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7/jkase.2013.33.4.751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Writing Program : Cultivating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Hwang, Shin-Young (Ewha Womans University)
Chung, Young-Lan (Ewha Woma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33, no.4, 2013 , pp. 751-76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science writ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The program consists of twenty-one 10-minute long sessions in 2 chapters (stimulus and respons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from the $2^{nd}$ year middle school textbooks. The team selected themes in science writing that can cultivate multiple facets of creativity in students: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The format of the science writing was diverse. The program was conducted through worksheets, and there was separate section within the worksheet for teacher to give feedback to students. The science writing program with teacher's feedback improved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p<.01). It seems like teacher's feedback is critical in checking students' concept and boosting students' creativity. The program is statistically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flexibility(p<.01), however it is not the case for improving on their originality and ability to elaborate(p>.05). We assumed that the relatively extensive portion of the writing was not suitable to improve students' ability to elaborate their ideas further as well as fostering originality.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creativity and ability to elaborate, there is a need to adjust the amount of science writing, content, time.
Keywords
science writing program; scientific creativity; feedback;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구슬기, 박일우 (2010). 초등과학글쓰기 지도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9(4), 427-440.
4 김미애, 정미영, 문성숙, 권재술 (2004). 실험보고서 평가의 되먹임이 중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논문집, 14(1), 138-148.
5 김미진 (2011). 토의식 수업에서 과학글쓰기가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병삼, 여상인, 김영주 (2009). 피드백을 통한 초등학생의 상호작용적 과학일지 쓰기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논총, 22(1), 85-93.
7 김승훈 (2004). 중학생의 과학창의력 측정도구의 개발과 창의력 관련 변인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8 김영채 (2006).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9 남경운, 이봉우, 이성묵 (2004). 과학 일기 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10 문예경, 정영란 (2012). 초등학교 2학년 슬기로운 생활에서 창의적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1(2), 208-215.
11 박완숙 (2002). 창의성 계발을 위한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2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13 배희숙, 전영석, 홍준희 (2009).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글쓰기 교수학습 전략 개발. 초등과학교육, 28(2), 178-186.
14 백남권, 정영숙 (2001). 마인드 맵을 활용한 과학과 학습 활동이 아동의 과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27, 31-40.
15 손정우 (2006).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글쓰기 교수법.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33-355.
16 우종옥, 김승훈, 강심원 (2000). 과학교육에서의 창의력 수업모형 개발. 창의력 교육연구, 3(1), 1-26.
17 이석희, 김은진, 장현정 (2011).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0(4), 589-600.
18 이호진, 최경희 (2004). 과학글쓰기에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선행 개념 및 오개념. 교과교육학연구, 8(3), 421-435.
19 장혜진, 신영준 (2009). 과학관련 도서 독후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8(2), 187-196.
20 정 혁, 정용재, 송진웅 (2004). 빛을 주제로 한 11학년 학생의 과제 유형에 따른 글쓰기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08-1017.
21 조석희, 장영숙, 정태희 (2003). 영재판별을 위한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 20(1), 259-296.
22 조연순, 최경희 (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육과정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20(2), 329-343.
23 조연순, 성진숙, 이혜주 (2008). 창의성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4 조혜진, 이형철, 김은진 (2011).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글쓰기가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2), 166-176.
25 천재훈, 손정우 (2004). 과학글쓰기에 나타난 창의적 사고기능의 유형분석-중학교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7(2), 285-304.
26 Guilford, J. P. (1956). The structure of intellect. Psychological Bulletin, 53, 267-293.   DOI   ScienceOn
27 최경희, 이현주, 남정희 (2000). 형성평가의 피드백 유형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와 태도 및 교사-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479-490.
28 한기순, 신지은, 정현철, 최승언 (2002).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창의적인가?-영재들의 과학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3(4), 324-333.
29 Baker, D. R. (2004). Focus on science Literacy: The role of writing and speaking in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Euras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6(2), 1-7.
30 Hand, B., Hohenshell, L., & Prain. V. (2004). Exploring students'responses to conceptual question when engaged with planned writing experiences: A study with year 10 scienc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2), 186-210.   DOI   ScienceOn
31 Lubart, T. I. (1994).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an Diego: Academic press.
32 Soven, M. K. (1996). Writing to learn: A guide to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Ohio: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33 Spender, D. (2001). What kind of curriculum for out nation? Paper presented in 2001 Curriculum Corporation 8th National Conference, Sydney.
34 Sternberg, R. J., Lubart, T. I. (1995).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New York: Free Press.
35 Torrance, E. P. (1974).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36 Yorem L. D., Hand, B., & Florence, M. (2004). Scientists's view of science, model of writing and science writing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38-369.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