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 Connectivity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39초

효율적인 센싱을 위한 LoRa 기술 동향 및 비교분석 (Trend and Comparative Analysis of LoRa Technology for Efficient Sensing)

  • 서의성;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54
    • /
    • 2018
  • 최근 '융합과 연결'이라는 4차 혁명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고연결성 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사상 최고치에 달하고 있으며, 그 관심의 대상이 오토메이션과 커넥티드카 등으로 국한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은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생태계 구축을 위한 중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어떤 통신이 사물인터넷에 적합한 것인지와 사물인터넷을 위한 통신들에 대한 기술동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러닝과 m-러닝 환경에서 영어학습자들의 학습환경에 대한 심리적 행동에 대한 차이 (The experimental study of understanding English learners' psychological attitudes: A comparison between e-러닝 and m-러닝)

  • 정희정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375-393
    • /
    • 2011
  • Many aspects of e-러닝 and m-러닝 have been conducted in language learning settings while few studies have examined learners'psychological attitudes in both Internet-based languages learning environment. Althoughe-Learning and m-Learningin the content of language learningshares many common aspects, the study that particularly examinesEnglish learners' psychological attitudes from both learning environments has not been conduct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roup difference between e-러닝 and m-러닝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both learning environments, including Contextual Offer, Interactivity, Enjoyment, Usefulness, Easiness, Variety, Connectivity,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Results showed that even if there was little difference within and among groups in English learners' feelings, learners have different attitude on Enjoyment, Easiness, and Connectivity.

  • PDF

WSN의 연결 복구 기법 및 알고리즘 연구 동향 (A survey of connectivity restoration thchniqus & algorithm in wireless sensor network)

  • 송병후;김경태;이정준;윤희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65-66
    • /
    • 2016
  • 최근 과학의 발달로 사물에 대한 다양한 센서와 통신 기능을 부여하여 사람 대 사람 또는 사물 대 사물 서로 교류하는 개념인 IoT(Internet of Things)가 화제이다. IoT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 하나인 Wireless Sensor Networks(WSN)에 대한 연구를 한다. WSN은 전쟁터의 정찰과 같은 가혹한 환경에 적용되며 이를 구성하는 센서는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장에 취약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상호 통신이 외부 요인에 의해 단절된 네트워크의 연결 복구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WSN 네트워크의 연결 복구 방식, 연결 복구기법 및 알고리즘의 연구 동향에 대해서 서술한다.

  • PDF

IMT-2000의 HLR(Home Location Register)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LR technology in the IMT-2000)

  • 박태진;이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99-108
    • /
    • 2002
  • 무선 이동 망에서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QoS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 위치관리와 핸드오프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IMT-2000 HLR과 PCS HLR의 차별성 및 지능 망 연계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이 HLR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IMT-2000에서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인 VHE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패킷 데이터서비스와 2세대 이동 망 기술을 기반으로 QoS의 만족을 위한 효율성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 PDF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웜 전파 모델링 (Internet Worm Propagation Modeling using a Statistical Method)

  • 우경문;김종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3B호
    • /
    • pp.212-218
    • /
    • 2012
  • 인터넷 웜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자기 자신을 자동으로 복제해서 전파하는 프로그램이다. 컴퓨터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 웜은 급격해 확산되었고 큰 위협으로 남아있다. 코드 레드, 님다, 슬레머 같은 인터넷 웜의 특성과 이들의 활동을 억제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 웜이 전파되는 특성을 연구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네트워크 특징들이 인터넷 웜 전파에 미치는 영향은 모델의 간단성과 유사성 때문에 주로 의학계에서 사용되는 전염병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모델링이 되었다. 이런 의학계 모델링은 널리 사용되면서 여러 개선된 모델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었다. 우리는 이전의 제안된 모델들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새로운 방법의 웜 전파 모델링을 제안한다.

사물인터넷에서 시각 정보 관리 체계 (A Preliminary Study on Time Awareness in the Internet of Things)

  • 황소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7-219
    • /
    • 2016
  •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은 기존의 유선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로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 없이 상호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 요소로는 유형의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센싱 기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각종 서비스 분야와 형태에 적합하게 정보를 가공하고 처리하거나 기술을 융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이 핵심이며 이러한 기술을 실현하는데 있어 시각 정보 및 시각 동기 기술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시스템과 기존 인터넷에서 시각 유지 기법을 분석하고 사물인터넷에서 시각 정보 관리에 필요한 요소 기술과 시각 관리 체계를 제시한다.

