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ability

검색결과 688건 처리시간 0.029초

Perceived Employment Instability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Resilience and Character Strength as Mediator

  • Yang, Hoe-Chang;Sun, Il-Suck;Park, Soo-Hong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5권4호
    • /
    • pp.29-35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how resilience and character strength among employees are influenced by employment instability and the negative impact it could have 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employment instability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character strength, but resilience and character strength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total of 150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for analysis. Results - Employment instabili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not only 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on employee resilience and character strength.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along with the necessity for a strategic approach at the corporate level, enterprises should also acknowledge employee failures and support them in job situations. They should create a positive work environment and a structure of empowerment, interesting jobs, and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to build various systems and the ability to enhance self-esteem and stamina in order to reinforce character strength.

DACUM 기법에 의한 영상편집자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Video Editors Based on the DACUM Method)

  • 송화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95-104
    • /
    • 2007
  • 방송환경이 HD 콘텐츠 제작 환경으로 변화되어 감에 따라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전문 인력 양성과 새로이 요구되는 전문적인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ACUM 기법에 의해 영상편집자의 직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방송영상분야 영상편집자의 직무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직무분석에서는 영상편집자의 직무를 구성하는 9개의 임무와 각 임무영역을 구성하는 71개의 작업이 도출되었으며, 교육 요구도 분석을 위해 각 작업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조사하고 입직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작업이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한 직무분석 내용을 구조화하여 데이컴 리서치 차트를 완성함으로써 방송영상분야 영상편집자의 직무모형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영상편집자의 직무 모형은 방송 영상분야 영상편집 교육과정 개발 및 직무 연수 내용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직무능력평가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Job Competency Assessor)

  • 이진구;정일찬;김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13-42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NCS에 기반한 직무수행능력 성취도(교육훈련, 자격, 현장경험 등)를 역량평가를 통해 평가하는 직무능력평가사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무능력평가사의 직무모형을 개발 및 검증하고, 핵심작업을 도출하는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능력평가사의 책무는 NCS 기반 평가원리 확인, 평가계획 수립, 평가도구 설계 및 개발, 평가 실행, 피드백 제공 및 재평가, 평가 기록 및 관리, 내부평가 타당성 검토, 선행학습인정 계획수립, 선행학습인정 평가 실행, 선행학습인정 타당성 검토로 나타났고, 48개의 작업이 도출되었다. 또한, 책무별로 작업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곱한 임계도 값을 바탕으로 총 21개의 핵심작업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직무능력평가사 직무분석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고용지원센터 상담직원의 조직연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Factors that Influence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 of Job Center Consultants)

  • 심선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1호
    • /
    • pp.239-262
    • /
    • 2009
  • 본 연구는 고용관련 조직간 연계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적 실천적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38개 고용지원센터 상담직원의 조직연계 상황을 실증분석 하였고, 이러한 조직연계에 대한 조직요인, 관리자요인, 개인요인의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서 고용관련조직과 연계를 강화하고 특히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민간조직들과의 연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구조적 혁신과 더불어 담당자들의 전문능력 향상, 자기 업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조치들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PDF

문화 컨텐츠 산업과 연계된 방송 연예, 연기학과 전공 교육과정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ajor Curriculum for Broadcasting, Entertainment and Acting in Connection with Cultural Content Industry)

  • 박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061-1072
    • /
    • 2013
  • 문화 컨텐츠 산업의 직무 능력 요구에 적응하는 산업현장과 연계된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서 방송 연예, 연기학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 하다고 판단된다. 우선 연기 예술의 직무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문화 콘텐츠 산업의 환경 분석, 산업체 수요 조사, 재학생과 졸업생 요구조사, 지역사회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 전문가와 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평가를 통해 기존의 교육 과정을 분석하였다. 위의 분석 된 결과를 토대로 방송 연예, 연기학과 전공 교육과정개발을 수행하였다. 위의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핵심역량에 집중하는 연기 교육으로 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으며 지역적인 인프라를 바탕으로 다매체 시대에 걸맞는 통합적인 배우를 양성할 수 있다. 또한 명배우를 양성하기보다는 쓰임새 있는 배우를 길러 낼 수 가 있다.

민간경비원의 응급처치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The Private Security Officer ' Actual Condition of First-Aid Education)

