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ing Creativity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7초

창의성 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기종단적 연구 (T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 of Creativity Educational Program)

  • 유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536-45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적 사고능력과 창의적 인성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성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1년 뒤에 실험을 했던 학생들을 추적하여 지연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사고능력과 창의적인성의 하위요인에서 창의성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는 1년이 지난 시점에서도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의미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액션러닝이 간호사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정서창의성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ction Learning on Nurses'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Emotional Creativity and Innovation Behavior)

  • 이숙자;장금성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3-8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Action Learning(AL) program in terms of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skills, emotional creativity and innovation behaviors. Design for this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hospital staff nurses in G city (Experimental group=29, Control group=30). The AL program was composed of fourteen sessions in eight weeks. Data were collected and the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y. 26 to July. 18, 2008. Data were analyzed with ${\chi}^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ANCOVA, and utilized the SPSS win 20.0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problem solving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emotional creativ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AL program has proven to be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the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emotional creativity of nurses.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활동 중심으로 (A Program To Promote Young Children'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 Focus on Cooperat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 송애란;송승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9-92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eative problem-solving(CPS) program conducive to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picture books, focusing on young children's cooperative activities.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99 five-year-old children were induced to participate in i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ata were analyzed in advance and post hoc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This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creativity,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Conclusion/Implications: The purpose of the program was to solve the problems we face in our daily life creatively through cooperative activities. The creative problem-solving(CPS) program for the young children focused on cooperative activities using the picture books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상황에서 집단 과학창의성 영향요인 탐색 (Investigation of 'Group Scientific Creativity' Factors in Gifted Students' Creative Project Solving Context)

  • 홍은정;허남영;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27-53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분야에서의 집단의 창의적인 성취를 의미하는 '집단 과학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선정하고,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집단 과학창의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집단 과학창의성 영향요인을 정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집단 과학창의성 영향요인 27개를 추출하였고, 과학교육 및 영재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집단 과학창의성 영향요인을 선정하기 위해서 72명의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1박 2일 동안 진행된 집단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과학창의성 영향요인으로 인적요인의 9가지 요소(과학적 사고, 과학 지식, 과학 정보 처리 능력, 동기, 도전정신, 구성원의 나이 및 성별의 다양성, 구성원이 선호하는 과목의 다양성, 창의적 경험, 집단응집력), 결합요인으로 4가지 요소(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집단의 창의적 과정(과학적 탐구과정), 자율성, 리더십), 환경요인으로 3가지 요소(학습 환경, 교사유형, 외적 보상)를 선정하였다. 둘째,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하여 집단 과학창의성 영향요인들이 창의적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으로서 요구되는 창의적 특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과학고 학생들의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물 실험 모듈의 적용 효과 (Application Effects of Biology Modules for Improving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Scientific Thinking)

  • 윤덕근;김성하;차희영;이길재;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56-564
    • /
    • 2004
  •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의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학습자 활동 중심으로 개발된 가설-연역적 실험 모듈이 과학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삼투압과 식물의 색소 분리와 관련된 5차시의 가설-연역적 실험 모듈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의 S 과학고 남 여 4개 반을 각각 46명씩 2개 학급으로 구성된 실험 집단 및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서 수업을 하였다. 실험 집단은 삼투 현상 및 광합성 색소 분리와 관련된 가설-연역적 방식으로 구성된 생물 실험 모듈을 통해 학생 중심의 실험 수업을 하였고, 통제 집단은 개발된 실험 모듈과 같은 내용을 가지고 전통적인 방식의 실험 결과 확인 실험 수업을 수행하였다. 두 모듈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 과학 탐구 능력 그리고 성취도의 향상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실험 모듈을 적용한 실험 수업은 기존의 전통적 실험 수업보다 학생들의 창의력, 과학적 사고력, 과학 탐구 능력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삼투 현상과 광합성 색소 분리를 주제로 한 두 개의 생물 실험 모듈을 적용한 가설-연역적 방식의 수업이 전통적인 교과서 실험 방식인 확인식 실험 수업보다 학생들의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중학생의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Writing Program : Cultivating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 황신영;정영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51-762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과학창의성 향상을 위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과학 "자극과 반응",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대상으로 총 21차시 분량의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과학 수업의 매 차시 정리 단계 10분 동안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과학글쓰기의 주제는 실생활과 관련된 과학 내용을 바탕으로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의 창의적 사고가 신장될 수 있는 것을 선정하였으며, 과학글쓰기 유형을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활동지를 통해 진행되었다. 활동지에는 해당 차시의 과학글쓰기와 관련된 탐구기능, 창의적 사고 유형, 과학글쓰기 유형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과학글쓰기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학습내용을 안내하였다. 또한 활동지에 교사 피드백 란을 두어 학생들이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과학개념과 창의적 사고과정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p< .01). 이는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창의적 사고를 발휘하여 정해진 답이 아닌 다양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과학글쓰기를 통해 학생들의 과학창의성이 신장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교사의 피드백이 학생들의 과학개념을 점검하고 창의적 사고를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융통성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나(p< .01), 독창성과 정교성 향상에는 효과가 없었다(p> .05). 학생들이 과학글쓰기를 통해 가능한 한 많은 해결 방안을 찾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융통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과학글쓰기를 통해 학생들의 독창성 및 정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학글쓰기의 분량, 내용, 작성 시간 등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패션콜라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shion Collage Program on Self-Identity and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 이경희;이승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54-76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the impact on self-identity and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fashion collage program. The methods of research were content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six fashion major college students experiment group and six control group students attending P university in Busan. The period of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ce a week in the 9th session (2019. 04. 25. - 06. 18). The analysis criteria of fashion collage were divided into formality and contents, and the analysis criteria consisted of number of collage pieces, margin, overlapping, cut method, text position, color, space layout, and location of fashion design drawing. Collage maps were analyzed based on formal analysis, and fashion design drawings were analyzed based on formal and contents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fashion collage program, a pre-post test of self-identity and creativity was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 SPSS WIN 25.0 program, U-test of Mann-Whitney, Wilcoxon signed-rank test. In pre-post test of self-identity and creativ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it has been shown that fashion collage program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elf-identity and creativity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f collage programs focused on self-discovery, so it should be carefully analyzed.