  • PDF

오픈소스를 이용한 IoT 기술의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IoT Technology Using Open Source)

  • 권용광;김선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5-72
    • /
    • 2020
  • 사물인터넷은 상호연결을 통한 초연결 사회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문제 해결을 포함한 삶의 질 향상과 생산성 향상을 이루자는 것이며, 차세대의 국가 성장 동력이 될 것이다. 사물인터넷이 지향하는 오픈 공통 생태계는 '오픈(Open)'이라는 단어의 이해에서 출발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은 이를 기반으로 기술 개발의 진입장벽들을 낮추는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서 OSSW와 OSHW가 IoT 생태계의 성숙을 가속화시키고 산업 간의 경계를 허물어 융합을 촉진시키는 데에 매우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은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는 사물인터넷의 연결성(Connectivity)에 인공지능(AI)를 결합하여 집단지성을 만드는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하고 있다. 여기서는 오픈소스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사물인터넷의 발전방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IPv6 기반의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새로운 동적 이동형 네트워크 아키텍쳐 (A Novel Architecture for Dynamic Mobile Networks with IPv6-based Multiple Network Interfaces)

  • 김원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8호
    • /
    • pp.25-3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중첩된 모바일 에드혹 네트워크들로 구성된 IPv6기반 멀티홈드된 이동형 네트워크 아키텍쳐로서 DynaMoNET을 제안한다. 각 모바일 에드혹 네트워크는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크를 통해서 동적으로 구성된다. 고정된 모바일 라우터 대신에 각 에드혹 네트워크는 DynaMoNET 내에서 루트 모바일 라우터로서 동작할 수 있는 모바일 라우터를 보유하며 루트 모바일 라우터는 전체 이동형 네트워크를 위하여 외부 인터넷과의 안정적인 연결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멀티홈드 이동형 네트워크를 위한 새로운 핸드오버 프로토콜, 다중 판단요소를 고려한 망 전환 판단 알고리즘, 토큰 기반의 루트 모바일 라우터 선출 알고리즘, 고속 모바일 라우터 경로 탐색 알고리즘 및 안정적인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장애 회피 메카니즘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라우터의 시스템 아키텍쳐를 자세히 소개한다.

장거리 사물 인터넷 기기를 위한 간섭에 강인한 ACK 기술 (Robust Acknowledgement Transmission for Long Range Internet of Things)

  • 이일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47-52
    • /
    • 2018
  • 와이파이 기반의 사물인터넷 장치는 사회, 경제,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와이파이와 같은 비면허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 전송 기술은 간섭에 취약하다. 장거리의 밀집 네트워크에서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동적으로 변하는 간섭 상황과 비대칭적인 간섭 조건 때문에 성능 열화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장거리 사물인터넷을 위한 ACK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에 따르면,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간섭 상황이 다른 비대칭적 간섭 환경에서 송신 장치가 간섭 레벨을 측정한 후 응답 프레임의 전송 속도를 추천해 응답 프레임의 전송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고품질의 무선 채널 환경이 보장되는 경우에는 더 높은 전송 속도로 전송할 수 있다. 성능 평가 결과에 따르면 제안하는 방법에 의해 비대칭 간섭 상황에서 20 MHz 대역폭 전송 모드에서 스루풋이 최대 9 Mbps 향상됨을 알 수 있다.

Implementation of Bistatic Backscatt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mbient Wi-Fi Signals

  • Kim, Young-Han;Ahn, Hyun-Seok;Yoon, Changseok;Lim, Yongseok;Lim, Seung-ok;Yoon, Myung-Hy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2호
    • /
    • pp.1250-1264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the architecture design, implement, experimental validation of a bistatic backscatt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i-Fi network. The operating principle is to communicate a tag's data by detecting the power level of the power modulated Wi-Fi packets to be reflected or absorbed by backscatter tag, in interconnecting with Wi-Fi device and Wi-Fi AP. This system is able to provide the identification and sensor data of tag on the internet connectivity without requiring extra device for reading data, because this uses an existing Wi-Fi AP infrastructure. The backscatter tag consists of Wi-Fi energy harvesting part and a backscatter transmitter/a power-detecting receiver part. This tag can operate by harvesting and generating energy from Wi-Fi signal power. Wi-Fi device decodes information of the tag data by recognizing the power level of the backscattered Wi-Fi packets. Wi-Fi device receives the backscattered Wi-Fi packets and generates the tag's data pattern in the time-series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values. We believe that this system can be achieved wireless connectivity for ultra- low-power IoT and wearabl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