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oral health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3초

유아의 숲동화 구연학습이 자기감정조절과 공동체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ral Narration Learning for Children's Forest Fairy Tale on Self-Emotional Regulation and Community Spirit Cultivation)

  • 강영식;마지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12-124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의 숲동화 구연학습이 자기감정조절과 공동체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S시소재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8주간 16회기 실험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숲동화 구연학습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실험집단의 숲동화 구연학습의 유용성을 입증해주었다. 특히 공동체의식 요인의 기본생활 습관과 공동체 의식, 사회성발달, 자기인식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숲 체험 활동에서의 자연과에서 소통과 함께 동화소재를 자연 속에서 읽으면서 듣고 직접 체험함으로써 유아들이 동화를 통해 주의 집중하고 자연과의 교감 속에 자연 그대로 느끼는 순수한 감성을 바탕으로 또래와 함께 상호 협력하고 공존을 위한 관계 향상은 물론 원칙과 질서를 지키고 이를 실천하려는 소중한 마음이 동화 속 이야기와 함께 자기감정조절까지 증가시킴을 실증해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같은 결과는 숲 활동에 있어 단순한 놀이나 교육 중심에서 벗어나 숲동화 연계 활동을 통해 감정조절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식 향상에도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가져다 줌에 따라 이의 활용이 보다 확산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염화벤지코늄과 구연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살균 소독제 라미아-킬에 대한 급성경구독성 및 피부자극성 시험에 관한 연구 (Acute Oral Toxicity and Skin Irritation Studies on Lamia-Kill$^{(R)}$ Composed of Benzalkonium Chloride and Citric Acid)

  • 차춘남;이여은;손송이;유창열;박은기;최현주;김석;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7-382
    • /
    • 2011
  • 살균소독제, 라미아-킬(benzalkonium chloride(20%), citric acid(20%))에 대하여 랫드와 토끼를 이용하여 급성경구독 성과 피부 자극성 평가를 각각 수행하였다. 랫드에 라미아-킬 2,000 mg/kg 농도를 최고농도로 하여 단회 투여 후, 14일간 관찰한 결과, 사망, 이상증상 및 체 중변화 등은 관찰되지 않아, 라미아-킬의 $LD_{50}$은 2,000 mg/kg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토끼의 등 부위의 털을 제거하고 찰과부위와 비찰과 부위에 여러 농도로 라미아-킬을 도포 한 후, 피부 자극성을 확인한 결과, 라미아-킬의 l차 자극 지수가 0.50으로 비자극성 물질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라미아-킬은 급성경구독성 시 안전한 물질이며, 피부 자극성을 야기하지 않는 물질로 평가되었다.

S중, 고등학생의 구강검진에 따른 구강 증상 및 구강건강행태 조사 (A Study on Oral Symptoms and Oral Health Behavior among Secondary Students)

  • 홍민희;정미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534-1539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S중학교 1학년 251명, S남자고등학교 1학년 220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을 실시한 결과 아래와 같다. 구강증상에 대한 중, 고등학생들의 치아 지각과민 경험은 고등학생이 23.2%로 중학생 14.3%보다 차갑고 뜨거운 음료 혹은 음식을 마시거나 먹을 때 치아가 아픈 경험이 있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chi^2=6.08$, p<.05). 치아 통증에 대한 경험은 고등학생이 9.1%로 중학생 4.4%보다 치아가 쑤시고 욱신거리고 아픈 경험이 있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chi^2=4.23$, p<.05).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구강건강행태 결과 중학생이 48.6%로 고등학생 26.4%보다 지난 1년 간 치과병원을 간 적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chi^2=24.56$, p<.001). 하루 동안 잇솔질 시기는 중학생이 68.5%로 고등학생 57.3%보다 아침식사 후에 이를 많이 닦았으며($\chi^2=6.39$, p<.05), 점심식사 후에는 고등학생이 16.8%로 중학생 7.2%보다 이를 많이 닦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chi^2=10.58$, p<.01).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구강검사 판정결과 고등학생이 44.1%로 중학생 22.3%보다 우식치아가 많았으며($\chi^2=25.36$, p<.001), 중학생이 9.6%로 고등학생 4.1%보다 상실치아가 더 많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chi^2=5.39$, p<.05).