로봇C언어 교육프로그램이 창의력과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과학 고등학교 사례- (The Effect of a Robot C Programming Curriculum on Improving Creativity and Programming Ability - Case of a Science high School-)

  • 서형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0-23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로봇C언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로봇C언어 교육프로그램이 창의력과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로봇C언어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로봇의 이해, 로봇의 기초와 조립(교육용 키트의 사용법 및 기구학) 및 로봇C언어 프로그래밍 학습, 과제 로봇 만들기, 창작 로봇 만들기로 구성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창의적으로 로봇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C과학 고등학교 1학년 학생(38명) 중에서 로봇C언어 교육프로그램과 C++프로그래밍 과정을 이수한 실험집단(11명)과 C++프로그래밍 과정만을 이수한 비교집단(27명)의 창의력과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 정도를 사전 사후 검사로 비교하였다. 로봇C언어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들은 과제 로봇과 창작 로봇의 산출물을 얻었으며, 또한, 이수한 학생들은 TTCT 창의력 검사(도형)결과 창의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자체 평가 결과 C++언어 프로그래밍 능력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의 관계 분석 - 야외 식물 관찰 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the Observation Abil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Focus on Observation Learning of Outdoor Plants)

  • 김현주;김민주;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593-615
    • /
    • 2022
  • 본 연구는 야외 식물 관찰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관찰능력과 과학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5학년 21명을 대상으로 야외 식물 관찰 학습을 시행했다. 관찰 과제를 통해 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적 창의성을 평가하여 정량적 자료를 얻은 뒤, 식물 관찰에 대한 학생과의 면담을 통해 정성적 자료를 얻었다. 이외에도 연구자의 참여 관찰 기록, 학생의 활동 결과물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 상·하 수준에 따라 HH(고관찰-고창의)형, HL(고관찰-저창의)형, LH(저관찰-고창의)형, LL(저관찰-저창의)형의 4개 집단으로 유형화한 결과 전체 학생 21명 중 HH형과 LL형에 속한 학생이 15명으로 관찰 능력이 높을수록 과학적 창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과학 창의성 요소 중 독창성과도 관찰 능력과 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야외 식물 관찰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평상시 식물 관찰 빈도와 식물 관찰 학습에 대한 흥미, 식물 관찰 학습에서의 협력이었다. 넷째, 야외 식물 관찰 학습에서 과학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찰 능력과 식물 관련 지식의 양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등학교 과학과 '지구'분야의 ICT 활용 수업모듈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struction Module Using ICT on Earth Field at Elementary School Science)

  • 이용섭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09-417
    • /
    • 200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ICT 활용 수업모듈의 개발과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첫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의 하위요소인 개방성, 자아개념, 솔선수범, 미래지향적 자기이해, 창의성, 자기 평가력에 대해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의 하위요소인 학습열성, 책임감에서는 향상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독창성에서는 향상을 보이고 있으나 융통성에서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