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icit instruct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3초

명시적 교수와 암시적 교수가 요청 화행 전략 표현 학습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explicit and implicit pragmatic instruction in Korean request strategies for Chinese learners)

  • 이연경
    • 한국어교육
    • /
    • 제25권1호
    • /
    • pp.115-14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two different instruction methods for Korean learners of academic purposes in learning request expressio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licit and implicit group. Both groups viewed several scenes from the drama that involved native speakers interacting in different situations. The instructional treatment for the explicit group included metapragmatic information while the treatment for the implicit group did not. On the other hand, the treatment for the implicit group followed implicit techniques, which were repetition of the video presentation and a script reading activity. This study was made up of a pre-test, a post-test, and a delayed-test. The pre-test was conducted prior to the instructional treatment. The post-test was administered a day after the last instruction and the delayed-test was conducted five weeks after the treatments. Two types of tests, speaking and writing, were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subjects' knowledge of Korean reques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reveals that implicit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than explicit treatment in Korean learners' request acquisition. This results might have been due to the operationalization of the implicit condition in this study. Implicit instruction may help language learners make rules by themselves through tasks.

자기주도학습의 명시적 수업과 암묵적 수업에 대한 과학영재중학생의 평가에서 관찰되는 자기주도학습 요소 비교 (Comparison of Compon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Discribed in the Students' Evaluation of Explicit Instruction and Implicit Instruction Regarding Self-directed Learning)

  • 최승언;김은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1077-1098
    • /
    • 2013
  • 자기주도학습을 암묵적으로 다루는 과학내용수업과 명시적으로 다루는 자율학습자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는 과학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에게 매 수업마다 평가의 일부로 수업에서 만족스러운 점을 서술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에서 언급되는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들을 비교하였다. 첫째, 자기주도 학습 관련 하위요소의 대부분이 학생들의 평가에 언급되어 있었다. 수업 평가에서 만족스러운 이유를 조금이라도 구체적으로 서술한 경우, 거의 언제나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분류기준에 있는 대부분의 하위요소가 언급되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들을 인식했고, 그에 대해서 만족스러워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두 가지 수업에 대한 평가에서 자주 언급되는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와 빈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자율학습자수업에 대한 평가에서 더 많은 요소들이 더 높은 비율로 언급되었다. 예를 들어 탐구기반 차원의 하위요소인 조별활동은 두 수업에서 동일하게 수행되지만, 자율학습자수업에 대한 평가에서 더 자주 언급되었다. 자율학습자수업 평가에서 더 자주 언급된 하위요소들로 인지차원에서 조직화, 계획, 점검, 동기차원에서 자아효능감과 성취가치, 행동차원에서 행동 통제 등이 있다. 한편 일반인지 차원의 하위요소인 지식의 정교화는 주로 과학내용수업 평가에서 언급되었으며, 동기차원의 하위요소인 목적지향은 두 수업에서 모두 많은 학생들이 언급하였으나 과학내용수업 평가에서 더 많은 학생들이 언급하였다. 따라서 두 가지 수업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들에 차이가 있으며 두 수업이 서로 보완적이며 두 가지 수업이 모두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주의편향수정 훈련에서 지시문과 자극제시 시간의 효과: 사회불안증상 집단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Instruction and Stimulus Presentation Time in Attention Bias Modification Training on Social Anxiety Symptom Group)

