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dergarten teacher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4초

세종특별자치시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학교급별 직무만족도와 직무중요도 (School Dietitian's Job Satisfaction and Job Importance According to the School Types in Sejong City)

  • 유소영;김미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7권2호
    • /
    • pp.92-112
    • /
    • 2021
  • This study compared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importance of school dietitians according to various school types in Sejong. One hundred and twenty-six school dietitians working in kindergartens (n=36), elementary schools (n=42), middle schools (n=22), and high schools (n=26)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school types. Half of the subjects were over 41 years of age, with 64.3% graduating from graduate school. The percentage of nutrition teachers was the highest in middle schools at 95.4%, followed by the elementary school at 90.5% and high school at 73.1%, whereas 100% of the kindergarten dietitians were not nutrition teachers (P<0.001). The percentage of the running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classes/activities was lowest in kindergartens (P<0.001). The job satisfaction score in the job itself area was significantly lower in kindergartens and high schools than in middle schools (P<0.01). The satisfaction scores of human relationships, working environment, personnel evaluation, and welfar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schools. As for the Job importance, the scores of nutrition counseling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iddle school than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s (P<0.05). In cooking and distribution management, high schools were less important than other school levels (P<0.05).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the placement of nutrition teachers in kindergarten to promote nutrition education, the reduction of workload for school dietitians/nutrition teachers and additional placement of dietitians by the appropriate workload such as the number of people and meals to serve.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유치원 아동의 음악소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ic activitics using audition on Music Aptitude development for Kindergarten Children)

  • 노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권1호
    • /
    • pp.11-32
    • /
    • 2004
  • 에드윈 고든(Edwin E. Gordon)에 의하면 음악소질은 선천적인 자질과 후천적인 환경이라는 두 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결정되며 만 9세 이전에는 환경의 영향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하여 환경이 좋으면 발달되고 환경이 나빠지면 수그러드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또한 9세 이후에는 환경의 영향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고정음악소질의 시기에 놓인다. 본 연구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경험하는 풍부한 음악적 교육환경의 제공시기가 이를수록, 또한 교육의 제공기간이 길수록 소질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더욱 크다는 음악학습이론의 가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템플 대학의 음악학습이론 수업을 모델로 하여 설립된 유아음악감수성계발프로그램 "오디"가 계발한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음악소질에 미치는 교육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교육은 매주 30분 씩 연구자와 연구자 외 1인의 협력교사가 함께 아이들을 가르치는 Co-teaching 형식으로 음악지도의 형태가 아닌 음악안내의 교육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다양한 조성, 가사 없는 선율노래와 리듬노래, Free-Flowing Movement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동작, 개별적 반응활동인 패턴학습 등 음악학습이론의 원칙이 지켜졌으며 대그룹 수업을 위하여 오디가 발전시킨 새로운 수업전개방식과 기술이 적용되었다. 실험집단은 각각 1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과 만 4세 때부터 2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으로서 두 집단 모두 만 5세 때 고든의 오디에이션기초평가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Gordon, 1979)을 사용하여 학년초, 중, 학년말 등 3회에 걸쳐 음악소질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오디의 활동을 5세 동안 1년 교육받은 실험집단 1의 음악소질검사결과를 4세부터 2년 동안 교육받은 실험집단 2의 음악소질검사와 비교할 때 음감소질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리듬소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오디의 활동을 교육받은 실험집단과 오디의 음악수업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의 학기초 음악소질검사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기말 검사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건강의 조절효과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Moder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 전병주;윤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60-271
    • /
    • 2014
  • 본 연구는 충남 북, 대전 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33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조직건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건강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는 조직건강의 원장 지도성, 직무스트레스, 건강상태, 학력 순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교사는 직무스트레스, 조직건강의 조직구조 및 교사능력, 건강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건강 하위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는 원장 지도성, 유치원 교사는 조직구조 및 교사능력 등의 영역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통합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직무스트레스 등의 주요 요인에 대한 각 집단별 비교를 통하여 그 수준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여 유보통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지역별(地域別)로 본 우리나라 유아환경(幼兒環境)의 실태조사(實態調査)와 바람직한 유아환경(幼兒環境)의 조성방안(造成方案)에 관(關)한 연구(硏究) -농어촌(農漁村)·중소도시(中小都市)·대도시(大都市)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Cultural Children's of Young Environment among Large and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 이경희
    • 아동학회지
    • /
    • 제1권
    • /
    • pp.40-64
    • /
    • 198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t environment among the young children of large and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in Korea, in order to know how these different environment have an effect on the children's intellectual and emotional development. For this subjects, 2,700 questionares with 51 items were distributed to the infants' mothers in each area to interview and answer. About 1,800 questionaires were gathered from 3 metropolitan, 6 cities and 6 rural areas in (each 2 farming, fishing and mining villag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se questionaires were like following; 1.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of each family was 2.5 in large cities, 3.0 in small cities and 3.6 in the rural areas. 2. White about 75% of infants' parents of large cities graduated college education, only 6% of the rural parents did it. Most infants' parents of the rural areas have only graduated the elementary school. 3. About 90% of the rural, small and large cities family have had radios and T.V sets, and 90% of infants watched T.V program for 2 hours a day in average. 4. While about 50% of large cities' young children were not reared by their mother's milk but by milk and other foods, about 95% of rural infants by breasting mills. 5. Young children of large cities were wearing about 5 months earlier than those of the rural. 6. While 20% children of cities were taught in the kindergarten, most children of the rural areas could not be taught in the kindergarten. 7. About 45% young children of the rural areas and cities were understood and taught reading, writing letters and numbers by their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before entering primary school. 8. While 50% young children of large cities have had pianos and were taught music in kindergarten or piano tutor's, most of the rural areas have not had pianos and could not be taught music. 9. Most children's favorite music songs were T.V signals or C.M songs in both the rural and cities. 10. While most children of cities have had lots of children's pictures or fairy tale books. most infants of the rural areas have had nothing or a few. 11. As lots of infants could not find their pleasure resorts of sport tools outside, they used to play in side streets or publicroads with their friends. 12. While most infant's parents in cities wanted to make their infants lawyer or medicine doctor, most parents in rural areas wanted to make their children teacher or technician. 13. About a half of Korean infants have had their own rooms or have lived in it together with their brother or sister. In conclusion, as children of large cities have had more various kinds of cultural circumstances than the rural areas in aspects of cultural institutions' tools and environment of their parents' education, books, toys, pleasure resorts and their own rooms,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the former could be considered to surpass those of the latter. In other words, the average IQ points of urban's young children are 10 point higher than those of the rural areas, which means the better circumstance would affect the infant's intellectual development. Therefore, the government must support to make good circumstances of the children in the rural areas.

