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ant Teacher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초

어린이집의 하루일과에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실행하는 영아권리존중보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ant daycare center teacher practicing infant's rights respect in care giving daycare center's daily work)

  • 윤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07-41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의 하루일과 속에서 영아권리존중보육을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J도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하루일과에 따른 영아권리존중보육의 실행 수준을 보육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 전공에 따라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등원시간과 화장실 다녀오는 시간에는 4년제졸업이상 학력교사보다 전문대졸 학력교사가, 등원시간과 낮잠 재우는 시간에는 50대 이상 연령교사보다 30~40대 연령교사가 영아의 권리를 보다 존중하는 보육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연령과 전공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아도, 교사의 연령에 따라서는 의사 존중, 개별성 존중, 정보 제공에서 50대 이상 연령교사보다 30~40대 연령교사가, 교사의 전공에 따라서는 자율성 존중, 개별성 존중에서 유아교육 계열 전공교사보다 보육복지 계열 교사가 영아 최우선의 원칙에 따라 영아의 권리존중보육을 보다 우수하게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관련변인의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의 하루일과에 따라 실행하는 영아권리존중보육을 많이 할수록 영아 최우선의 원칙에 따른 영아권리존중보육도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양적 질적으로 우수하고 균형 있는 영아의 권리존중 내실화를 다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융복합시대에 유치원교사의 권리와 의무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Rights and Dutie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 부좌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5-121
    • /
    • 2018
  • 융복합시대에 유치원교사의 권리와 의무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유치원 재직중인 교사 174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하고 연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교사의 권리가 교수-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언어적 상호작용에서는 교육과 신분상의 권리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정서적 상호작용에서는 교육권리에서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행동적 상호작용에서는 노동의권리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사의 의무가 교수-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언어적 상호작용과 정서적 상호작용에서는 신분상의 의무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교사의 의무가 교수-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행동적 상호작용에서는 성실 및 직무상의 의무와 신분상의 의무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영아 보육교사의 자질 및 역할과 전문성에 관한 심층사례 연구 (A Depth Interview on Qualification, Role, and Professionalism of Infant/Toddler Teachers)

  • 안선희;김지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87-9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sic materials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51 infant/toddler teachers through in-depth interview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child care cen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toddler teachers got less credits of young child care and education subjects than day care teachers did. The current criteria for qualification of infant/toddler teachers was not appropriate for providing the child care services. An efficient and substantial curriculum must be designed to facilitate the day care services for infant/toddler teachers. Second, the infant/toddler teachers recognized that their roles were similar to child care teachers. The curriculum and practice must encourage and nurture the characters, beliefs, and dispositions of infant/toddler teachers.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various problem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toddler teachers. Several 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are discussed.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어린이집 보수교육프로그램 평가 (The Evaluation of Day Care Center In-servic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 김보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0-278
    • /
    • 2018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CIPP 평가 모형에 기반하여 어린이집 유아교사가 이수한 보수교육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충남 및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집 유아교사 대상 보수교육은 목표제시와 사전분석과 같은 교육상황은 다른 평가영역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유아교사 개인요인과 같은 교육과정은 상대적으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영역으로 평가 되었다. 유아교사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획일적인 교육은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교사의 현장과 실태를 고려하여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고 교사의 현장요구가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교사 대상 보수교육의 평가를 통해 보수교육프로그램의 실정과 추후 보다 바람직한 어린이집 보수교육이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보수교육 내실화를 위한 유아교사의 자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fant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Role Performance)

  • 신희정;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1-308
    • /
    • 2013
  •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교사의 정서지능, 어린이집 조직문화, 역할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학력에서는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상담 및 정서적 지원'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력에서는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교육 및 교수활동'과 '관련적 역할'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시설유형에서는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어린이집 조직문화는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지능, 어린이집 조직문화, 경력 순으로 나타났다.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한 '좋은 영아교사'의 의미탐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Mothers of Double-Income Families with Infants about a Good Teacher for Infants)

