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Writing Textbook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19초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한 포괄적 해양교육 포털사이트 구축을 위한 기반연구 (A Study on the Marine Science Education Comprehensive Portal Site Construc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박종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229-23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marine science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nd understand how they are organized and how well they are being used. Eventually, being a foothold research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an inclusive marine science education portal site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rough this study, we can expect three positive effects. First, through classification of marine science education programs, it can be used when dividing the contents and writing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portal site, we can expect to correct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marine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industry development. Third, we can offer the correct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through learning, understanding on marine will get better.

Relative Difficulty of Various English Writings by Fuzzy Reasoning and Its Application to Selecting Teaching Materials

  • Ban, Hiromi;Dederick, Toby;Nambo, Hidetaka;Oyabu, Takashi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3권1호
    • /
    • pp.85-91
    • /
    • 2004
  • The writing styles of TIME and Newsweek are analyzed using a specially developed linguistic program. These two news magazines were chosen because of their wide popularity. As for the results, it became obvious that both the frequency curve of words and that of characters have not changed for the past 60 years. Also, we have found that the frequency curves have some inflection points and that the genre of English writings can be identified by these points. After counting the percentage of required vocabulary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in English writings, we can derive the relative difficulties of them using fuzzy reasoning. Fuzzy rules are constructed using features of the characteristic curves. We feel it would be a good guide index when selecting textbooks or supplementary readers.

과학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교육과정 적용에의 고민과 어려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통합과학'을 중심으로- (Concerns and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Integrated Science'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이봉우;박재용;손정우;이기영;최원호;심규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19-229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의한 통합과학 교과서를 개발하는 저자들이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느낀 고민과 어려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에 제시된 용어 및 서술어의 이해, 학습 내용의 구성, 탐구 및 활동, 학습내용의 수준과 범위 등으로 범주로 교과서 저자들의 의견 89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 저자들은 학습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정하는데 가장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용어와 서술어의 중의적 표현과 모호함에 대해 많은 고민과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학습 내용의 구성 측면에서는 성취기준의 반복적 기술, 성취기준의 배열 순서가 학습의 흐름과 일치하지 않은 점과 관련한 어려움이 제시되었으며, 탐구 및 활동과 관련해서는 체험하거나 실제 구현하기 어려운 탐구 활동 제시, 학습량 적정화에 따른 활동 구성의 제약 등과 관련하여 교과서 집필의 어려움이 제시되었다. 국가적으로 양질의 교과서 개발은 양질의 과학 교육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에, 교육과정 개발 주체와 교과서 저자와의 교육과정 이해를 위한 소통이 필요하며, 교과서 개발을 위한 지원 체제가 요구된다

한의학 입문을 위한 필수한자 추출 및 분석연구 (Study on the Prerequisite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 채한;황상문;권영규;백유상;신상우;양기영;이병렬;김재규;이병욱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73-379
    • /
    • 2010
  • There has been a need for establishing operational curriculum for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 us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but it was not carefully recognized so far. We analysed the frequency of unicode chinese characters from five medical textbooks and showed prerequisite chinese characters for TKM beginners. It was found that 之, 者, 不, 也, 而, 氣, 陽, 陰, 下, 其, 病, 爲, 人, 以, 中, 則, 於, 脈, 上, 故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20 chinese characters. We also showed that adequate prerequisite chinese character should be designated for the more efficient education of TKM. This study was the first systematic approach to get essential and prerequisite chinese characters for the education of TKM. The prerequisite characters by this study will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KEET (Korean Medicine Education Eligibility Test), entrance exam to the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and textbooks, and educational curriculum of premed students.

문화융합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활성화를 위한 국어교재 연구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Activate Media Literacy for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 임지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89-395
    • /
    • 2020
  • 본 연구는 문화융합시대를 맞이하여 올바른 미디어 리터러시 활성화를 위해 일반화된 인지환경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언어 속 서사적 의미를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전략을 국어학습자의 교재 내용에 도입을 제안한 논의라 할 수 있다. 특히 문화 해석과 관련된 창조성이 가장 강화되어있는 광고콘텐츠를 활용하여 그 시대의 정보적 현시성을 파악하고 관련성을 가진 의미해석을 재생산하고자 유도하였다. 또한 인지적 해석이 가능했던 국어학습자의 작문 재생산 과정에서 논증적 글쓰기 전략을 활용하고자 했다. 공익광고 콘텐츠 개발자의 의도는 항상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며 학습자는 그 효과를 통해 성찰과 올바른 미래를 꿈꾸게 된다. 필자가 의도한 문화융합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활성화 연구는 아직 많은 논의가 이루지고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제안적 논의가 많은 국어학습자를 위한 교재 내용의 대중매체언어 교육에 적극 활용되길 바라며 양적인 분석 내용을 담지 못한 부분을 아쉽게 생각하고 후속 논문에 그 성과를 기대한다.

