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rkat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4초

p-Coumaric acid에 의해 유도되는 인체 Jurkat T 세포의 에폽토시스 기전 (Activation of Pro-Apoptotic Multidomain Bcl-2 Family Member Bak and Mitochondria-Dependent Caspase Cascade are Involved in p-Coumaric Acid-Induced Apoptosis in Human Jurkat T Cells)

  • 이제원;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678-1688
    • /
    • 2011
  • 다양한 식용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phenolic acids의 일종인 p-coumaric acid의 항암활성을 규명하고자, 인체 급성백혈병 T 세포주인 Jurkat T 세포에 대한 p-coumaric acid의 에폽토시스 유도기전을 조사하였다. Jurkat T 세포를 p-coumaric acid (50-$150{\mu}M$)로 처리한 결과, 세포독성, 에폽토시스-관련 DNA fragmentation, 및 pro-apoptotic multidomain Bcl-2 family member인 Bak의 활성화, ${\Delta}{\psi}m$ loss, caspase-9, -3, -7, 및 -8의 활성화, 그리고 PARP 분해 등의 여러 에폽토시스-관련 생화학적 현상들이 농도의존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에폽토시스-관련 생화학적 현상들은 Jurkat T 세포에 anti-apoptotic Bcl-2 단백질을 과발현할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p-coumaric acid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Jurkat T 세포의 에폽토시스에는 necrosis가 수반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Jurkat T 세포를 pan-caspase inhibitor인 z-VAD-fmk를 전처리할 경우, p-coumaric acid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tic sub-$G_1$ peak는 차단되어 나타나지 않았으나 ${\Delta}{\psi}m$ loss는 여전히 나타났는데, 이는 p-coumaric acid처리에 의한 에폽토시스의 유도에 caspase cascade 활성화가 필수적이며 ${\Delta}{\psi}m$ loss의 downstream 현상임을 나타낸다. 한편, FADD 및 caspase-8을 함께 발현하는 Jurkat T 세포주 A3, FADD-결손 Jurkat T 세포주 I2.1, 그리고 caspase-8-결손 Jurkat T 세포주 I9.2의 p-coumaric acid의 세포독성에 대한 감수성은 서로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p-coumaric acid처리에 의한 에폽토시스의 유도가 Fas와 FasL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개시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p-Coumaric acid의 세포독성은 Jurkat T 세포에 비해 인체 정상 말초혈액 T 세포에서 훨씬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p-coumaric acid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Jurkat T 세포의 에폽토시스가 Bak 활성화, ${\Delta}{\psi}m$ loss, caspase-9, -3, -7, 및 -8로 이루어진 caspase cascade의 활성화, 그리고 PARP 분해에 의해 유도되며, 또한 anti-apoptotic 단백질인 Bcl-2의 과발현에 의해서 음성적으로 조절됨을 나타낸다.

CD29 및 CD98 활성 매개에 의한 Jurkat T 세포의 유착과 그 활용 (Cell-cell Adhesion of Jurkat T Cells Induced by CD29 and CD98 Activation and its Application)

  • 김병훈;조재열
    • 약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19-124
    • /
    • 2009
  • Cell-cell adhesion managed by various adhesion molecul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functional activation of cells. This event mediates attachment of inflammatory cells to endothelial cells, interaction of antigen-presenting cells with T cells and metastatic adherence of cancer cells to epithelial tissue cells. Therefore, this cellular response is considered as one of therapeutic target to treat various cancers and inflammatory diseases. To develop proper model for evaluation of functional activation of adhesion molecules, the ability of U937 and Jurkat T cells responsive to various adhesion inducers such as phorbal-12-myristate-13-acetate (PMA), staurosporin and monoclonal antibodies to CD29, CD43 and CD98 was investigated using quantitative cell-cell adhesion assay. U937 cells made more cell-cell clusters by the treatment of antibodies to CD29 and CD43 than Jurkat T cells, while Jurkat T cells exhibited increased cell-cell adhesion ability in CD98 antibody treatment. In agreement, the surface levels of CD29 and CD98 were highly observed in U937 and Jurkat T cells, respectively. Therefore, our data suggest that Jurkat T and U937 cells can be used for model system to evaluate functional activation of adhesion molecules such as CD29 and CD98.

