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SCO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있어서 수산질병관리사의 직업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ccupation Classification of Aquatic Disease Inspector in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KSCO))

  • 고명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10-21
    • /
    • 2014
  • The aquatic disease inspector is not classified as an occupation in the current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KSCO). Therefore, the roll of the aquatic disease inspector in the medical treatment and the prevention against the aquatic organism disease is underestimated. The aquatic disease inspector is in a more disadvantageous position than the pharmacist and the veterinari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ve the aquatic disease inspector as an occupation in KSCO. The important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this study looks around the general requirements of classifying the occupations in KSCO. The aquatic disease inspector satisfies the most general requirements. But, because of the similarities of job between the aquatic disease inspector and the veterinarian, the aquatic disease inspector do not satisfy the requirement for 'the principle of exclusiveness'. In the second place, this study looks aroun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KSC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KSCO is consists of multi steps. This study makes the plan for the appropriate occupation classification of the aquatic disease inspector. In the third place, this study looks for the legal methods to classify the aquatic disease inspector as an occupation in KSCO. In order to classify the aquatic disease inspector as an occupation in KSCO, many regulations of the laws about the aquatic disease inspector and the veterinarian are to be amended and the number of the aquatic disease inspectors is to be increased by the innovative measures.

광양제철소의 입지와 지역경제의 변화 (The Impact of the Kwang-yang Steel & Iron Company역s Location to the Regional Economy)

  • 유성종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3-80
    • /
    • 2000
  • 전통적인 농수산업지역인 광양에 제철소가 입지하여 세계 제1의 제철소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광양지역은 급격한 인구유입과 함께 사회적.경제적 변화를 경험했다. 제철소의 입지는 연관단지의 조성과 관련산업을 육성시켜 광양지역을 신흥공업도시로 변모시켰고 고용을 확충시켰다. 2000년 말 현재 광양제철소와 직접 관련된 고용인원은 17,240명이며 광양시에 거주하는 39,593명(28.7%)이 직접 관련된 인구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광양제철소의 입지가 광양지역의 공습화와 경제구조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변이할당분석과 지역성장률시차분석을 수행했다. 1981년 594명이던 광양의 고용인구는 1992년에 29,865명으로 증가하였고, 다시 1998년에 23,399명으로 감소하였다. 지역경제구조변화는 제조업과 건설업이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 PDF

측량사관련 표준직업분류에 관한 연구 (Standard Occupation Classification in Surveyors)

  • 이영진;문성호;정광호;송준호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20
    • /
    • 2006
  • For group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classification of surveying jobs, watching for internal surveying jobs, it has a purpos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KSCO based on ISCO-88 was identifed with having independent special surveyors differing from foreign surveying jobs classification. Str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of foreign survey is classifying KSCO of survey detailed. thus, the improvement of survey jobs classification of KSCO is urgent to produce, analyze and process the data about the same field for classifying survey information industry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It is changing from analog survey to digital survey applying a new technology such as GPS, GIS, RS. thus, the field of geoinformation is needed to classify and improve newly.

  • PDF

민간경비의 직업정체성과 직업명망 확립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 한국표준직업분류상 경비원 직업분류의 개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Establishment of Occupational Identity and Occupational Prestige of Private Security)

  • 서진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87-203
    • /
    • 2017
  • 본 연구는 민간경비의 직업정체성이나 직업적 명망에 영향을 주는 공식적 제도적 구현방법인 한국표준직업분류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이 있다. 현행 한국표준직업분류(KSCO)는 현행 민간경비 관련 법규체계, 관련된 고등교육체계와 사회교육체계에서의 교과과정, 향후의 NCS체계나 신자격 체계 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현재의 보안 및 경비관련 시장과 부정합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1) 단순노무종사자에 중복 분류된 민간 경비 관련 직업을 일원화하여야 한다. (2) 무인경비원(4123)을 삭제하고, 대신 보안경비원(4123)을 신설한다. (3) 보안경비원(4123)에 대한 세세분류로 시설경비원(41230), 호송경비원(41231), 기계경비원(41232), 보안관제원(41233), 특수경비원(41234) 등을 신설한다. (4) 대분류 9(코드9)의 단순노무종사자에서 중분류 및 소분류의 명칭을 변경하고, 경비원(9421)을 감시원(9421)로 조정한다.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수해양산업의 종합적 직업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atic Standard Classification of Fishery and Ocean Occupation by KSCO)

  • 김삼곤;박종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341-363
    • /
    • 2006
  • All industries must be cope with fast technological progress along with the economic changes experience. However, a fishery and ocean industry are something yet to study base data for HRD and classifying occupation. Therefore, this study points to major problems which related useful data of information on the fishery and ocea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fishery and ocean occupations by KSCO. The study is carried out th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field investigation, direct interview and an experts' meeting of 5 field majors. A proposed classification of fishery and ocean occupations is modified on several times by the meeting of experts' group. Finally,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fishery and ocean occupations is as follows. First of all, first rank change from fishing to fishery industry. And the second rank, fishery and ocean occupa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bases on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s it were production fisheries, fishery products and processing, fishery supplies and infrastructure, fishery services. Each rank of classifying occupation is from two to four steps based on the occupation cluster.

