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Rotation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2초

공기업 조직구성원의 직무순환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Rotation of Public Employe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류호훈;조동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26-641
    • /
    • 2018
  • 최근 들어 직무순환은 조직 구성원에 다양한 직무경험과 잠재된 능력 개발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및 조직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기업 경영의 핵심적인 인적자원관리 전략으로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기업 조직구성원의 직무순환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문헌연구를 토대로 직무순환 인식의 차원(운영절차, 개인발전, 경력관리)과 조직유효성의 차원(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충성도)을 검토하고,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순환 인식으로서 운영절차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운영절차와 경력관리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조직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기업의 조직유효성 향상을 위한 직무순환 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공기업의 개인 및 조직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간호사의 근무부서 이동이 직무동기,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department rotation.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 유문숙;김용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25-235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ffer a basic material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nurses by studying correlations among inter-department rotation,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study 159 nurses in a medical college hospital were surveyed. Organization Assessment Instrument(Van de Ven. 1980)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Mowday, 1979) were used.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Nurses who had been rotated to other departments showed higher motivation scores than those who had not. 2. Nurses who had been rotated also indicated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s than those who had not. 3.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nurse's age,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4.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nurse's experience,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5. Inter-department rotation times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motivation. 6. "The sense of achievement perceived form performing one's duty" wa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that nurses consider in measuring their job motivation. As to the criteria for inter-department rotation, some respondents stated that it is needed when "current assignments are not suited for particular individuals" and such rotations would job motivation and elevate the morale of nurses involved." Many opposed using the rotations as a "means of reprimanding individuals." In conclusion, inter-department rotation has a positve effect on the nurse's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regular inter-department rotation have to be recommended to nurses who want rotation.

  • PDF

직무순환이 주관적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용경쟁력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Job Rotation on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ability)

  • 권나경;김혜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31-441
    • /
    • 2014
  • 고객의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전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여 서비스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다양한 직무경험은 고객의 서비스 극대화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경력개발에도 큰 도움이 된다. 또한 기업들과 조직관리 측면에서도 우수인력 개발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호텔종사원의 직무순환이 고용경쟁력과 주관적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해서 본 연구를 위해 특 1,2급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370명의 자료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직무순환, 고용경쟁력, 주관적 경력만족의 구조적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순환은 고용경쟁력 및 주관적 경력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직무순환과 주관적 경력만족에서 고용경쟁력이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텔종사원의 지각된 직무순환을 통한 고용경쟁력의 효과로 개인과 조직 모두를 위한 올바른 경력개발 및 경력관리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호텔을 포함한 환대산업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한국어판 간호사 직무순환 스트레스 측정도구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Nurse Job Rotation Stress)

  • 한정원;이빛나;양보은
    • 임상간호연구
    • /
    • 제22권3호
    • /
    • pp.352-358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a methodological research implemented to establish basic data for controlling the job rotation stress of nurses and effectively managing human resources by reflecting the Nurse Job Rotation Stress Scale (NJRS) developed by Huang and others into the domestic nursing environment and verifying the use of measurement tools. Methods: The study selected nurses working at four hospitals, with over 300 beds, in Seoul, Gyeongi-do, and Busan, as its research subjects and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Results: The results ultimately formed eight questions from three sub-factors (3 emotional response questions, 2 daily life questions, and 3 communication questions). In terms of reliability, emotional response issued a Cronbach's of .78, daily life issued a Cronbach's of .75, and communication issued a Cronbach's of .86.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achieving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calculating the stress of clinical nurses resulting from job rotation, but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measurement tools must be expanded by confirming additional job rotation stress questions which reflec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Korea.

인구통계적 응집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HR 제도의 역할 탐구: 순환근무와 탄력근무를 중심으로 (The Roles of HR Practi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ohesion and Firm Performance: Focusing on Job Rotation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

  • 권인수;이하은;김상준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4호
    • /
    • pp.193-209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ohesion and firm performance by examining the roles of HR practices, such as job rotation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samples 1,093 firms in Korea and collects their data between 2007 and 2017 from Workplace Panel Survey, a database from Korea Labor Institute. The demographic cohesion is measured using the Herphindal-Hershman index and the firm performance is measured with net incomes. This study employs a fixed-effects model for the estimation of firm performance with respect to demographic cohesion, job rotation,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 Findings -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ohesion and net incomes. And the relationship is positively moderated by job rotation. However, flexible work arrangement shows a mixed moderation.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Differentiated from the studies on demographic diversity, this study shows that demographic cohesion has a mixed impact on firm performance. While demographic cohesion can improve firm performance through trust building, in-group favoritism, and collective identity it entails internal conflicts. However the link between demographic cohesion and firm performance is moderated by job rotation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 While there is a positive moderation of job rotation, there is a negative moderation of flexible work arrangement.