Study for the Production of Immunodeficiency Animal for Xenotransplantation

  • D. I. Jin;Lee, S. H;J. H. An;Y. G. Ko;Kim, H. J.;Lee, S. H.;Park, C. S.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7-351
    • /
    • 2002
  • Transgenes in HSY-TK gene driven by the lck promoter was tested for the expression in immune cells (Jurkat cells) to apply xenotransplantation of human cells into transgenic animals for the potential use of the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of human stem cells in the large animal such as an pig. Also, lck-CFP gene was used for transfection experiment into Jurkat cell to confirm the proper regulation of lck promoter for transgene expression in the T cells. Transfection of lck-GFP gene into Jurkat ceils induced CFP expression in transfected cells. The expression of Ick-TK and Ick-CFP genes was confirmed by RT-PCR using RNAs extracted from Jurkat cells, When Jurkat cells transfected with TK and CFP genes were selected against G418 or gancyclovir treatments, Jurkat cells transfected with TK gene were not proliferated in G4i8 and gancyclovir medium while intact cells or cells transfected with CFP gene could grow in gancyclovir medium. However, Jurkat cells transfected with TK or GFP gene were proliferated in G418 medium probably due to Neo$^{r}$ gene in the vector. Gancyclovir treatment destroyed Jurkat cells expressing TK gene indicating that T-cells expressing TK gene can be selectively eliminated by TK gene expression driven by lck promoter.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에 있어서 Zanthoxylum schinifolium 줄기의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살기전 규명 (Apoptosis of Human Jurkat T Cells Induced by the Methylene Chloride Extract from the Stem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is Associated with Intrinsic Mitochondria-Dependent Activation of Caspase Pathway)

  • 전도연;우미희;박해선;김준석;이인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499-1506
    • /
    • 2008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는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의 줄기로부터 항암활성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산초 줄기를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각 추출물의 인체 급성백혈병 암세포에 대한 독성 및 세포자살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Methanol (SS-7), methylene chloride (SS-8), ethyl acetate (SS-9), n-butanol (SS-10)로 추출한 각 시료와 유기용매 추출 후 잔여분획 (SL-14)의 세포 독성을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주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주로 methylene chloride 추출분획인 (SS-8)에서 확인되었다.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SS-8)의 Jurkat T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의 기전은 mitochondria로부터cytochrome c 방출, caspase-9 및 caspase-3의 활성화, PARP 분해, internucleosomal DNA fragmentation 등의 일련의 생화학적 반응을 수반하며, 항 세포자살단백질인 Bcl-xL단백질의 과발현에 의해 억제되는 세포자살 기전임을 확인하였다. FADD가 disruption된 Jurkat T cell clone I2.1 ($FADD^{-/-}$) 및 caspase-8가 결핍된 Jurkat T cell clone I9.2 (caspase-$8^{-/-}$)와 함께 the wild-type Jurkat T cell clone A3에 미치는 SS-8의 세포독성작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wild-type Jurkat A3, FADD-deficient Jurkat clone I2.1및 caspase-8-deficient Jurkat clone I9.2 모두는 SS-8의 세포독성에 대해 유사한 정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SS-8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 있어서, Fas/FasL system이 관계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한편, SS-8를 GC-MS 분석하여, 9,12-octadecanoic acid (18.62%), 2,4-dihydro-5-methyl-4-(1-methylethylidene)-2-(4-nitrophenyl)- 3H-pyrazol-3-one (14.97%), hexadecanoic acid (14.23%), (z,z)-6,9-pentadecadien-1-ol (13.73%), 5,6-dimethoxy- 2-methyl benzofuran (10.95%), 그리고 4-methoxy-2-methylcinnamic acid (5.38%) 등을 포함한 16가지의 구성 성분과 그 조성비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산초 줄기에 함유된 항암 활성에 대한 규명과 이해를 증진시킨다.

