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l science education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7초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in Major Natural History Museums of the World)

  • 이선경;최지은;신명경;김찬종;이선경;임진영;변호승;이창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57-37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주요 자연사 박물관에서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미국(AMNH, FM, SM), 영국(NHM), 호주(AU), 캐나다(RTM)의 자연사 박물관의 웹사이트에 소개되어 있는 교육 프로그램, 박물관 간행 책자, 홍보자료, 연간 보고서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크게 열 가지 유형-이동식 박물관, 워크삽, 강좌/강연, 페스티발/(특별)이벤트, 탐구활동, 과학적 활동/연구 프로젝트, 필드트립, 청소년 학예원/인턴 과정, 대여 자료, 캠프/투어-로 나누고, 각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의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개별 프로그램을 교육적 측면에서 볼 수 있는 몇 가지 특징인 주제, 참여 수준, 전시와의 연관성, 학교교육과의 연계, 활동 수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과학교사, 박물관 교육담당자 및 학예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 교육 프로그램 유형과 내용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유용하며, (2)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지침으로 이용될 수 있고, (3) 일반 대중에게 다양한 과학적 측면과 소장품을 소개하거나 학교 교육과정과 연관한 과학 교수 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반영 정도와 전시 방법의 교육적 분석: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Reflected in Exhibits and an Educational Analysis of Exhibition Methods: Cases of Natural History Museums in the U.S.)

  • 김찬종;신명경;이창진;차현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0-139
    • /
    • 2006
  • 자연사 박물관을 비형식교육기관으로 정의하게 될 경우,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형식교육기관과 어떤 형식으로 보조를 맞추고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가 이다. 이는 전시의 내용과 전시의 형태에서 과학교육과정을 어느 정도로 또한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통해 알아볼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인 스미소니안 자연사 박물관과 뉴욕의 아메리칸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물 중에서 지구과학관련 전시물 461점을 선별하였다. 선발된 전시물의 다양한 측면을 개발된 도구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분석틀은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National Science Curriculum Standard; NRC, 1996)과 TIMSS(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Robitaille et al., 1993)의 과학교육과정 프레임을 근거로 구성하였다. 고려되었던 전시의 특징은 우선 전시의 활동 유형, 전시 기술, 전시 매체, 전시 표현 등이고 아울러 과학의 본성이 어떻게 전시물에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비형식 교육기관으로서의 자연사 박물관의 역할에 대한 잠재력을 본 연구를 통해 재검토하였다.

Nurses' Perception of Performance and Responsibility of Patient Education

  • Park Mee-Young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514-1521
    • /
    • 2005
  • Purpose. This paper is derived from a larger study of nurses' perceptions of their role as patient educators. The focus is to examine nurse' performance in patient education in relation to issues of their perceived responsibility and their ability to prioritize patient education. Method. A multiple-method survey design, using a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s, is used to produce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research problem examined. Result. The findings suggest that although nurses consider patient education as an integral part of their care, they fail to deliver as much as they desire in the face of work constraints. Nurses' patient education activities are mainly informal and reactional, in which case they can be easily regarded as a low priority when faced with time constraint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approaches that enable the inculcation of patient education into routine daily care.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 (Analyzing the Status Quo of Docent Training Program and Searching Its Development Direction in Science Museum of Korea)

  • 박영신;이정화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881-901
    • /
    • 2011
  • 과거 과학관은 단순히 수집품 전시와 관람객들이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체험에 그쳤지만 근래 과학관은 과학관에 대한 일반인 및 학생들의 높아지고 있는 교육적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즉, 도슨트를 양성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서 관람객들의 교육적 만족도를 높이는데 노력하고 있다. 도슨트는 다양한 관람객들에게 전시품 등을 설명하고 안내하는 사람으로 관람객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과학관을 대상으로 도슨트 양성프로그램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도슨트의 전문성을 위한 국내 도슨트 양성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해 연구 대상으로 도슨트 활동과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국내 4곳과 국외 4곳을 선정하고, 이 연구대상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도슨트 양성프로그램, 도슨트 양성 및 관리 책임자와 활동 중인 도슨트의 현장 인터뷰, 전자메일, 그 외 문서자료)를 분석하여 비형식교육기관인 과학관의 교육적 역할에 있어서 도슨트 양성과 운영이 국내 과학교육에서 얼마나 결정적인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의 대중화 목적을 위한 과학관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람객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도슨트를 일반적 자원봉사자와 차별화하여 모집 양성해야 한다. 둘째, 도슨트 전문성을 위해서 이론적인 전시내용을 벗어난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전시해설 전략을 습득할 수 있는 경력 도슨트와의 멘토링을 통해 양성 및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해야 한다. 셋째, 도슨트 교육을 위한 교재가 개발되어 학교교육에서 실행하지 못하는 과학적 소양의 요소-전시물을 이용한 과학탐구 경험을 통한 과학윤리의 습득-을 과학관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도슨트의 전문화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형식 교육환경에서 일어나는 부도와 아동의 대화: ZPD 체계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Child Dyadic Discourses in an Informal Learning Setting: Focusing on the ZPD System)