  • 강소영;전숙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7-47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교사와 어머니의 직 간접적인 관계를 통해 맞벌이 어머니의 시각에서 바라본 '좋은 영아교사'란 무엇인지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N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 6명이며 2011년 2월 26일부터 2011년 3월 13일까지 총 2회의 개별적인 만남을 통한 심층면담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녹음, 현장노트, 활동자료집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아이와의 관계에서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좋은 영아교사'는 '엄마 같은 교사', '아이가 성장하고 변화함에 노력하는 교사', '신나게 놀아주는 교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엄마와의 관계에서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좋은 영아교사'는 '엄마의 정서적 지지자로서의 교사', '양육적인 지식에 도움을 주는 교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자신의 측면에서 맞벌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좋은 영아교사'는 '한결같은 교사', '진실성을 지닌 교사', '전문성을 지닌 교사', '상호 협력적인 교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영아의 기질과 발달수준 및 어머니의 양육 특성 변인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Development, and Maternal Parenting Variables on Parenting Efficacy)

  • 하지영;서소정
    • 아동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1-16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s predicted parenting efficacy. The variables of interest were demographic variables regarding both the infants and mothers, infant temperament and development, maternal parenting knowledge, parenting belief, and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consisted of 260 infants and mothers. Data on infant's temperament, parenting knowledge, parenting belie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were gathered through maternal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urthermore, infant development was assessed by classroom teach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infant's sociability and activity, parenting knowledge about emotional development, parenting beliefs emphasizing the role of nature in infant development, low parenting stress all predicted parenting efficacy.

영유아 교사의 안전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Trend of Studies on Safety Education of Infant-Early Childhood Teachers)

  • 김현자;이영
    • 아동복지연구
    • /
    • 제16권2호
    • /
    • pp.67-8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in the studies on safety education of infant-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a variety of studies in the field of child education. We consulted a total of 59 dissertations and journals articles on the safety education of infant-early childhood teachers published from 2008 to 2018. Ou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concerned safety awareness, followed by status and awareness, safety actions, safety education analysis, safety accidents and countermeasures, emergencies, development of programs, and teacher education. Second, we found that the most popular targets were child-care of teachers, followed by teacher-trainees, and center directors. Third, among the types of studies, we found that investigative quantitative studies were the most prevalent, followed by correlational studies, qualitative studies, and experimental studies. In terms of methods of gathering data, we found that questionnaire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followed by qualitative studies, literature reviews, qualitative/quantitative studies, and quantitative literature reviews.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ant Class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 김순애;김수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7-8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배경 변인 분석을 통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여건 개선 및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보육교사 488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11일부터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전반적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효능감이 개인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개인변인인 연령과 결혼여부에서, 근무여건 변인인 어린이집 유형, 평균근무시간, 월평균보수, 반 원아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역시 전반적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경제, 학부모, 업무, 원아, 개인, 행정업무 순이며, 가장 낮은 요인은 동료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개인변인 연령, 결혼여부, 경력, 이수한 연수회수에서, 근무여건 변인은 어린이집 유형, 평균근무시간, 반 원아수, 월평균보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여건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영아전담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교육요구 (Educational Demands among Teachers at Infant Daycare Centers)

  • 하영혜;방경숙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2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ducational demands of teachers in the daycare centers for infant healthcare. Methods: Sixty-nine teachers who in charge of children under 1 year old at infant daycare centers participated from January 2 to March 31, 201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21.0. Results: Education demands among teachers of infant daycare centers were high in health and safety domain. Teachers prefer 6 month as the term of educ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lso, three hours or less of session under the auspices of health and safety organizations were preferred. Mostly demanded education contents were first-aid skills depending on diverse types of accidents. In addition, teachers required repeat of practically available first-aid education programs with improved educational conditions. Conclusion: This study offered crucial examination of current status and key problems of infant healthcare at infant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identified educational demands for infant healthcare among infant teach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