  • 김슬아;홍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41-649
    • /
    • 2020
  • 본 연구는 주의편향수정(Attention Bias Modification; ABM) 훈련에서 지시문(명시형, 암묵형)과 자극제시 시간(300 ms, 500 ms)에 따른 ABM 훈련의 효과를 대학생 사회불안 증상 집단을 대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부산 소재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 척도(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가 82점 이상이면서 주의편향 점수(Attention Bias Score; ABS)가 0보다 큰 참가자를 ABM 훈련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훈련 집단은 명시형-300 ms 집단(n=10), 명시형-500 ms 집단(n=8), 암묵형-300 ms 집단(n=8), 암묵형-500 ms 집단(n=7)이었다. 암묵형 지시문 집단에는 ABM 훈련 실시 절차 정보만을 제공하였다. 명시형 지시문 집단에는 추가로 훈련 조작(탐침이 항상 중성 자극이 나타났던 위치에 나타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집단에 따라 300 ms 혹은 500 ms의 자극제시 시간을 사용하였다. 통제 집단은 통제-300 ms 집단(n=5), 통제-500 ms 집단(n=7)으로 구성하여 중성-중성 자극 쌍만을 제시하였다. 역시나 집단에 따라 300 ms 혹은 500 ms의 자극제시 시간을 사용하였다. 총 8회기의 ABM 훈련을 완료하고 SADS와 ABS를 재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ABM 훈련 효과는 지시문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ABS 감소는 세 집단(명시형 지시문, 암묵형 지시문, 통제)에서 모두 유의하였지만, 명시형 지시문 집단의 처치 효과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SADS 점수 감소는 명시형 지시문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자극제시 시간에 따른 ABM 훈련 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명시형 지시문이 암묵형 지시문에 비해 ABM 훈련 효과를 증진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명시적$\cdot$암시적 상황인식이 의사결정과 ERP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mplicit and explicit situation awareness instruction on decision making and ERP)

  • 정상택;김진구
    • 인지과학
    • /
    • 제16권2호
    • /
    • pp.141-15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암시적$\cdot$명시적 상황인식 지도가 의사결정과 ERP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이었다. 36명의 피험자들은 암시적 상황인식, 명시적 상황인식, 그리고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피험자들은 미국테니스협회에서 주관하는 국가테니스등급 프로그램 2-2.5수준에 해당하는 사람들로 구성하였다. 피험자들은 스크린에 비춰지는 단식수비, 단식공격, 복식수비 장면을 상황인식하다가 화면이 멈춰졌을 때 방향을 예측한 후 가능한 한 빨리 자기 앞에 놓여있는 스위치를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종속변수는 두정엽, 중심구, 전두엽의 P300 잠재기와 진폭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암시적 $\cdot$명시적 상황인식이 의사결정과 ERP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집단) x 3(조건) x 3(영역) 분산분석을 하였다. ERP는 시간 매김된 신호만 보존하여 앙상블 평균화 작업을 하였다. 연구결과 통제집단의 반응시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암시적 상황인식 집단의 P300 잠재기가 명시적 상황인식 또는 통제집단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클립간에 는 단식수비가 단식공격이나 복식수비보다도 잠재기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P300 진폭은 처치집단(명시적$\cdot$암시적 집단)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영역간에는 Cz 영역의 P300 잠재기가 가장 짧았다. 본 연구결과 암시적 명시적 상황인식지도는 서로 다른 형태로 피험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편측 뇌손상 환자에서 시각적 정보에 의한 운동 순서의 내잠 학습에 대한 분석 (Implicit Motor Sequence Learning During Serial Reaction Time Tasks Induced by Visual Feedback in Patients With Stroke)

  • 이미영;박래준;권용현;박지원;장성호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32
    • /
    • 2006
  • Theoretical framework of motor learning is used to enhance perceptual motor skill in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which can be subdivided into two main types-explicit and implic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troke patients with unilateral brain damage learn implicitly a motor skill using the arm ipsilateral to the damaged hemisphere. Speculation then followed as to the formation of therapeutic plans and instructions provided to patients with stroke. 20 patients with stroke and 20 normal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ll the subjects practiced serial reaction time tasks for 30 minutes a day and retention tests on the following day. The tasks and tests involved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s to 4 colored circles presented on a computer screen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Patients with stroke responded more slowly than controls. However, both groups showed decreased reaction time in the experimental and retention periods.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regarding explicit knowledge of consecutive order. Therefore, patients with stoke had the ability to learn implicitly a perceptual motor skill. Prescriptive instruction using implicit and explicit feedback may be beneficial for motor skill learning in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brain damage.

