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검색결과 601건 처리시간 0.035초

Develop and Deliver Essential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 Eisenderg, Michael B.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21
    • /
    • 2011
  • There is an explosion of talk about crucial, new literacies for the 21st Century, for example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media literacy, technology literacy, digital literacy, visual literacy. The other day, there was even an article about "gaming literacy!" How does one make sense of it all? The common factor in all these literacies is "information" -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use,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valuation. And, these "information" elements come together in information literacy: the ability to engage in effective and efficient information problem-solving. Information literacy is the overarching and unifying literacy, and all libraries have a unique and essential role to play in delivering meaningful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o people of all ages. In this keynote paper and address, Professor and Dean Emeritus Mike Eisenberg will define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library-based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and offer strategie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hat are comprehensive(reaching all users), predictable (consistent over time), and accountable(measured and reported).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격차 완화를 위한 학교도서관 교육 서비스 사례 연구 -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의 I·II영역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School Library Educational Services to Reduce the Information Literacy Gap Due to the Education Gap)

  • 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07-329
    • /
    • 2018
  • 본 연구는 경제적으로 열악한 교육환경의 학교에 학교도서관 교육 서비스를 투입해 학교별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환경이 극도로 열악한 상황에 있는 B 고등학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10차시 도서관활용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한 사례를 정리하였다. 215명 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활용교육을 실시하고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정보활용능력을 비교해 정보활용교육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 B 학교와 사전검사를 함께 진행하였으나 B 학교의 결과가 현저히 낮게 조사되어 사전 동질성 검정에 실패했던 다른 학교의 정보활용능력 사전검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별 고교 학비 지원 학생 비율과 정보활용능력이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점을 구명한 선행연구를 본 연구 결과와 비교했다. B 학교의 정보활용교육 사후검사 결과가 B 학교보다 양호한 교육 여건을 가진 13개 학교를 포함한 15개 학교의 정보활용능력 사전검사 평균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값을 가졌다. 이에 학교도서관의 핵심 서비스인 정보활용교육으로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완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했다. 본 연구가 열악한 교육환경에 있는 학교의 학교도서관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활성화시켜 학교도서관이 공공재로의 기능을 극대화해 갈 수 있는 계기가 되고, 교육과정 속에 정보활용교육이 체계적으로 정착해갈 수 있도록 하는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건강정보 이해능력(Health Literacy)에 대한 개념분석 (Health Literacy: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 김성은;오진아;이윤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8-570
    • /
    • 2013
  • Purpose: In these days, the concept of health literacy becomes important because it is essential to have a clear grasp of patients' basic ability to understand health-care information. Therefore, we intended to discover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health literacy through contextual analysis. Method: Following Rodgers'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we did a literary review. The databases KMBase, KoreaMed, Kstudy, NDSL, and RISS were searched for articles. Among published literature about health literacy, twenty articles which satisfied the inclusion criteria were chosen. Results: Health literacy consists of three attributes: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utilizing. Furthermore antecedents are as follows: health status, health belief, socioeconomic status, and information quality. Finally, we were able to explain the consequences of health literacy by showing improvement of self-care and interaction, and a decrease of social costs. Conclusion: We expect this study to guide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and as a concept analysis that examines the conceptual attributes in the context of health literac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design of a standardized tool and the program of health literacy promotion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정보활용교육 연구주제 분석 및 교육내용 제안 (A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Using Topic Modeling)

  • 윤지혜;정유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21
    • /
    • 2022
  •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 분야의 연구주제들을 파악하여 정보활용교육에 제안할 수 있는 요소들이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선, 정보활용교육과 관련된 문헌정보학 분야의 논문 97편을 대상으로 토픽모델링을 적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활용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정보원 이용 및 판단' 등의 주요 주제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Big 6 정보모형, 교육방법과 관련해서는 미국 사서교사협회의 정보활용 능력기준과 미국 대학 및 연구도서관협회의 정보활용교육 개발지침을 고려하여 정보활용교육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 전반의 연구주제와 연관된 교육 요소들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원 이용 및 판단', '정보윤리'와 관련된 교육내용을 보다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미국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능력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f School Library in the USA)

  • 김종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9-252
    • /
    • 2003
  • 정보활용능력 교육은 학교도서관 운영에서 가장 핵심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효과적인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통해 교수 학습 과정에 통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학교도서관의 존립 근거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원리에 근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선진 학교도서관 운영에 적용되는 정보활용능력 교육 체제와 내용에 대하여 경험적 관찰과 자료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분석한다. 미국 학교도서관의 현장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원리와 내용이 어떤 기준과 교과과정에 근거하는지 탐구하기 위해 국가적 기준과 여러 주의 교과과정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 조사하고 분석한 각 주별 교과과정의 내용과 체제는 우리 학교도서관 교과과정을 개발하고 운용하는 일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평생교육과 연계한 공공도서관의 정보활용 교육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f Public Library Connected Lifelong Education)

  • 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87-213
    • /
    • 2007
  • 본 연구는 평생교육과 연계한 공공도서관의 정보활용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방평생교육센터로 지정된 공공도서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e-learning과 오프라인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정보활용교육이 활발한 공공도서 관의 정보활용교육의 실제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 PDF

고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An Assessment of the Information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박명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5-90
    • /
    • 2005
  •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를 위한 루브릭과 평가지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평가 도구 개발의 이론과 과정을 고찰하였고, 대학 단위, 지역 전문대학 단위, 주정부 단위, 고등학교 학군 단위에서 개발한 미국의 평가 도구를 분석하여 우리 고등학생의 정보활용 능력 평가 도구를 제시하였다.

  • PDF

정보소양개발을 위한 교육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 - 학교도서관 정보교육중심으로- (A Study on Planning of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for Information Competency Education)

  • 김병주;정종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9년도 제6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184
    • /
    • 1999
  • This study has described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have been chosen for teaching students the methods for developing the information competency,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subjects in school curriculums beyond the traditional school library users education. According to the Bloom's educational objective texonomy, the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have been classified into two domains,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and investigated. Desirable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have been developed and chosen.

  • PDF

이용자의 생성형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역할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University Libraries in the Cultivation of Generative AI Literacy by Users)

  • 장수현;남영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63-28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지능 정보 사회에서 핵심 역량으로 대두되고 있는 AI 리터러시와 관련하여, 국내 대학도서관들의 이용자들 대상으로 한 AI 리터러시 교육의 현황과 대학도서관의 AI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과 당위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I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의 변화 양상과 대학도서관 이용자인 학생들의 생성형 AI를 포함한 AI 리터러시의 자가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도서관에서 AI 리터리시 교육 및 생성형 AI 리터러시 교육 진행 시 수강 의향의 경우 긍정적인 응답이 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AI 리터러시 교육의 대학 필수 교육과정 내 AI 리터러시 함양 기초 교육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방향을 제안한다.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niversity Libraries)

  • 장덕현;최고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60
    • /
    • 2008
  • 이 연구는 전통적인 도서관 이용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정보를 습득하는 것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활용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모형을 제안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서관 이용교육은 서지교육의 개념에서 정보활용교육의 개념으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으며,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을 서둘러야 할 단계이다. 그러나 정보활용교육의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지침과 모형을 제시하는 노력은 아직 미흡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도서관 주체의 정보활용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ACRL, LIRT, SCONUL, ANZIIL의 홈페이지에 추천된 온라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활용능력의 전반적인 단계와 각 도서관의 학습과정을 단계별로 분석하였으며,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실시할 수 있는 교육모형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