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초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의존이 건강, 수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KCYPS 2018)을 중심으로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e on health, sleep, and depression according to gender in adolescents: Focusing o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2018(KCYPS 2018))

  • 김무현;김준호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34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bserve change in factors over time in the first cohort of the 2018 Children and Adolescent Panel Middle School.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variables by setting a time ga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Methods: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e on health,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After inputting the control variables (Model 2),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was identified based on the input model. Results: Smartphone dependence positively impacted depression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negatively impacted sleep and health. Conclusion: Smartphon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eenagers' lives. Additionally, as adolescents experience various psychological anxieties owing to rapid physical changes, there are concerns that psychological dependence may increase, considering that adolescence is the most emotionally unstable perio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sistently prove that smartphone dependence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emotion-related variables, such as emotional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부모양육태도 및 또래요인이 청소년의 음란물 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ing and Peers on Pornography Media Engagement)

  • 양숙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729-74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양육태도 및 또래요인이 청소년의 음란물 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 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4차년도(2013년, 중1)와 중학교 1학년 패널 4차년도(2013년, 고1) 자료를 활용하였다. 패널 조사에서 조사된 사례 수는 초등학교 4학년 4차년도 패널 대상 2,378명과 중학교 4차년도의 패널 대상 2,361명이었으나 음란물 매체몰입 문항에서 응답이 이루어진 사례(중1= 190명, 고1=530명) 720명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음란물 매체 몰입 비율이 높았다. 또한, 부모양육태도 중 비일관성과 과잉간섭이, 또래요인 중 또래애착 및 비행친구 수가 청소년 음란물 매체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음란물 매체 몰입에 대한 개입을 그동안의 통제적 개입에 앞서 부모교육 강화 및 또래관계를 높이는 방안이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휴대전화 의존도를 매개로 하여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on Adolescents' Offenses : The Mediating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y)

  • 김지윤;강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9-52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휴대전화 의존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1,2,3차년도 조사에 총 2,086명의 중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포함하였다. 첫째,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는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매개변수인 휴대전화 의존을 줄이는 것으로, 부정적인 양육태도는 휴대전화 의존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트스트랩핑 방법을 통해 휴대전화 의존도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휴대전화 의존은 청소년 비행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 각각의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휴대전화 의존도와 청소년 비행을 줄이는데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것을 바탕으로 정책적, 실천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삶의 만족도 관련 변인의 유형화 연구 (A Clustering Study of the Variabl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5th Graders' Levels of Life Satisfaction)

  • 천희영;송영주;이미란
    • 아동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71-92
    • /
    • 2014
  • Using the second year data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elementary 4 panel, this study attempted to elucidate variabl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5th graders' life satisfaction and how the variables are clustered in each gender. Analyzing the data of 2378 5th graders (boys 1180, girls 1084) indicated that variables related to their life satisfaction were self-esteem, parenting style, peer attachment, grad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Both boys and girls were clustered into three clusters. The cluster 1 children indicated the highest degrees of self-esteem, peer attachment, grad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levels, and they perceived parenting style more positively than the children from the other clusters. The cluster 3 children showed the opposite trends to the cluster 1 children in each of the five variables and the cluster 2 showed middle levels in all of the variabl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clust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differences of children's life satisfaction and explanatory variables of life satisfaction.

학령기 아동 건강에 대한 사회적 결정요인의 상호작용 효과 (Interaction Effects of Social Determinants Affecting School-Aged Children's Health)

  • 김미영;박미석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515-527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social determinants and their interaction effects on the health of school-aged children in diverse environmental factors pertaining to the individual, family, and peers from an ecological systematic perspective. Data were drawn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develop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conducted in 2010.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 ${\alph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 18.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sex and age were related to the health of school-aged children, as social determinants. Self-rated levels of the health of boys and younger children were more positive than girls and older children; in addition, levels of self-resilience, satisfaction of peer relation, and parenting rearing attitud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elf-rated levels of the health of school-aged children as protective factors. Especi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teraction analysis between factors, self-resilience, and parenting rearing attitude were moderators of the effects on between sex and household income and self-rated level of the health of school-aged children respectivel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expand the social intervention range to improve school-aged children's health.

부모의 행복과 자녀의 행복의 관계에서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우울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happiness and children's happiness)

  • 김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69-479
    • /
    • 2022
  • 본 연구는 부모의 행복과 자녀의 행복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우울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조사하였다.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1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과 그 부모로부터 수집된 2,551부의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가 느끼는 행복은 자녀가 지각한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행복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녀의 우울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행복은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하다고 지각하는 부모들이 자녀에게 따뜻하고, 구조를 제공하며 자율성을 지지해주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녀에게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믿음을 갖게 하여 우울을 낮추고 행복을 높이는 데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연구 : 성취가치의 매개효과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Youth's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Community Sense Using Latent Growth Model : A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Values)

  • 오민아;조혜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5권1호
    • /
    • pp.125-13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youth's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community sense mediated by achievement valu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ree years of the longitudinal panel data (2011-2013)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Data were collected from 2,351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using SPSS 18.0 and AMOS 22.0.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decreased and community sense increased as time passed. These results supported the linear change model. Second, the initial status of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had effects on the initial status and change rates of community sense. Achievement values, the partial mediat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itial community sense bu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hange rates of community sense. We discussed how to improve Korean youth's community sense based on these results.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 김유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96-607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자료 중 초등학교 1학년 패널 7차년도 자료(중학교 1학년생, 2,002명)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양육태도의 돌봄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돌봄 양육태도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그 영향력은 돌봄 양육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자녀를 양육할 때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자아탄력성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요인임을 밝혔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 간의 종단적 관계 (Analysis of Longitudinal Relation of Children's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 김경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91-399
    • /
    • 2017
  •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의 초등학교 1학년 연령집단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고, 2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 참여한 총 2,110명의 아동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변화와 또래소외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2차년도부터 4차년도까지 측정한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3차년도와 5차년도에 측정한 또래소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첫째,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아동의 사회적 위축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초기치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변화율에서도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3학년에 측정한 또래소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5학년에 측정한 또래소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를 예방하거나 중재하기 위한 교육이나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아동의 생활시간과 놀이시간 양태 연구: 방과 후 보호자 유무에 따른 비교 (Analysis on the Hours of Living and Playtime of Children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a Protector After School)

  • 김지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8호
    • /
    • pp.13-19
    • /
    • 2012
  •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hours of living and playtime depending on existence of caregiver after school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7071. KCYPS date collected on 1th, 4th and 7th grade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The hours of living was categorized into sleeping, learning, reading and play times. Playtime was sub-categorized into time for using playing the computer/games, watching TV/DVD and playing with peer groups. The present study has shown that children in the fourth grade spent more time on learning, whereas reading children in the seventh grade spent more time on playing compared to those in other grades during the weekdays. Also, children in higher grades spent more time playing both on the weekdays and on the weekends. Students of all grades spent more time watching TV/DVD compared to other activities during the weekdays and the weekends. Children with a caregiver spent more time on learning and spent less time playing computer/game, watching TV/DVD and playing with peer groups than children without caregivers. As students moved up a grade, these results clearly appeared. Considering the results in this study, the allocation of hours of living and playtime of children altered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a caregi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