한국 표준직업분류에 따른 근로자의 구강기능문제 (A Study on Workers' Oral Function Problem According to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 주온주;김인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41-347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표준직업분류에 따른 근로자의 구강기능문제를 파악하고 근로자들이 집단구강건강관리사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건법의 개정을 촉구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원시자료(1차,2차)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한국 표준직업분류에 따른 근로자를 대상으로 씹기문제와 말하기문제를 조사한 결과 한국 표준직업분류에 따른 근로자의 유형과 씹기문제, 말하기문제의 연관성이 확인되었다(p<0.05). 이에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집단구강건강관리사업이 실행되어야 하며 집단구강건강관리사업의 주최가 될 전문성을 갖춘 전문보건의료관리자를 채용할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앤더슨 모형을 적용한 산업체 근로자 직업유형에 따른 구강보건행위와 치과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oral health behavior and dental clinic use in industrial workers by Andersen model)

  • 임애정;허윤민;김형주;임희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5-243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and oral health beliefs in industrial workers an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n dental health care utiliza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280 adults from 16 to 64 years old in Seoul and Gyeonggi from June 20 to July 31, 2014,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after receiving informed consent.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The predisposing factors included gender, age, residence area, number of family. The enabling variables included monthly income, education, occupation, type of employment. The need factors included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and oral health belief model. These three variables had a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dental clinic use. The types of occupation were classified into desk duties, merchandizing and service duties technology and others by KSCO-6. Results: The relating factors to dental health care utilization were sex, oral health beliefs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and self-efficacy. Female tended to have the higher oral health beliefs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p<0.01), self-efficacy(p<0.05). Conclusions: Those who received frequent oral examination and health instruction tended to have a favorable impact on maintenance of oral health status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인공지능 노출 정도에 따른 고용 추세 분석: K자형 고용 양극화 (Analyzing employment trends in response to AI exposure: K-shaped labor polarization in Korea)

  • 이예슬;황현준
    • 정보화정책
    • /
    • 제30권3호
    • /
    • pp.69-91
    • /
    • 2023
  • 기술 발전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자동화에 의한 대체 또는 새로운 업무 도입에 따른 고용 증가 등 여전한 논쟁의 대상이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고용에 대한 실증 논의는 더욱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어처리 기법(SBERT)과 특허를 이용하여 직업별 인공지능 노출 점수를 계산하고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별 고용 추세를 분석한다. 자연어처리 기법을 통해 한국 특허와 미국 직업의 업무 설명을 연계하는 인공지능 노출 점수 계산 방식과 한미 표준직업분류 연계 방식을 제시하고 이를 국내 고용 통계에 적용하여 추세를 분석한다. 2013년 이후 국내 인공지능 출원 특허와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고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평균 이상의 인공지능 노출 집단에서 우상향하고, 평균 이하 집단에서는 우하향하는 K자형 양극화 양상을 보인다.

의료기사의 의료인 종별 포함에 관한 기초조사 연구: 한국,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Basic Study on the Inclusion of Medical Technologists in the Type of Medical Personnel: Focus on Korea, Japan, and Taiwan)

  • 구본경;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1-3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사를 의료인 종별에 포함시키는 것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의료법에서 의료인을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로 정의한다. 의료기사는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로 구분한다. 한국은 의료인에 의료기사를 포함하지 않지만 일본과 대만은 의료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제표준직업분류(ISCO-08), 한국표준직업분류(KSCO-2017), 일본표준직업분류(JSOC-2009), 대만표준직업분류(TSOC-2010), 미국표준직업분류(SOC-2018) 등의 다양한 표준직업분류를 비교하였다. 의료기사 교육체계는 4년제 대학과 3년제 전문대학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의료행위, 치료, 진료보조 분야에서 의료기사의 역할을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기초자료는 의료기사의 의료인 종별 포함의 의미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과 의료인 종별 포함과 관련하여 의료기사의 전문성의 합법화에 기여할 것이다.

한국에서의 창조계급 적합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for the Suitability about the Creative Class in Korea)

  • 최일용;황성원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67-489
    • /
    • 2014
  • 본 연구는 창조경제시대에서 창조도시와 도시 성장의 핵심 자본인 창조계급에 대해 우리나라에 적합한 창조계급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Florida(2002)의 창조계급과 Mcgranahan & Wojan(2007)이 재구성한 창조계급을 국내 통계청의 2010년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직업분류기준표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창조계급과 혁신지수, 하이테크지수, 경제적 성과(임금)의 지역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창조계급과 국내 혁신지수, 하이테크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Mcgranahan & Wojan(2007)의 창조계급이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Flordia 보다 Mcgranahan & Wojan 창조계급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Mcgranahan & Wojan(2007)의 창조계급에 대해 혁신 및 하이테크지수, 경제성장과의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창조계급이 혁신, 하이테크,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국내의 다양한 창조계급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경제적 성장과의 분석을 통해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입안자에게 창조계급 유입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창조계급 유입을 위한 도시환경과 지역경제성장과의 관계 및 한국의 창조계급 지표 수립에 관한 다양한 후속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