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 Objectives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3초

수업과 평가 일체화를 위한 성취기준 중심 가정과 서술형 평가 문항개발 연구 (Strengthening the 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Development of Items for Essay-Type Assessment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 양지선;이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5-159
    • /
    • 2020
  • 본 연구는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체화를 강조하고 있는 교육의 변화 속에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과 평가를 연계할 수 있는 서술형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평가기준에 제시된 평가 영역 중 서술형 평가에 적합한 14개의 성취기준이 분석되었으며 총 29개 문항의 내용요소를 포함하여 문항요소를 개발하였다. 둘째, 평가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서술형 문항의 구조에 알맞은 문항을 사전개발하고, 문항에서 활용할 자료, 채점기준의 제시 방법을 각 문항에 맞게 선택하였다. 셋째, 답안 및 채점기준표 작성 단계에서는 채점기준과 부분점수별 예시 답안을 채점기준표로 작성하고 평가목표와 채점 항목, 항목별 배점을 검토하였다. 넷째, 전문가 검토 및 수정·보완 단계에서는 개발된 문항과 답안들은 전문적 교과학습공동체 교사들과 함께 문항 구성요소, 평가목표의 구체화, 출제 의도의 구현 여부, 채점 결과에 대하여 예비검토와 상호검토를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형 평가 문항과 채점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교사의 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변화를 도모하고 추후 학습자의 지식 적용능력을 높이기 위한 서술형 문항개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코딩블록을 활용한 초등 과학영재 대상 피지컬 컴퓨팅수업의 교수·학습 과정 분석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Physical Computing Class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Science)

  • 김지예;전영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13-62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코딩블록(MODI)을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교수 학습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영재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 협회(IEA)에서 개발한 컴퓨터 정보 소양 평가 기준으로부터 MODI를 활용한 수업의 학습목표를 설정하였고, 학습목표에 따라 MODI를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연구 개발한 프로그램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교육대학교 초등 과학영재교육원 4~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코딩블록(MODI)을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수업을 32차시 실시하였으며, 교수 학습 과정을 담은 수업 동영상 및 수업관찰 일지, 교사와 학생 설문지 및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학교교육 현장에서 코딩블록(MODI)을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교수 학습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코딩 교육을 통하여 컴퓨팅 사고력의 확장을 모색하였다.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에 대한 치위생 교육과정의 팀기반학습이 학습동기와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 박인숙;김동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7-140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eam-based learning to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oretical oral prophylaxis class, one of required courses geared toward acquiring professional knowledge on preventive public health, as oral prophylaxis was counted among major duties of dental hygienists. It's ultimately meant to compare the effects of team- based learning and expository instruction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f learners in order to discuss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in dental hygiene educ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dental hygiene students at C college. Out of them, 32 students who were freshmen as of 2007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28 students who were freshmen as of 2006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team-based learning from August 30 to December 6, 2007, and the control group took expository lessons from August 28 to December 8, 2006.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were evaluated by using t-test, paired t-test and GLM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better in learning motivation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y were engaged in team-based learning (p<.001). According to GLM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group gap in learning motivation, and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its subfactors involving attention, relevance and confidence(p<.05). 2. The experimental group excelled the control group at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p<.05), and the team-based learning had a better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an the expository instruction. Conclusions :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team-based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xpository instruction at boost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f the students. Therefore revised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e cours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instructional models and educational programs is required as well.

구성주의적 사회과교육을 위한 웹기반 가상공간에서의 경험학습방안 (The Study of Experiential Learning on Web-Based Cyberspace for Constructiv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 황홍섭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1-217
    • /
    • 1998
  •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사회과교육을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웹기반 가상공간에서 경험학습방안을 검토하였다.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사회과교육은 인지적 구성주의에서 사회문화적 구성주의로, 사회문화적 구성주의에서 인지적 구성주의로, 공동구성주의로 이행되는 것이 사회과교육의 목적 내지 목표와 부합될 수 있다. 구성주의적 사회과교육의 목적 내지 목표를 실현할 교수-학습활동을 위해 웹활용 교육(Web-Based Instruction)은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웹활용교육은 자칫하면 학습자가 수동적으로 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교수-학습활동이 비구성적으로 되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 구성주의 관점에서 사회과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학습의 현장으로서 웹기반 가상공간은 특히 지역학습을 위한 장으로서 매우 유용하여 활용할 가치가 증대되며, 실제로 그 지역에 가지 않고서 답사와 조사를 할 수 있어 경험학습의 장으로 활용하기에 좋다.

