼 추출물은 모두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효과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HMG-CoA reductase 활성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두 추출물은 단독 투여시 보다 복합 투여시 부가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LDL receptor와 이를 조절하는 SREBP-2를 증가시키고 콜레스테롤 transport 인 ABCA1의 발현을 증가시켜 LDL를 낮추고 HDL를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두 추출물의 복합 투여시 훨씬 높은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으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온 천연물인 복분자와 홍삼이 콜레스테롤 예방에 효과적임을 입증한 결과로 관련 대사증후군의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콜레스테롤 식이 투여 마우스에서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 복합 투여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Cholesterol Improvement Effects of Co-treatment with Black Raspberry and Red Ginseng Extracts in Mice Fed a High Cholesterol Diet)

  • 이민정;이수정;최혜란;이정현;정종태;최경민;차정단;황승미;박종혁;이주희;이태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491-1499
    • /
    • 2014
  • 본 연구는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으로 C57BL/6J 수컷 마우스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C57BL/6J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12주 동안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하면서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을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 식이군에서 체중증가량, 식이 섭취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콜레스테롤 합성의 가장 중요한 기작인 LDL receptor와 SREBP2 발현에서는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투여군과 복분자와 홍삼 복합 투여군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세포 안으로의 LDL 흡수를 촉진시킴으로써 체내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것으로 판단된다. HDL 관련 유전자 발현에서도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투여군과 복분자와 홍삼 복합 투여군에서 HDL uptake 유전자인 SR-B1의 발현을 증가시켜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간의 형태학적 변화에서는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 복합 투여군에서 지방 형성이 현저히 줄어들었고, leptin과 FAS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 복합 투여가 콜레스테롤과 고지혈증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의 복합투여가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 및 비만에 미치는 영향 (Co-treatment with Fermented Black Raspberry and Red Ginseng Extracts Improves Lipid Metabolism and Obesity in Rats Fed with a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

  • 이민정;최혜란;이정현;이수정;권지웅;최경민;차정단;황승미;박종혁;이상천;박필재;이태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64-372
    • /
    • 2015
  • 이 연구는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12주 동안 랫트에게 공급하여 복분자와 홍삼,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의 지질대사 및 비만 개선효과를 조사하였다. 정상식이,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 양성대조군, 유산균발효군, 복분자와 홍삼,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 투여군의 체중증가, 음수, 식이 섭취량은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혈중 HDL-콜레스테롤은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비교 했을 때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유의적인 감소율을 보였다. 또한, 간 조직에서 복분자와 홍삼 발효추출물 처치에 의해 HMG-CoA reductase, LDL receptor 및 SREBP-2 mRNA의 발현 증가와 지방생성 억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 투여군은 비만인자인 혈중 leptin과 FAS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대변에서 체내 콜레스테롤 배출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은 혈중 지질 대사 및 비만의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이 마우스의 지질대사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Oxidative Stress in Mice)

  • 최혜란;이정현;이수정;이민정;정종태;이태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89-497
    • /
    • 2014
  • 본 연구는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이 in vivo에서 지질대사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동물은 C57BL/6J mouse를 사용하였으며, 12주 동안 고지질 식이를 급이하면서,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지질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복분자 미숙과 첨가군에서 체중증가량, 식이효율이 모두 감소되었고, 혈중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간 조직에서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콜레스테롤 합성의 가장 중요한 기작인 LDL receptor와 SREBP2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 안으로의 LDL 흡수를 촉진하였고, HMG-CoA reductase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면서 체내 콜레스테롤을 조절하며, ABCA1의 활성화로 인해, 콜레스테롤의 배출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간조직의 지질산화수준(TBARS)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ox-LDL관련 유전자인 CD36을 억제함으로써, 동맥경화를 예방할 것으로 기대한다. 간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해본 결과, 고지질대조군에 비하여 지방형성이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이 콜레스테롤의 생합성과 배출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조절하여 고지질 및 동맥경화 질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