후박 열수 추출물의 Jurkat T 세포에서 세포사멸 효과 (Machilus Thunbergii Water Extract Induces Cytotoxic Effect against Human Acute Jurkat T Lymphoma)

  • 김민환;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51-957
    • /
    • 2017
  • 후박은 전통적으로 동양의학에서 사용되어왔는데 인간 급성 백혈병 세포주인 Jurkat T 세포를 사용하여 후박의 세포독성 관련 기작을 알아보았다. 후박 뿌리(3 kg)를 메탄올로 추출, 증류한 후 내용물을 물에 녹여 동결 건조 후 사용 하였다. 그 활성물질을 MTWE이라 명명하였다. MTWE을 0, 25, 50, $1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세포사멸 과정을 보았다. 즉, mitochondria cytochrome c 방출, caspase-3의 활성화 및 ICAD 분해를 관찰하였다. 더욱이, mitochondria cytochrome c 방출 억제자인 Bcl-xL이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Jurkat T 세포에서는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MTWE가 mitochondria 신호전달 과정을 통해서 세포사멸을 유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MTWE를 0, 25, 50, $100{\mu}g/ml$ 처리에 대한 암세포 성장억제인자인 DUSP6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핵의 apoptotic morphology 변화를 DAPI를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비록 DUSP6와 다른 관련인자들간의 관련성을 찾아야 하지만, 이상의 결과는 MTWE가 T세포에 의한 급성 백혈병을 조절하는데 이용 될 수 있다는 것의 의미한다.

Jurkat T 임파구의 세포주기 기전에 미치는 저근백피(Ailanthus altissima)의 효과 (Effect of Ailanthus altissima Water Extract on Cell Cycle Control Genes in Jurkat T Lymphocytes)

  • 전병훈;황상구;이형철;김춘관;김대근;이기옥;윤용갑
    • 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8-23
    • /
    • 2002
  • Ailanthus altissima has been used to settle an upset stomach, to alleviate a fever and as an insecticide. We reported that the water extract of A. altissima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in Jurkat T-acute Iymphoblastic leukemia cells. Here, we showed the dose-dependent inhibitions of cell viability by the extract, as measured by cell morphology. The cell cycle control genes are consider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tumorigenes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altissima on cell cycle progression and its molecular mechanism in the cells. The level of p21 protein was increased after treatment of the extract, whereas both Bcl-2 and Bax protein levels were not chan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altissima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via p21-dependent signaling pathway in Jurkat cells which delete wild type p53. Gl checkpoint related gene products tested (cyclin D3, cyclin dependent kinase 4, retinoblastoma, E2Fl) were decreased in their protein leve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fter treatment of the extrac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of apoptotic cell death by A. altissima may be due to the inhibition of cell cycle in Jurkat cells.

천초근 dichloromethane 추출물의 Jurkat T 세포에서 세포사멸 효과 (Apoptotic Effect of Rubia cordifolia Dichloromethane Extracts on Human Acute Jurkat T Cells)