  • PDF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Strengths-Based Happiness Promo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미진;김병만;황해익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201-221
    • /
    • 2014
  • 본 연구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교사로서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치원교사 89명과 어린이집교사 95명이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 강점과 행복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살펴본 결과, 성격 강점에 대한 인식 정도는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모두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에 비해 유치원교사가 행복 증진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 목적, 운영자, 실시주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 유아교육기관, 교사 차원의 노력,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 프로그램 적용 시 필요한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도를 중심으로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서울 소재 병설유치원의 급식운영 현황 및 급식운영 관리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학교 교장과 유치원 원감을 대상으로 (Foodservice Status and Perception regarding Foodservice Management in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 정란미;김건희;오지은;함선옥;이승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92-502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foodservice status of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 further determin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nd kindergarten assistant principals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for kindergartens.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7 to 23, 2019, enrolling 207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Questionnaires were sent to principals of elementary schools and assistant principals of kindergartens, and the data obtained from 89 kindergarten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parts: general information on subjects, foodservice management status, foodservice management status during elementary school vacations, and the perception of principals of elementary schools and assistant principals of kindergartens on foodservice management. Data are presen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comparison between principals of elementary schools and assistant principals of kindergartens was conducted by paired t-test, chi-squar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A separate menu (10.1%) or recipe (20.2%) that considers preschooler characteristics was rarely used for foodservice at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Most kindergartens did not have a separate dining space (3.4%) or a dedicated cook (93.3%). Although most kindergartens (92.1%) had operational foodservice during elementary school vacations, non-professional staff and non-nutrition teacher were mainly in charge of organizing the menu and purchasing ingredients (34.1% and 41.5%, respectively). The rate of using a contract catering company (28.0%, 23.2%) was also high. Both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of kindergartens showed a high perception of the necessity for providing responsibility allowances for nutrition teachers and improving the cooking environment for kindergartens during elementary school vacations. Conclusions: There is a need for polici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foodservices for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언어 사용력(Speech Register)원리를 활용한 유아의 교육용 로봇 인식 (Applying the Speech Register Principle to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the Intelligent Service Robot)

