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kaoTalk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Organizational Use of KakaoTalk, a Mobile Instant Messaging (MIM) Service, on Employees' Attitudes toward Current Organization in Korea

  • Jaehee Cho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0권1호
    • /
    • pp.120-142
    • /
    • 2020
  • Present-day organizations have become largely dependent on mobile instant messaging services (MIMs) for various organizational purposes. Focusing on the increasing use of MIMs in today's organizations, this study aims to explain how different aspects of KakaoTalk, the most dominant MIM in Korea, influence employees' attitudes toward their current employers, and how these attitudes impact the employees' intentions to stay at their present workplaces. Overall, with the exception of one factor (satisfaction with KakaoTalk use), all other factors (perceived quality of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KakaoTalk, belongingness through KakaoTalk, and KakaoTalk overload) significantly influenced employee's attractiveness toward their current employers. Specifically, while KakaoTalk overload's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was negative, two other factor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t. Perceived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also strongly influenced employees' intention to stay at their present workplace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expanding practical and theoretical understandings regarding the critical roles of MIMs i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organizations in this hyperconnected society.

KakaoTalk의 채팅 메시지 포렌식 분석 연구 및 WhatsApp의 Artifacts 와의 비교 분석 (Forensic Analysis of chatting messenger service in KakaoTalk and Comparison Study of KakaoTalk and WhatsApp Artifacts)

  • 윤종철;박용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77-785
    • /
    • 2016
  • IM(Instant Messenger)의 채팅메시지는 이용자의 생활패턴, 지리적 위치, 심리 상태, 범죄 사실에 대한 흔적들이 존재하여 포렌식 분석이 필요하다. 하지만, KakaoTalk의 포렌식 분석은 주고받은 상세메시지에 대한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우선 일반적인 IM 채팅메시지의 분석방법론을 정리 분석하였고, KakaoTalk의 상세 채팅메시지의 테이블 구조를 분석하여 메시지를 재구성하였고, 채팅메시지를 복원하였다. 그 결과 분석한 정보를 활용하면 Forensic Tool의 기본 플랫폼이 된다. 추가적으로 분석한 KakaoTalk과 WhatsApp을 비교 분석하여 비슷한 IM App이지만, 다른 흔적의 차이를 논의하였다.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KakaoTalk 메신저의 포렌식 분석 방법론 제안 및 분석 (Forensic Analysis of KakaoTalk Messenger on Android Environment)

  • 윤종철;박용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72-80
    • /
    • 2016
  • 최근 우리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KakaoTalk IM(Instance Messenger)을 사용한다. IM 서비스에는 사용자/용의자의 생활패턴, 지리적 위치, 사상, 심리 상태 및 범죄 사실에 대한 흔적들이 존재하여 포렌식 분석이 필요하다. 하지만, KakaoTalk의 포렌식 분석은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KakaoTalk에 적합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제시하고, 흔적(Artifacts)의 위치 발견을 하고, 연락처 메시지의 칼럼 구조 분석하고, 사용자/용의자를 식별 하였으며, 추가한 연락처 정보들과 메시지의 타입을 파악하였고, 삭제한 연락처의 백업파일을 사용하여 복원하였다. 그 결과 분석한 정보와 방법론을 활용하면 Forensic Tool의 기본 플랫폼이 된다.

초등학생 메신저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카카오톡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Instant Messaging Services i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Kakao Talk application-)

  • 이종원;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327-333
    • /
    • 2019
  • 본 연구는 국민 채팅 앱으로 일컬을 수 있는 카카오톡을 부모들이 안심하고 초등학교 자녀들이 쓰게 할 수 있도록, 초등학생 자녀들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양 대상자 간의 사용자 경험의 차이점을 조사한 후 카카오톡의 개선 영역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을 조사하고, 키즈폰 출시와 한계점, 카카오톡의 사회적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부모 8명과 해당 자녀 8명을 대상으로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델을 기반으로 한 설문조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각 대상자의 카카오톡의 구체적인 사용 실태와 관점, 니즈를 파악하였고, 부모들은 신뢰성 부분에서 카카오톡을 신뢰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카카오톡 실제 개선까지 이루어져 부모와 자녀가 안심하고 쓸 수 있는 카카오톡이 되기를 기대한다.