  • 김기상;허준영;이선경;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832-847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과 같은 비형식 학습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부모와 아동의 담화를 ZPD 체계를 중심으로 심층 분석 및 해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쌍은 서울 및 그 근교 지역의 초등학교 2 학년 학생들과 그들의 부모 12쌍이며,모두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자연사박물관이 발간한 문헌,전시물 사진,전시를 관람하는 연구참여쌍의 비디오 녹화물로 구성되었다. 문헌과 전시물 사진을 통해 박물관의 전시명,연출방법,관람목표가 분석되었고,비디오 녹화물은 모두 전사되어 ZPD 체제(상황정의, 상호주관성,기호매개)를 준거로 분석 및 해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부모와 아동의 대화를 ZPD의 형성 체계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크게 네 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즉,실제적 발달수준 내의 대화,근접발달영역 내의 대화,잠재적 발달수준에 도달하는 대화,발달수준 밖의 대화가 그것이다. 그 중에서 대화 양상은 아동의 실제적 발달수준 내의 대화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근접발달영역 내의 대화가 그 다음 빈도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각 대화 유형별 대표적 사례를 통해 부모와 아동의 대화의 본질을 ZPD 체계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기술 및 해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박물관 상황에서 부모와 아동의 대화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공헌할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박물관이 교육적 담화를 촉진하기 위해 전시 환경 어포던스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물 교육 내용체계의 개발 (A Study on Contents Development of Wate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성정희;이재혁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4권2호
    • /
    • pp.86-98
    • /
    • 2011
  • Water problems recently, not only influence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water quality and water management but also influence socioeconomic issues such as poverty, gender, and regional conflicts. Therefore there is increasing attention on water education as par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Yet water education in formal education is only treated with particular subjects like science and social studies with limited contents which fails to cover the social, economic problems related to water thoroughly. Also, though there is an active water education on the field of informal education. its contents are also very limited. Water education requires the implementation of a comprehensive and holistic approach that can holistically consider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as well as environmental problems. Therefore in this research, 'wate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set up as a direction of contents development which include interdisciplinary and holistic aspects. Contents development of wate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an reflection of the experts and teacher's opinions and contain of: main category dividing into three pilla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ch as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and subcategory covering environmental science's objective including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action as well as local,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issues.

  • PDF

과학축전 활동 경험에 대한 부스 운영 및 참여 관람 학생의 인식 (Exploring the Student Presenters' and Student Visitors' Perceptions of the Science Festival)

  • 박은지;이선경;김기상;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772-784
    • /
    • 2010
  • 매년 개최되는 '과학 축전'에서는 부스 운영 학생들의 안내 하에 다양한 과학 및 기술관련 워크숍, 시범 실험등의 활동이 제공된다. 본 연구는 과학축전에 참여한 부스 운영 학생들과 참여 관람 학생들의 인식을 탐색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6일 동안 축전에 참여한 부스 운영 학생 323명과 참여 관람 학생 495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안광호와 박일우(2009) 및 이선경 외(2010)의 설문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완성되었다. 연구 결과로서, 학생들의 참여 배경, 참여 유형별 및 학교급별 교육적 경험에 대한 인식, 부스 운영 학생들의 과학탐구 경험에 대한 인식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과학축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부스 운영 학생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탐구 과정에 참여한 것을 의미 있는 경험으로 인식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비형식 과학교육으로서 공동체 기반 프로그램에 대한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국내 원자력 홍보관의 전시물 탐색 및 교육 활용 방안 모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Development on Exhibits at the Nuclear Information Halls)

  • 김민환;정다혜;박영신;정운관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73-38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원자력방사선 관련 전시 및 교육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국내 원자력 홍보관의 전시물 및 전시패널을 내용에 따라 크게 4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과학커뮤니케이션의 6가지 요소로 분석하여 비율을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 원자력 홍보관 총 4곳을 목적 표집하였으며, 일본의 원자력 과학관 1곳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모든 기관에서는 4가지 범주 중에서 개념에 해당하는 내용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시물에 포함되어 있는 과학커뮤니케이션 요소는 개념(CON)과 흥미(INT)가 주를 이루었으며, 반면에 과학의 본성(NOS), 인식(AW), 즐거움(ENJ), 의견(OP)은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원자력 홍보관은 관람객에게 원자력방사능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정보를 제공하여 관람객 스스로 올바른 판단을 하고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며 과학커뮤니케이션 요소의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과학적 소양인 양성을 위한 전문 비형식 교육기관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전시물에 반영하기 어려운 과학커뮤니케이션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전문 도슨트 또는 해설사 양성을 위한 전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Moral Engagement with Socioscientific Issues

  • Lee, Hyun-Ju;Choi, Kyung-Hee;Chang, Hyun-Sook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46-659
    • /
    • 2006
  • This study explored, through informal, conversation-type interviews, how college students relate to science in general as well as to two specific socioscientific issues: human cloning and animal dissection/experimentation. How students "relate" includes what kinds of attitudes they have toward science and socioscientific issues, how seriously they consider and want to engage with these issues, and how they express their opinions or make a decision. The sample (16 college students) was heterogeneous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ethnicity, and school year. Each interview lasted for about one hour with audiotaping. Results indicated that most participants immediately brought in their own values and feelings in implicit or explicit ways. However, the depth of their personal engagements varied. Most of the participants either did not take socioscientific issues seriously or merely quoted their own values in resignation, seemingly not able to deal with the issues and overwhelmed by many other aspects of the issues. By reflecting on the participants' reactions, the discussion addresses some of the larger issues for current secondary science teaching that involve raising responsible democratic citizens.

A Critical Review of the Research on Learning during Field-trips

  • Choi, Mee-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7-77
    • /
    • 2005
  • This review is aimed at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in field-trips relating to education in outdoor activities. The review specifically concerns what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by seeking evidence from research published between 1950 and 2004. The review indicates three common arguments on learning during field-trips. First, the learning in a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first-hand experiences is most significant when it has meaning for the learner from field-trips. Second, learning aims and strategies in field-trips have evolved along with world-wide concerns towards the environment. Third, the experiences from field-trips can impact significantly on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However, the research of field-trip experiences from outdoor activities has focused on learning outcomes far more than on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which facilitate students' learning. Therefore, further study is required, which can provide clear evidence on how such learning characteristics through field-trips can help studentsto successfully attain educational go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