  • 현은자;이하원;연혜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532-54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로봇을 경험한 만 5세 유아들의 로봇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언어 사용력(Speech Register) 이론이었으며 로봇, 친구, 인형을 대상으로 말투(Speech Tone) 비교를 하였다. 2-3년간 로봇을 경험한 3군데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인간에게 어울리는 자연스러운 말투와 단조로운 말투로 그림책을 읽어준 후 어떤 말투가 사람에게 어울리는 말투인지 유아들에게 질문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인간에게 어울리는 말투가 로봇, 친구, 인형 중 어떤 대상에게 적합한지 선택하게 하였고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람에게 어울리는 말투는 86%의 유아가 인형보다 로봇에게, 74% 유아는 로봇보다 친구에게 그리고 68%유아는 인형보다 친구에게 어울린다고 인식하였다. 즉, 유아들은 로봇을 인공물보다는 인간에게 가까운 존재로서 중간자적 혼성물(hybrid beings)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인식 기제는 인간 고유성(human uniqueness)인 인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였다. 그러므로 생물과 무생물의 이분법적 존재론적 인식 분류는 혼성물을 포함한 분류방식으로 대치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인천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tus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Incheon)

  • 박정아;장경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10호
    • /
    • pp.928-93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tus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NE) in Incheon. A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subjects were 147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Only 9.5% of the teachers had training in NE and 71.4% of the teachers with training increased concern about NE after training. As for experience of NE, 61.6% of the teachers experienced NE and more than half of them gave NE less than twice per mon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son for not giving NE between subgroups by teaching career; 57.7% of the teachers with career more than 10 years did not give NE due to too much other work. As for existence of nutrition educator in school, 48.9% of the teachers recognized its existence and 91.3% of them answered that dietitians have done NE. For correction of unbalanced diet, good table manner, and nutrition and growth, 97.9%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NE is necessary in elementary school. As for proper time to start NE, 57.5% of the teachers answered kindergarten and 39,7% answered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As for effective type for NE, 47.3% of the teachers answered NE as a part of other subject and 28.1 % answered NE as a separate subject. Also 69.8% of the teachers answered dietitian as suitable person for NE. As for newly establishing a NE subject, 37.9% of the teachers disagreed and as for most effective method for NE, 73.3% answered NE linked with school lunch program. Most of teachers recogniz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ating habit problem severe and change of their eating habit such as various food choice, no plate waste and good table manner after school lunch program. Therefore, it should be nationally supported that a standardized NE program is developed and coordinated among teachers, school lunch dietitian as NE specialist, family and community for elementary students' health and well-being.

현행 초등 수학 교과서에 대한 개선점과 개선 방향 (Improvements and Enhancements to the Direction of Current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안병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9-304
    • /
    • 2015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재의 초등 수학 교과서가 개발 당시에 기대했던 점들과 지금까지 수학 교과서에 제기되었던 주요 문제점들이 수업을 진행한 교사들의 입장에서,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에 대하여 스토리텔링, 흥미도와 자신감, 수학적 과정, 학습 내용의 양과 적절성, 평가, 수학의 유용성과 외형의 7개 부문의 20개 문항으로 나누어 설문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의 전체적인 경향은 긍정적이었다. 구체적으로 외형, 스토리텔링, 수학 유용성은 상당히 긍정적이었고, 수학적 과정, 학습내용의 양과 적절성 부문은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흥미도와 자신감 그리고 스스로 학습하기 부문은 큰 변화가 없어 그 원인 파악이 필요해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앞으로 새로운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개발방향이나 활용에 대한 효과의 제고를 위해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유아의 자유선택활동과 놀이 인원수 제한규칙 (Young Children's Free Choice Activities and a Play Rule Restricting the Number of Players)

  • 이유정;원계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7-8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 시 놀이 인원수 제한규칙에 따른 유아의 놀이를 알아보는 것이며, 본 연구결과가 자유선택활동 운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참여자는 사립유치원 4세 학급 유아 25명과 담임교사와 공동연구자인 도움교수였다. 2014년 7월부터 10월까지 유아 관찰, 유아 인터뷰, 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은 영역 선택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름표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서로 간의 과도한 경쟁을 하고 있었으며 규칙을 위반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인원수 제한규칙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 제한, 사회정서발달 저해와 안전사고 위험, 자유선택 행동 저해 등의 역기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규칙의 역기능을 인식한 연구자는 인원수 제한규칙을 해제함으로써 유아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공간 놀이 갈등 조절에서 유아의 자율성이 증진되었으며,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역할과 운영방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자유선택활동의 다양한 제한규칙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규칙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