  • 김현호;강현
    • 시큐리티연구
    • /
    • 제51호
    • /
    • pp.275-290
    • /
    • 2017
  • 1976년 용역경비업법이 제정된 이후 우리나라의 민간경비산업 또한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였고, 더불어 민간경비원의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민간경비원은 다중이용시설에 이용자들의 최초접촉자(first contactor)로서 어떠한 사건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가장 먼저 사고 현장상황을 파악하고 대처해야 하며, 응급의료진이 오기 전까지는 가능한 범위 안에서 응급처치를 시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설이용자들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민간경비원의 응급처치 교육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민간경비원들의 직무 및 응급처치 교육 횟수를 알아보고, 교육 횟수가 응급처치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둘째, 민간경비원들의 응급처치 교육 만족도가 응급처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수도권에서 근무하고 있는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응급처치능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tata se/ 14.0ver 을 사용하였으며, 타당도 및 신뢰도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a 값을 도출하였다. 응급처치교육의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서 빈도분석, 집단 간 차이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민간경비원에 대한 직무교육 및 응급처치교육 횟수가 부족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직무 및 응급처치교육의 횟수에 따라서 응급처치교육 만족도 및 응급처치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응급처치 교육만족도가 응급처치능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호사의 부서이동제도에 대한 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 전길정;이명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7-14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d a basic administrative data for effective personnel management of nurses' by investigation their assess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and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i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Nov. 20 to Nov. 25, 2000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aken by 280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s The 3 structured instruments were used for collecting the data;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the utility and the problem of job rotation, Questionaires for measur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and Mowday's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s.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rang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Pea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one-way ANOVA, and chi-square test,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upporters for regular job rotation account for 67% while the opponents to it account for 33%. The chief reason for endorsing the regular job rotation is quoted ${\lceil}$to attain more diverse job experiences${\rfloor}$, followed in order by ${\lceil}$to improve the job motivation and morale through the realization of personal needs${\rfloor}$, ${\lceil}$to place the right man in the right position${\rfloor}$. The reasons for opposing to the regular job rotation were listed in order ${\lceil}$difficulties to secure the expertise of nursing${\rfloor}$, ${\lceil}$personal needs not fully reflected in the job rotation${\rfloor}$, ${\lceil}$job rotations prompted rather by the administrative needs than by personal aptitude and ability${\rfloor}$. 2. In the assessment of job rotation, the points affirming the utility of the job rotation are $2.60({\pm}.66)$ out of possible 5 points and those admitting the problems the job rotation are $3.58({\pm}.59)$. The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is rated at $2.98({\pm}.55)$. 3. In the analysis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assessment of job rot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fairly high positive correlation is revealed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utility of job rotation, whereas, considerably high negative correlation is seen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problems with the job rotation(p=.000). 4. There is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p=.000). In conclusion, the utility of on the job rota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have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job ro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too. Therefore, it is thought desirable to take administrative strategies well as education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the job rotation's utility and to reduce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s with the job rotation to remain in the direction toward contributing to enhancemen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PDF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재직자 교육훈련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Exploring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nsortium for HRD Ability Magnified Program)

  • 송영숙;정화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19-227
    • /
    • 2018
  •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은 중소기업 재직근로자의 전략분야 인력양성사업의 일환이며, 공동훈련에 필요한 인프라, 훈련비, 인건비 및 일반운영비 등을 국가에서 지원하는 사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재직자 교육훈련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교육훈련 재직자 과정에 참여한 707명의 자료를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컨소시엄 교육훈련 참여자의 성별, 강사 만족, 교육시설 및 서비스 만족 요인이 교육훈련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사 만족, 교육시설 및 서비스 만족, 성별 순으로 교육훈련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다. 성별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교육훈련 만족에 더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직위, 직군은 교육훈련에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강사 만족이 교육 훈련 만족의 가장 큰 영향 요인이라는 점에서 강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강사에 대한 지원을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교육훈련 참여자가 교육훈련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현업에서 교육훈련전이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의 환경 조성 및 시설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여성 재직자의 교육 훈련 참여를 높이고, 여성 재직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훈련 교육과정의 설계 및 시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훈련 내용의 적절성, 교육훈련 시간의 적정성, 직무의 연관성, 직무의 기여도 면에서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에도 보다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의사소통 능력이 조직 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tal hygienist's job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on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 한수연;임애정;임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54-159
    • /
    • 2020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와 의사소통능력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조직 내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임상현장에서 치과위생사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직무만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 개발교육에 활용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 치과 병. 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00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18일부터 6월 12일까지 설문 조사하였다. 직무만족도와 의사소통, 조직 내 의사소통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직무만족도와 의사소통이 조직 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만족도(r=0.193 p<0.05)와 의사소통능력(r=0.404, p<.001)은 조직 내 의사소통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의사소통 능력(β=0.461, p<.001), 이 조직 내 의사소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과 위생사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문 직업인으로 업무에 대한 자부심을 갖도록 직무만족을 높이고, 명확한 자기의사표현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치과 기관 내 교육과 관련 내용의 보수교육 참여 기회를 확대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중년재직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퇴직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Resilience of Middle-aged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Meditating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 정경화;김기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52-462
    • /
    • 2020
  • 이 연구는 현재 직장에 재직 중인 중년재직자들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퇴직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근무 중인 40세 이상의 상용직 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530부를 배포하여 490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 응답, 이상치 등 연구에 부적합한 설문지 22부를 제외 한 468부를 연구표본으로 사용하였다.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상관관계와 집단 간의 차이분석 및 가설검증을 위한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남성은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과 직무만족도가 여성보다 높았고, 여성은 퇴직태도의 노년휴식이 남성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높게 인식하였고, 근무기간이 길수록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과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의 긍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의 모든 하위변인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퇴직태도의 강요된 좌절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새로운 출발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높게 인식하는 반면 강요된 좌절로는 낮은 인식을 보였다. 넷째, 퇴직태도의 강요된 좌절과 새로운 출발은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도와의 인과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이 확인되었고, 퇴직에 대한 불안을 낮추고 직무만족도는 높여줄 수 있도록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