75세 이상 후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relative factors of old-old elderly of more than 75-year-old -Based on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은석;이성국;윤희정;남행미;김경희;권기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279-4289
    • /
    • 2014
  • 75세 이상 후기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75세 이상 후기노인 468명에 대해 연구하였다. 75세 이상 후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성별(OR=0.456, 95%CI=0.257-0.805), 직업(OR=1.437, 95%CI=0.963-2.149), 배우자(OR=0.673, 95%CI=0.443 -1.022), 스트레스정도(OR=0.476, 95% CI=0.309-0.730), 우울증상(OR=0.410, 95% CI=0.238-0.704), 주관적 구강 상태(OR=1.874, 95% CI=1.332-2.643), 흡연(OR=0.738, 95% CI= 0.523-1.039), 음주(OR=1.251, 95% CI=1.017-1.540), 걷기실천(OR=1.698, 95% CI=1.188 -2.431)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노인에 비해 남자노인이, 직업이 있을 경우, 배우자가 없을 경우, 스트레스정도가 낮을 경우, 우울증상이 없을 경우, 음주를 하고 있을 경우, 걷기를 실천할 경우에서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러한 특성들을 충분히 고려한 건강관리지원이 필요할 것이라 여겨진다.

재가복지 노인의치 세정제의 음식물 세정효과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enture cleansers for food stain removal on the denture of elders in domiciliary care)

  • 이남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31-336
    • /
    • 2018
  • 고령화 시대에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가장 중요한 필수 요건 중 하나는 바로 구강건강이다. 특히 재가노인들의 구강건강 개선은 그들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의치의 위생적인 관리와 깊은 연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노인의치의 청결한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 출시된 의치관련 세정제들의 정량적인 성능평가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단백분해효소가 들어있는 의치세정제의 음식물 얼룩 제거성능을 평가하여, 세정제를 이용한 자가 세정방법에 대한 기본 자료와 재가노인들의 구강건강을 위한 효율적인 치료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세 가지 종류의 각 단백효소 의치세정제의 음식 얼룩 제거성능에 관한 정량적인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한국소비자원이 제시한 시험평가방법과 관련 재료의 시험평가 기준인 ISO 20795가 사용되었다. 총 18개의 시편이 강황성분을 용해한 물에 48시간 담가 변색시킨 후, 각각의 단백효소 의치세정제로 24시간 동안 세정하였다. 세정시킨 의치 시편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변색 전 의치 시편의 색조 값과 변색 시편을 의치세정제로 세정한 후의 색조 값의 색차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값은 one-way ANOVA with post-hoc Tukey's test를 통해 분석 되었으며, 각 실험 군들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고 C가 A와 B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얼룩제거성능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p<.05). 모든 실험은 2017년 7월 3일부터 7월 23일까지 총 21일간 진행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노인의치의 적절한 의치관리 법으로 최소한의 손상을 주는 세척방법이 권장되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고령화시대에 지속적인 구강보건과 구강건강에 노인의치의 재가 세정작업에 최적화하고자 한다.

한국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과 일반인의 건강행동 비교연구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Patterns between Korean Seventh-Day Adventists and the General Korean Population)

  • 임종민;장주동;이무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656-665
    • /
    • 2016
  •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의 재림교인과 일반 인구집단간의 생활습관 및 건강행동 비교 분석 연구를 통하여 특성과 관련요인들을 도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수도권 지역 만 20세 이상 재림교인 878명과 제4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 조사자료 중에서 수도권 지역 만 20세 이상 3,000명을 대상으로 건강행태와 관련된 건강검진, 흡연, 음주, 신체활동, 주관적 스트레스, 체중관리, 구강건강 관련 항목의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건강행동에 기여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건강검진율은 재림교인이 일반 인구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001), 재림교인은 연령이 낮은 20-30대에서 검진율이 낮게 나타났다(p<0.001). 평생 흡연 경험율 및 현재 흡연율에서 재림교인이 일반 인구집단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으며(p<0.001), 재림교인 중 과거 흡연자의 금연 성공율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음주율에서는 재림교인이 일반 인구집단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재림교인은 신앙기간이 짧을수록 음주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남자가 여자보다 음주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중등도 신체활동 및 걷기 운동에서 재림교인은 일반 인구집단보다 실천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재림교인들의 남자가 여자보다 중등도 신체활동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결론: 이상에서 나타난 재림교인들의 건강생활습관에서 흡연 및 음주 등에서는 일반 인구집단에 보다 탁월하게 건강생활을 실천하고 있어 추후 보다 심층적인 추적관찰 연구 등이 필요해 보인다.