  • 김지혜;이종환;김영호;김광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3-168
    • /
    • 2009
  • 천초근은 전통적으로 동양의학에서 항암제로 사용되어왔는데 인간 급성 백혈병 세포주인 Jurkat T 세포를 사용하여 천초근의 세포독성기작을 알아보았다. 천초근 뿌리(3 kg)를 메탄올로 추출, 증류한 후 물에 녹여 다시 dichloromethane으로 추출분획 하였다. 세포독성 활성을 보이는 dichloromethane 추출물을 연속적으로 HPLC를 통해 분리하였고 그 활성물질(65 mg)을 CCH1이라 명명하였다. CCH1을 0.5 ${\mu}g$/ml에서 2.0 ${\mu}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세포사멸 과정을 보았다. 즉, mitochondria cytochrome c 방출, casapase-8, -9 및 caspase-3의 활성화, PARP 분해, DNA 단편화 현상들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하지만, mitochondria cytochrome c 방출 억제자인 Bcl-xL이 과발현되는 Jurkat T 세포에서는 세포사멸현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CCH1이 mitochondria 의존적인 신호전달 과정을 통해서 세포사멸을 유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CCH1에 의한 세포독성은 혈액에서 분리한 단핵구 세포보다 Jurkat T 세포에서 보다 강한 활성을 보였다.

HK표고버섯균사체의 ConA로 처리된 Jurkat cells에서 NFAT 활성화를 통한 면역증진 (HK Shiitake Mushroom Mycelium Exhibits Immune Functions in ConA-Treated Human Jurkat Cells Through NFAT Activation)

  • 오태우;문연규;김훈환;김곤섭;김정옥;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678-689
    • /
    • 2022
  • HK shiitake mushroom mycelium (HKSMM: 14% β-glucan)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개별인정형 간 건강기능식품 원료이다. HKSMM의 50% ethanol 추출물 (HKSMM50)에 대한 면역증강 효과를 Concanavalin A (ConA)로 활성화한 human T lymphocyte Jurkat cells에서 연구하였다.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는 positive control로 사용하였다. ConA로 활성화한 Jurkat cells에 HKSMM50 (0, 25, 50, 100 ㎍ g/ml) 및 AHCC (100 ㎍ g/ml)를 처리하고 3시간 또는 6시간 배양하였다. Jurkat cells의 cytosol과 nucleus에 함유된 transcription factor인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NFAT) 함량은 Western blotting으로 측정하였다. Interleukin-2 (IL-2)와 interferon-gamma (IFN-γ) 함량 및 cyclooxygenase-2 (COX-2) 활성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로 분석하였다. HKSMM50은 cytosolic NFAT protein 함량은 낮추었고, nuclear NFAT protein함량은 증가시켰다. IL-2와 IFN-γ 함량은 증가되었고, COX-2 활성과 apoptosis는 억제되었다. AHCC 효과는 HKSSM50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HKSMM50가 ConA로 활성화된 Jurkat cells에서 NFAT protein을 활성화시켜, IL-2와 IFN-γ 함량을 증가시켰음을 의미한다. 또한 HKSMM50은 COX-2 활성과 apoptosis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HKSMM이 면역증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에 있어서 L-canavanine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살기전에 미치는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p56lck의 저해 효과 (A Natural L-Arginine Analog, L-Canavanine-Induced Apoptosis is Suppressed by Protein Tyrosine Kinase p56lck in Human Acute Leukemia Jurkat T Cells)