한국형 SNS의 진화 :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The Evolution of Korean Social Network Service focusing on the Case of Kakao Talk)

  • 정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147-154
    • /
    • 2012
  • 한국형 SNS의 성장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 1위 모바일 IM인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해본 결과 다음의 사항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카카오톡은 PC상의 메신저 서비스와 다르게 모바일 IM 서비스를 바탕으로 소셜서비스 회사로 진화하고 있었다. 둘째, 카카오톡은 다양한 소셜서비스(사진기반 카카오스토리, 게임 마케팅 플랫폼 게임센터 등)를 시도하여 성공적으로 SNS 회사로 안착하였다. 셋째, 트위터의 사례처럼 플러스친구를 통한 뉴스 서비스, 아바타 및 앱스토어 등을 통해서 소셜미디어 및 소셜플랫폼 회사로 진화하고 있었다. 이런 한국시장에서 카카오톡의 성공은 NHN의 라인을 통해 일본 및 동남아시장에서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라인은 카카오톡의 다양한 검증된 SNS 실험들을 일본시장에 적용시킴으로써 그 성공을 이어가려고 하고 있다. 온라인 웹서비스 싸이월드가 SNS로 세계시장에서 이루지 못한 것을 모바일 IM인 카카오톡, 라인은 그 성공 가능성을 한층 높여 주고 있다.

주식회사 카카오의 플랫폼 전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latform Strategies of Korean First Mobile Instant Messenger KakaoTalk)

  • 장경영;오정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4호
    • /
    • pp.49-56
    • /
    • 2013
  • 카카오톡 가입자 수가 1억 명(2013년 7월)을 돌파하며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카카오톡이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필수품으로 자리 잡자 카카오톡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플랫폼으로서의 카카오톡에 대한 분석, 다시 말해 주식회사 카카오의 플랫폼 전략에 대한 분석이 충실하게 이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플랫폼 전략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인 Platform Leadership(Gawer & Cusumano, 2002; 2008)과 Winner-take-all dynamics(Eisenmann et al, 2006), Open Service Innovation(Chesbrough, 2011)의 논의 내용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아, 주식회사 카카오의 플랫폼 전략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카카오가 경쟁자인 다음커뮤니케이션의 마이피플과 네이버의 라인을 제친 것은 Eisenmann et al(2006)의 승자독식 플랫폼의 조건으로 설명됐다. 이렇게 경쟁자들을 제압한 카카오는 이동통신사들의 유료 문자 메시지에 머물러 있던 모바일 소셜 커뮤니케이션의 수준을 새로운 차원으로 격상시켜야 한다는 '극히 중요한 문제(essential problem)'를 해결함으로써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라는 새로운 플랫폼을 창출하는 Gawer & Cusumano(2008)의 Coring 전략의 첫 번째 요건을 충족시켰다. 이어서 카카오는 카카오톡 아이템스토어와 모바일 게임 플랫폼(게임하기)을 통해 생태계 구성원들에게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Coring 전략의 두 번째 요건(생태계 구성원들을 위한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도 충족시켰다. 카카오는 고객의 아이디어를 적극 받아들여 카카오톡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대고객 플랫폼 리더십을 강화함으로써 Chesbrough(2011)의 Outside in-Open Service Innovation전략을 실행했다.