부산시 일원의 토양 오염도 조사 (A Survey of Soil Pollution in Pusan City Area)

  • 정인교;홍성수;윤일
    • 약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25-732
    • /
    • 1994
  • To provide a basis for setting up an environmental pollution policy of Pusan, an investigation of metal contents in the soil of Pusan was carried out from May, 1993 to April, 1994. Soil was sampled from 10 sites of industrial area,8 sites of commercial area, 8 sites of residential area, 8 sites of green area and 8 sites of agricultural area. The industrial area was the most heavily polluted and the average contents of Cd, Cu, Zn, Mn, Pb and As were 0.580, 19.377, 67.348, 59.638, 58.555 and 1.006 ppm, respectively. In the soil of commercial area, the average contents of Cd, Cu, Zn, Mn, Pb and As were 0.453, 19.110, 63.384, 56.006, 37.466 and 0.578 ppm,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contents of Cd, Cu, Zn, Mn, Pb and As were 0.289, 10.312, 55.246, 55.536, 17.695 and 0.610 ppm, respectively, in the soil of residential area. The green area was the least polluted and the average contents of Cd, Cu, Zn, Mn, Pb and As were 0.215, 5.949, 19.366, 37.244, 6.856 and 0.295 ppm, respectively. In the soil of agricultural area, the average contents of Cd, Cu, Zn, Mn, Pb and As were 0.160, 7.077, 25.365, 51.485, 10.607 and 0.499 ppm, respectively The fact that the Cd content of agricultural area was lower than that of green area is remarkable.

  • PDF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나사 구조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Abutment Screw Structure for Dental Implant)

  • 송종법;최일경;정효경;권순홍;권순구;박종민;김종순;정성원;최원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69-176
    • /
    • 2017
  • Dental implants are required to have biomechanical functions and biostability in order to perform authoring, pronunciation, and aesthetic functions in the oral cavity. In terms of biostability, pure titanium for medical have good biostability and no rejection in the alveolar bone. with appropriate strength in terms of strength as well as biocompatibility. In recent years, various surgical methods and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procedure. However, as the number of procedures increases, the screw loosening of the abutment screw connecting the artificial root and the abutment There are many reports of artificial root and abutment fracture. Fig. 1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screw is arbitrarily modified to remove the abutment by the abutment fracture due to the loosening of the abutment screw. The fundamental cause of abduction of the abutment screw is caused by the slight movement due to the lowering of the retention force of the abutment screw. It is necessary to minimize loosening of the abutment screw to avoid problems such as fracture during the period of using the impl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abutment screw to prevent the loosening of the abutment screw by forming 0.5mm slot.

교육수준에 따른 구강 보철물 상태 비교 연구 (Study on Comparison of Dental Prosthesis Condition according by Educational Level)

  • 김혜연;이미희;김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23-129
    • /
    • 2017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원시자료 중 구강 검진조사로 이루어진 구강보철물 상태 조사를 활용하였다.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교육수준별로 실제 구강건강 상태가 어떠한지를 보고자, 구강 내 현존하는 보철물 상태와 가공의치, 틀니 등의 필요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교육수준이 초등졸업 이하가 32.2%로 현저히 낮았고,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교육수준이 점점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득수준에서는 대학 졸업이상이 소득수준 '상'에 45.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학 졸업이상의 교육수준에서 전문가 직업군이 77.4%로 월등히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수준에 따른 상 하악의 구강 내 보철물 상태에서는 초등학교 졸업 이하의 수준에서 전체적으로 구강내 보철물이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었고, 부분틀니. 완전틀니 필요도에서도 초졸 이하의 교육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정성 가공의치 필요단위 수에서는 상악에서는 초등학교 졸업이하의 교육수준에서 가장 높았지만, 하악에서는 중학교 졸업 수준에서 가장 높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디지털 덴탈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전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s and prospects of big data in the field of digital dental healthcare)

  • 류재경;김남중;김소민;이선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42-48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s and prospects of big data in digital dental healthcare. Methods: The study included 30 participants in the dental field (dentists, technicians,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From June 25 to 30, 2023,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thoroughly explained, consent was obtained from the research subjects, an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via an internet service. The questionnaires of 28 participants who responded completely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2.0 (IBM). Results: The use of big data in digital dental healthcare, digital dental health system, mobile dental health, dental health analysis, and telehealthcare were all heavily surveyed, with an average score of 3.97 or higher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areas where big data can be utilized in digital dental healthcare are as follows. The utilization rate for three-dimensional digital product development via linkage with big data systems and industrial field manufacturing technology was found to be 4.11±0.67, and the analysis of trends by age in the occurrence of various oral diseases was found to be 4.00±0.98. Conclusion: In the future, research into the viability of big data's success in the medical data field,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human life, is needed. Additionally, social policies and regulations regarding big data-related information and standards in dental healthcare a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