간호사의 직무순환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도전적 평가와 방해적 평가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Impact of Job Rotation Stress in Nurs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hallenge Assessment and Hindrance Assessment)

  • 이한나;김정민;한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73-38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로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와 G도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의 4개 종합병원 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이며,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3일부터 8월 25일까지 시행하였다. 간호사의 직무순환 스트레스의 경로계수를 검증한 결과, 직무순환 스트레스는 도전적 스트레스 평가, 방해적 스트레스 평가, 심리적 안녕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방해적 스트레스 평가는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무순환 스트레스는 도전적 스트레스 평가, 방해적 스트레스 평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 효과가 있었으며, 방해적 스트레스 평가는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의 직무순환 스트레스는 방해적 스트레스 평가를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직무순환을 경험하며 도전적인 스트레스와 방해적 스트레스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방해적인 스트레스는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간호조직의 노력과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간호조직은 간호사에게 직무 순환이 도전적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조직 환경을 조성하고 체계적인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직무순환의 개인발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업무효율성의 매개효과와 업무과부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Individual Development of Job Rotation on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fficien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 Overload -)

  • 최영우;강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385-393
    • /
    • 2022
  • 직무순환은 사회복지시설의 종사자들이 여러 직무와 다양한 경험을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기간마다 타 직무 또는 업무로 변경하여 근무할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서 인사이동, 업무분장, 직무이동 등의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직무순환의 개인발전이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전남 목포시에 소재중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9년 5월 21일부터 5월 2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로 직무순환의 개인발전, 종속변수로 직무만족도, 매개변수로는 업무효율성, 조절변수로는 업무과부하로 설정하였다. 모든 변수들의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였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증 분석 도구로서SPSS 24.0 버전을 사용하였으며, 기술 통계, 신뢰도분석을 실행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순환의 개인발전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업무효율성은 직무순환의 개인발전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업무효율성과 업무과부하의 상호작용항은 직무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쳐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순환이 동기 부여 및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 특1급 호텔 F&B 종사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Job Rotation on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F&B Employees of First Grade Hotels in Seoul -)

  • 권나경;김혜린;서원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63-176
    • /
    • 2010
  • 무한경쟁시대의 경쟁력 우위 확보라는 측면에서 기업의 최고 경영자와 관리자들은 조직 구성원의 가치와 그 중용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증대되고 있다. 호텔업계에서도 철저히 차별화, 특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조직 구성원의 가치와 그 중요성에 대해 역설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비용과 노력을 들여 우수 인재를 채용하더라도 처음의 업무 배치 이후로는 지속적인 개인 관리를 통한 능력 개발에는 소홀하고 있음을 인할 수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사원들은 어떤 부분의 영향력 때문에 직무 순환을 원하고, 또한 반대로 원하지 않는지에 대해 파악해 보고, 직무 순환이 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동기 부여는 직무 만족에 직접적이고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것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 연구 결과, 직무 순환의 효율성과 절차는 모두 동기 부여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사원들은 원활한 직무 순환으로 인해 적성에 맞는 적재적소의 배치 수단이 되기 위해 정기적인 직무 순환이 이루어지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기 부여는 직무 만족의 성취감, 복리후생, 상사와 동료와의 관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종사원들은 직무로 인한 성취감과 자부심을 느낄 때 직무 만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직무 순환이라는 것 자체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인사상의 민감한 부분이었던 관계로 선행 연구의 절대적인 부족으로 좀 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수 없었다는 점과 설문조사가 서울 시내 특급 호텔 F&B 종사원들을 위주로 이루어져서 전체적인 호텔산업을 대변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 PDF

수술실 간호사의 배치전환, 언어폭력, 조직몰입간의 관련성에 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Job Rotation, Verbal Abus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erioperative Nurses)

  • 윤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31-141
    • /
    • 2016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배치전환과 언어 폭력 및 조직몰입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융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수술간호사회 학술대회에 참석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312명의 수술실 간호사이다. 연구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조직몰입은 배치전환과는 약한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언어폭력과는 약한 정도의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들 변수가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는 57.7%로 나타났으나 배치전환과 언어폭력은 유의하지 않았고 직무만족이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변수를 추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병원종사자의 직무순환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동기부여의 매개효과 검정 (The Mediating Effects of Motivation between the Job Rotation of Hospital Employe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otivation)

  • 정주현;지재훈;김원중;이선찬;김광;최현주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9-59
    • /
    • 2014
  •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job rotation on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empirical analysis, a study model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was develop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employees of 8 hospitals located in Busan area. In processing the data,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Main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cedure of job rot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issue immersion and stimulation, but effect of job rotation, has been found to provid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motivation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and normative commitments,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variable. In conclusion, suggest that intentions and opinion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need to be actively reflected in job rotations of which the effect can be maximized when they are regularly and reasonably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