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Activate Media Literacy for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문화융합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활성화를 위한 국어교재 연구

  • Lim, Ji-W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Basic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 임지원 (국립한밭대학교 기초융합교육원)
  • Received : 2020.09.21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is discussion is a study that proposes to introduce a strategy to positively interpret the narrative meaning in media language based on a generalized cognitive environment in order to activate correct media literacy in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have. In particular, by using advertising content that has the most reinforced creativity related to cultural interpretation, it was induced to grasp the informational manifestation of that era and to reproduce meaning interpretation with relevance. In addition, it attempted to utilize an argumentative writing strategy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Korean language learners' writing, which was capable of cognitive interpretation. The intention of th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content developer always expects a positive effect in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 and the learner dreams of reflection and a correct future through the effect. The research on activating media literacy in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which I intended, has not yet been much discussed. We hope that the proposed discussion of this study will be actively utilized in mass media language education of the contents of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we are sorry for the part that does not contain quantitative analysis contents, and we expect the results in subsequent thesis.

본 연구는 문화융합시대를 맞이하여 올바른 미디어 리터러시 활성화를 위해 일반화된 인지환경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언어 속 서사적 의미를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전략을 국어학습자의 교재 내용에 도입을 제안한 논의라 할 수 있다. 특히 문화 해석과 관련된 창조성이 가장 강화되어있는 광고콘텐츠를 활용하여 그 시대의 정보적 현시성을 파악하고 관련성을 가진 의미해석을 재생산하고자 유도하였다. 또한 인지적 해석이 가능했던 국어학습자의 작문 재생산 과정에서 논증적 글쓰기 전략을 활용하고자 했다. 공익광고 콘텐츠 개발자의 의도는 항상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며 학습자는 그 효과를 통해 성찰과 올바른 미래를 꿈꾸게 된다. 필자가 의도한 문화융합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활성화 연구는 아직 많은 논의가 이루지고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제안적 논의가 많은 국어학습자를 위한 교재 내용의 대중매체언어 교육에 적극 활용되길 바라며 양적인 분석 내용을 담지 못한 부분을 아쉽게 생각하고 후속 논문에 그 성과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여탁 외(2008).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62-63.
  2. 심영덕(2011). 스토리텔링의 구성과 광고의 서사 전략, 한민족어문학논문집, 58: 301-326.
  3. 최명원(2008).광고언어의 담화적 특성과 의사 소통 기능. 독일어문학논문지, 40권: 267-269.
  4. 김요한(2010).문화콘텐츠로서 이야기의 확대 재생산, 세계문학비교연구논문지, v30: 272-273.
  5. 고창수(2009).스토리텔링 산업에 요구되는 문화기술들, 한성어문학논문지, 28집: 89.
  6. 신선경(1999).TV광고의 텍스트언어학적 특성-발화 단위와 형식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회논문집, 7: 117-140.
  7. 임지원(2016),광고언어 수용자의 인지환경과 상호현시성에 대한 실험화용론적 접근, 인지문화연구시리즈 04, 충남대출판부. 95.
  8. 이수련(2001).한국어와 인지, 박이정출판사, 13.
  9. 임지원(2015)인지와 문화 그리고 대중문화를 만나다-인지문화연구시리즈 03,충남대출판부, 93.
  10. 정희모(2005). 글쓰기 전략, 들녘 출판, 118-137.
  11. 김대행(1998). 매체언어 교육론 서설, 한국어교육학회 논문집-국어교육. 97집: 9-16.
  12. http://www.kobako.co.kr 2020.09.01.
  13. http://www.TVCF.co.kr 2020.09.13.
  14. http://www.SKplant.com. 2020.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