  • PDF

실내디자인 교육에서의 기초디자인의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novation of Course Contents and Instruction of Basic Design in Interior Design Education)

  • 한영호;김동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호
    • /
    • pp.46-57
    • /
    • 1994
  • Today, it is a fact that interior desig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as much as architecture on contributing to our society as a rising new professional field. On the other hand, our interior design education is still in immagture stage unlike the graudal development of the mood of interior design line , If the interior design field has any educational value to invest to be noticed as an environmental design that creates the human environment. There are great deal of meanings to indicate the direction for better education after recognizing the manu different problems on presently offering interior design education.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 after establishing the innovative methods of education and course contents of the four year interior design program, to produce the interior designers of manifold abilities, who is able to fit well in the professional practice, in order to materialize the settlement of interior design education which will be the key point in our circumstances, which has ow social recognition toward interior design. There were four phases in this study. First was to gather and to analyze information from printed materials, such as curriculum and catalog from each institution. Secondly, we had collected existing previous studies in all interior design area in order to sude as references. Thirdly, we have managed to suggest ideal improvement for better basic design program in the area of interior design education after the arranging and analyzing . Finally, we were able to persuade the importance of improved basic design program to the interior design education partie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Because interior design as a scholastic pursuit is combined practical application study by the art and technology, it emphasizes specialty . From that reason interior design education must be performed as professional specialist education instead of vocational education. In another words, the ultimate goal of the interior design objectives must be in producing professional specialist.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컴퓨팅 시스템 단원의 집필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 for Construction Computing System Uni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유병건;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1-40
    • /
    • 2016
  • 교과서는 교육과정 내용을 토대로 학습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는 도구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발표되었기 때문에 교과서의 내용도 새롭게 구성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교과서 집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내용요소 분석과 새롭게 구성되는 피지컬 컴퓨팅 영역에 대한 접근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파일럿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내용의 탐구적 경향은 Romey 분석을 사용하였고, 파일럿 스터디는 로봇을 활용하여 H/W와 S/W의 조화로운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사용 중인 교과서 중에 학생들의 사고력 신장 도움에 적합한 교과서는 한 권이었으며, 피지컬 컴퓨팅 영역의 경우 탐구적 수업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과서 구성에서 활동을 중시하는 형태의 집필이 필요할 것을 시사하였다.

기공교육 향상을 위한 양생기공학 강의평가 분석 (Yang-Seng Gi-Gong Course Evaluation Analysis for Improving Education Gi-Gong)

  • 안훈모;나삼식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2
    • /
    • 201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i-Gong method instruction configured with modern motions to suit the Medical cur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cine and improv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ducational and clinical needs. Methods : We took survey on 33 students after giving 'Yang-Seng Gi-Gong' lectures at Woosuk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year 2015. Results : 1. Reflection of training goal was 7.75±1.79, which showed that the education was overall interesting, but showed a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al rather than the theoretical lectures. 2. General difficulty level was intermediate, but the practice of Hwal-In-Shim-Bang Do-In-Beop from several formulations were evaluated relatively difficult exercise. 3. The propriety of training materials were rated as mostly adequate, but that assessment was relatively less appropriate for the linkage of theory and practice, and that of time allocation and place was a normal level. 4. For the propriety of time distribution, the class of one semester such as the current is rated appropriate by 61% of students. 5. General class participation was 6.34±2.52, then participation in practice than theory lessons were active. On the other hand, Induction training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relatively low correlation, but overall interesting and participation in practice high correlation. Conclusions : The difficulty level of theory lessons is necessary to be adjusted and lecture form will need to continue focusing on practical lessons.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화학교육과정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igh School Chemistry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 공영태;임재항;문성배;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6-76
    • /
    • 2004
  •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화학교육과정을 구성체제, 목표, 내용, 교수${\cdot}$학습방법 및 평가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양국의 화학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구분하였다. 또한 선택취지를 살린 교육과정 편성과 안내 기능의 충실, 탄력적인 학습지도의 운영, 개인에 따른 지도의 충실, 학습내용의 엄선과 기초기본의 충실, 교육과정도입에 있어서 완충기간의 설정 등과 같이 한국의 교육과정연구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MINDSTORMS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INDSTORMS Programming Instruction on the Creativity)

  • 유인환;김태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9-59
    • /
    • 2006
  • 기존 프로그래밍 교육은 내용과 방법, 대상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특히, 초등학생에 적합한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교육현장에서 중요성이 점점 감소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 프로그래밍 교육 도구로서 MINDSTORMS의 활용을 제안하고, 학습자의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교에서 적용 결과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래밍 교육의 목적은 단지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해가 아니라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 창의력 신장에 두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그들의 학습활동을 통제하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하며, 이러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MINDSTORMS은 매우 유용하고 적절한 도구가 될 수 있다.

  • PDF

의생활 영역 학습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기술ㆍ가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for Clothing Behavior)

  • 전은주;이희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5-7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lesson plans, study aids and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for the clothing units in TechnologyㆍHome economic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It's also meant to utilize these materials in instruction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more direct and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and make them capable of leading a successful life in the 21st century. 1. The teaching plans were mapped out for the clothing units in TechnologyㆍHome economics class for middle school grade 2, which were all covered by eight textbooks: clothing and life(the function of clothes, my attire, wearing a suit, and wearing Korean traditional dress), the preparation of garments(the type of fiber, understanding of stuff, and preparing garments), and cloth care and storage (washing, storage, alteration and recycling). 2. The lesson plans included information on the name of units, period, learning objectives, teaching environment, materials, learning content, introduction, development, remarks, topping off, announcement for next session, and related Web sites. 3. To raise the effect of education, study aids were developed to be appropriate for the units. The lesson plans and study aids for the clothing part of TechnologyㆍHome economics class for middle school grade 2 would serve to help students build the right clothing habits, and are expected to serve as good teaching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