  • PDF

macOS용 카카오톡 데이터베이스 복호화 방안 (Decryption of KakaoTalk Database for macOS)

  • 박범준;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753-760
    • /
    • 2023
  • 국내 메신저 중 카카오톡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그만큼 카카오톡의 대화 내용은 디지털포렌식에서 중요한 증거가 되고 있는데, 대화 내용이 사용자 기기에 암호화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macOS는 디스크 암호화 기능이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어 접근이 어렵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Windows용 카카오톡 데이터베이스의 복호화 방법은 연구되었지만, macOS용 카카오톡에 대해서는 복호화 방법이 연구된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macOS용 카카오톡 데이터베이스와 수신 파일에 대한 복호화 방안과 카카오톡의 UserID가 생성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전수조사 방안을 제시하고 Windows용 카카오톡과 비교 검토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결과는 macOS를 이용한 범죄를 수사할 때 사용자의 행위 및 사건의전개를 분석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카카오톡 API를 이용한 Django 기반 챗봇 시스템 (Django based ChatBot System Using KakaoTalk API)

  • 고흥찬;김민수;이솔비;이형우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31-36
    • /
    • 2018
  • 본 논문은 대학생들이 소속 대학 내 주요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KakaoTalk API를 활용하여 장고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챗봇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특정 정보만을 제공하는 기존 챗봇 시스템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챗봇은 대학 내 주요 정보 뿐만아니라 날씨, 유투브, 네이버 실시간 랭킹 검색 및 언어 번역 등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질의에 대해 자동으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AWS Ubuntu 서버내에 Apache, Python 및 Django를 이용하여 모듈을 개발하였고 KakaoTalk API 및 BeautifulSoup 등을 이용하여 카카오톡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 질의에 대해 자동으로 응답하는 챗봇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에 대해서는 향후 대학 입시 정보 홍보 및 선거 홍보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valuation of Safeness and Functionality in Applied Technologies for Mobile Messengers

  • Cho, Gyu-S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29-39
    • /
    • 2016
  • Recently, KakaoTalk users seek secure messengers with fears of 'possible' censorship over a mobile messenger. Instead German messenger "Telegram" is gaining popularity in South Korea. Are the known as secure messengers actually secure? In this paper, we evaluate secure mobile messengers in terms of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We establish the fourteen criteria to evaluate the functionality of messenger apps including communication encryption in transit, the possibility of leakage of decrypted messages via server, an encryption algorithm, a key exchange algorithm, an ephemeral message application, etc. Line, Telegram, Snapchat, WhatsApp, Wickr, Facebook Messenger and KakaoTalk, which have many worldwide and domestic users, are to be targeted. Wickr is ranked at the top of the evaluation, followed by Telegram and Line but KakaoTalk and Snapchat are ranked at the bottom of the evaluation list.

Impacts of Information Source and E-service Quality on Mobile Shopping Behavior in KakaoTalk

  • Yi, Kyong-Hwa;Jeon, Sua;Kim, HaeJung Maria;Forney, Judith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6호
    • /
    • pp.32-51
    • /
    • 2016
  • KakaoTalk has become a reputed mobile social network and an inseparable part of people's lives by leading the mobile industry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in academia regarding perception of the consumers and assessment toward the mobile marketing and services by KakaoTalk. Based on the theoretical orientation of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Petty & Cacioppo, 1986) and electronic service quality (E-S-QUAL: Parasuraman, Zeithaml, & Malhotra, 200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ources (Charles & Richard, 1988), and examines the consumer perception toward the service quality of KakaoTalk. A total of 209 responses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survey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from March 2015 to June 2015. A seven-point Likert scale survey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information sources (i.e., argument quality, post popularity, and post attractiveness), electronic service quality (i.e., efficiency, fulfillment, privacy, and system availability), attitude (i.e., usefulness, preference, and overall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e., like intention, share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reveals a consensus that an online environment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retail context in terms of information source and service quality. Specifically, the results indicate that argument quality greatly impacts the attitudes of the individuals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 toward mobile shopping via social media channel. The most powerful factor among E-S-QUAL is "efficiency." This dimension of service quality influences the customer perception of usefulness and preference as well as share and like intention toward mobile shopping on Kakao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