  • 박해선;전도연;우현주;류석우;김경민;김상국;박완;문병조;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29-1537
    • /
    • 2009
  • L-arginine 구조유사체인 L-canavanine의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에 대한 apoptosis 유도활성이 단백질 티로신키나아제 $p56^{lck}$에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p56^{lck}$를 발현하는 Jurkat T 세포주 E6.1과 $p56^{lck}$-결손 Jurkat T 세포주 JCaM1.6에 있어서 L-canavanine의 세포독성, L-canavanine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tic DNA fragmentation 및 apoptotic sub-$G_1$ peak를 비교하여 본 바, $p56^{lck}$-negative JCaM1.6 세포가 $p56^{lck}$-positive E6.1 세포에 비해 L-canavanine의 apoptotis 유도활성에 훨씬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p56^{lck}$-negative JCaM1.6 세포의 민감성은 JCaM1.6 세포에 $p56^{lck}$ 유전자를 transfection시켜 발현시키면 현저히 감소되었다. L-Canavanine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관련 현상들을 $p56^{lck}$-stable transfectant인 JCaM1.6/lck 세포와 empty vector-transfectant 인 $p56^{lck}$-negaive JCaM1.6/vector 세포에서 Western blot analysis로 비교한 결과, L-canavanine에 의해 유도되는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Delta\Psi}m$)의 감소, caspase-9, -8, -7 및 -3의 활성화, 그리고 PARP 및 $PLC{\gamma}$-1의 분해가 JCaM1.6/vector 세포에 비해 JCaM1.6/lck 세포에서 더 약하게 나타났다. JCaM1.6/lck 세포를 2.5 mM L-canavanine으로 처리한 다음 세포 내 $p56^{lck}$ kinase 활성의 변화를 $\alpha$-casein을 기질로 하여 시간 별로 측정한 결과, L-canavanine의 처리 후 15분만에 $p56^{lck}$ kinase의 활성이 약 1.6배 증가되었으며 이후 6시간 동안은 약 1.3~1.4 배정도 증가된 수준으로 kinase 활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L-Canavanine에 의한 apoptosis의 개시에 Fas/FasL 상호작용이 관련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FADD-negative Jurkat T 세포주 I2.1, caspase-8-negative Jurkat T 세포주 I9.2 및 wild-type Jurkat T 세포주 A3에 대한 L-canavanine의 세포독성을 비교한 결과, A3와 I2.1 세포의 경우는 L-canavanine의 세포독성이 동일하게 나타났고, 특히 caspase-8가 결손된 I9.2 세포의 경우는 L-canavanine의 세포독성에 대한 민감성이 A3와 I2.1 세포에 비해 단지 미약하게만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L-canavanine의한 apoptosis에는 Fas/FasL 상호작용이 관련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caspase-8의 역할이 필수적이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Jurkat T 세포에 있어서 L-canavanie에 의해 유도되는 sub-$G_1$ peak 및 caspases 활성화에 미치는 pan-caspase inhibitor (z-VAD-fmk), caspase-9 inhibitor (z-LEHD-fmk), caspase-3 inhibitor (z-DEVD-fmk), caspase-4 inhibitor (z-LEVD-fmk) 및 caspase-12 inhibitor (z-ATAD-fmk)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L-canavanie에 의한 apoptosis는 ${\Delta\Psi}m$의 감소, caspase-9 및 caspase -3의 활성화에 뒤따른 caspase-8 및 caspase-7의 활성화, 그리고 PARP의 분해의 순서로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러 caspase-9의 활성화와 함께 caspase-12의 활성화가 L-canavanine 처리에 따른 caspase-3의 활성화에 요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L-canavanine 처리에 의한 Jurkat T 세포의 apoptosis는 ${\Delta\Psi}m$ 감소, caspase-9, caspase-3 및 caspase-7의 활성화에 의해 유도되며, 이들 apoptosis 현상들은 $p56^{lck}$에 의해 negative regulation되었다.

Rahnella aquatilis AY 2000과 Streptomyces griseus의 공배양 상등액의 항암활성 (Anti-cancer Activity of Supernatant of Rahnella aquatilis AY 2000 Cocultured with Streptomyces griseus)

  • 김지현;김광현;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76-679
    • /
    • 2009
  • 미생물들 사이에 존재하는 수평적 유전자 전달을 이용하여 Jurkat T cell에 대하여 새로운 항생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토양박테리아 AY2000과 여러 종류의 항생물질 생산 균주인 Streptomyces griseus의 공배양을 수행하였다.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 독성을 실험을 하였을 때 공배양 상등액은 각각 배양 하였을 때보다 높은 세포독성을 보였고 또한 48시간 배양 하였을 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DAPI 염색을 하였을 때 Jurkat T cell 세포의 세포핵의 변화도 관찰 되었다. 이런 결과는 공배양 상등액에 새로운 항생물질이 생성되었음을 보여주었고 이런 방법으로 새로운 항생물질 생산에 이용되어 질수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