초등수학 교과서의 도형 및 측정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Shapes Area and Measurement Area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도주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313-32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의 도형 및 측정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수학 교과서의 도형 영역과 측정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작용하는 기능을 영역별, 학년군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형 영역과 측정 영역 모두에서 1~2학년군에 비해 3~4학년군에서 차시 당 발문의 횟수가 급격하게 늘어났다. 이 두 영역에는 공통되게 추론 발문이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는데, 도형 영역에 비해 측정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제시되어 있다. 영역별로 제시된 발문은 작용 기능별 비중은 서로 다르지만 공통되게 주로 수학적 추론을 돕는 기능, 수학적으로 올바른 판단을 돕는 기능, 문제의 추측, 발명, 해결을 돕는 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파악한 발문의 특성은 도형 및 측정 영역 지도에 적합한 발문의 구안 및 활용에 대한 교수·학습상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교과용 도서 집필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내 한 학기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의 실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Realization Aspect of "the Reading a Book per Semester"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 소병문;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9-228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동안 독서 활동은 교과 지식과 이원화되어 정규 교과 수업 시간 밖에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았다.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국어" 정규 수업 시간 내 이뤄지는 독서 활동으로, <읽기-생각나누기-표현하기>를 기본 모형으로 개발되었다. 하지만 실재 11종 "국어" 교과서 22개 유형의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 한 권 읽기는 <도서 정하기-읽기-표현하기>로 실현되었다. 단계별 학교도서관과 협력방안으로, 도서 정하기 단계는 학교도서관을 대상 도서 검색 공간으로 활용하고, 읽기 단계는 독서전략을 추가, 보완해 독서일지를 재구성하며, 표현하기 단계는 기존 독후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권 읽기의 단계별로 협력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정보활용과정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within Common Inquiry Tasks of Textbooks in Korean Middle Schools Social Studies)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3-2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정보활용과정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정보활용교육 차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교육적 역할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수행하는 학생은 개별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선정하여 정보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로 쓰거나 발표하는 활동을 전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인 '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인 '정보표현하기'를 충족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탐구 과제 해결에 필요한 적절한 자료의 탐색 전략과 자료가 담고 있는 정보를 이해하고 종합하는 능력 그리고 탐구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능력 등을 지도함으로써 사회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학생의 탐구 활동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정보활용능력을 기반으로 한 협동수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생의 전기 회로 이해에 따른 자연 교과서 전기 단원에 대한 분석과 제안 (Analysis and suggestions for elementary textbooks based on the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electric circuits)

  • 김은숙;심재규;정용재;장병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70-584
    • /
    • 1999
  • The units about electricity in 5th and 6th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and the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related concepts was investigated. This study was to make connection between the research about alternative concepts and writing textbooks. It was found that students' response had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y had strong belief that the + and - ends of battery should be connected. However this belief was not complete because students did not understand that the other circuit elements had to be connected properly. When the circuit involve more than one bulbs or batteries, they counted the number of batteries or bulbs only and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connection of them. In explaining circuits and the brightness of the bulbs in the circuits. students tried to explains the circuit using scientific terms but failed to used them properly. Although the concept of resistance was not dealt explicitly. student had reasonable qualitative understanding about resistance. According to response of students, several suggestions might be made for the curriculum. The structure and the circuit elements and the proper connection needs to be taught. Also more emphasis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onnection in addition to the numbers of bulbs or batteries. Finally, it needs to be investigated carefully if it is better to introduce some qualitative model to explain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bulb depending on the connection and the number of bulbs. It might also be better to introduce some terms, such as current and resistance with the model.

  • PDF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전자' 단원의 개발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Textbook of 'Real Life's Electricity and Electronics' uni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 박형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1-180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을 개발하였고 2007 개정 교육과정에 터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 전자' 단원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은 연구개발형 교과서로 기획준비 단계, 연구 개발 단계, 집필 편찬 단계, 심의 평가 단계로 구성되었다. 둘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의 집필 편찬 단계의 타당성이 4.21로 가장 높았고, 연구 개발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4.14로 그 다음이며, 교과서 개발 단계 중에서는 심의 평가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3.50으로 가장 낮았다. 교과서 개발 모형의 준비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어 요구 분석과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둘째, 연구 개발 단계는 외국의 실과 교육을 분석하고 학교 현장의 실태를 분석하여 교과서 집필 지침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셋째, 집필 편찬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 집필세목을 확정하고 단원별 실과 교과서를 집필하는 단계이다. 단원별 원고를 집필하며 삽화 및 사진을 구성하고 집필진 협의회를 통하여 원고본을 반복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하는 단계이다. 넷째, 심의 평가 단계에서는 현장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 전자' 단원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