  • PDF

형태 초점 교수법이 제2 언어학습자의 문법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ocus-on-Form Instruction on L2 Learners' Grammatical Achievement: Focusing on the Deductive and Inductive FFI)

  • 황희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307-31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역적 형태 초점 교수법과 귀납적 형태 초점 교수법이 제2 언어학습자의 문법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문법 학습에 대한 반응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84명의 대학생으로 연역적 방법을 적용한 집단 29명, 귀납적 방법의 집단 28명과 전통적 방법의 집단 27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사전평가 및 사전설문조사 실시하였고, 수업 처치 후 사후평가와 사후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9주 후에 지연 사후평가를 수행하였다. 모든 양적 자료의 통계 처리를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 대응표본 T-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두 가지 형태 초점 교수법은 학습자의 문법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의 장기적 지속 효과도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역적 방법이 성취도에 더 효과적이었던 반면 문법 학습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는 귀납적 방법이 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형태 초점 교수법이 한국의 EFL 상황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함의한다. 따라서 형태 초점 교수법의 지속 효과에 대해 더 장기적인 변화과정을 관찰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명시적-반성적 접근을 활용한 모델링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메타모델링 지식에 미치는 영향 탐색 (Exploring the Influence of an Explicit and Reflective Modeling Instruction on Elementary Students' Metamodeling Knowledge)

  • 임성은;최승언;박창미;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7-14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명시적-반성적 접근을 활용한 모델링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메타모델링 지식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했다. 연구를 위해 서울 J 초등학교 4학년 2개의 학급을 선정하여 각 학급을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선정하였다. 실험반에서는 명시적-반성적인 방법으로 모델링 수업을 5차시 동안 진행하였으며, 통제반에서는 4차시 동안 암시적 방법으로 모델링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사전·사후에 메타모델링 지식 다섯 가지 요소인 '모델의 의미, 목적, 설계와 구성, 가변성, 다중성'에 대해 설문 및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메타모델링 지식 요소 중 실험반에서는 '모델의 의미(모델의 예)', '모델의 목적', '모델의 가변성', '모델의 다양성' 영역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는 변화가 나타났지만, 통제반에서는 여전히 모델의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는 학생이 다수였으며 모델과 모델링의 본성에 대해 다양하고 폭넓은 이해가 아닌 모델링 수업과 관련된 제한된 이해에 머물렀다. 본 연구를 통해 명시적-반성적 메타모델링 지식을 강조한 모델링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메타모델링 지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 연구 -문맥 추론과 배경지식 활성화를 통한 수업 도입을 중심으로- (Vocabulary Acquisition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Focusing on the Effects of Instruction Introductory Methods of Context Inference and Activation of Background Knowledge)

  • 이민우
    • 한국어교육
    • /
    • 제29권4호
    • /
    • pp.93-11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vocabulary in KFL. As a result of this study, learners learned vocabulary on average 43 points through contextual inference and introduction of the class to activate background knowledge. In particular, the implicit method showed the highest learning rate of 52 points, and the thematic method had a 41 point-learning rate. In contrast, the semantic method was the lowest with a 25 point-learning rat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rate of upper vocabulary learners, but in the case of the lower learn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rate.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the post-test relative gain rate of upper learners, but there was significant in lower learners. In the delayed test relative gain rate,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all groups.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difficulty and score,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the thematic method.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difficulty, improvement rate and relative gain rate in all three classes. However, content understanding, lexical grade, improvement rate, and relative gain rat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구조화된 입력처리 문법지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효과 (Korean EFL learners' perception and the effects of structured input processing)

  • 황선유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3호
    • /
    • pp.267-286
    • /
    • 200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learning strategies EFL learners use to learn English grammar and what is benefit from structured grammar input processing. Students of the study consisted of 48 college students who took Practical English Grammar at a university in Kyung-Gi area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grammar scores. The students were asked to take two grammar tasks and grammar tests and complete a survey including questions on grammar strategy and input proces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grammar level has an effect on use of grammar attack strategy including asking teachers, using grammar books and given context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lanning strategies, Among memory strategies, using grammar exercise and linking with already known structure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Second, with regard to input processing, high level students got higher score on how much they understood the structured grammar input compared with low level students. Third, explicit implicit instruction added to input processing seems more comprehensible and more available than structured input only, Finally, it showed that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score of input processing tasks and grammar tests. Especially, learners' perception of input processing correlated more with final tests and tasks.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more input processing task need to develop and utilize in order to facilitate learners' intake.

  • PDF

수학과 수업 운영의 숨겨진 규칙으로서의 교수학적 계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dactical Contracts as Hidden Rules in Managing Mathematics Class)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43-58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브루소가 소개한 교수학적 계약에 관해 논의하는 것이다. 브루소는 수학과 수업 자체를 게임으로 모델 화하고 있는 바, 그 게임에는 나름대로 교사와 학생들이 지켜야 하는 여러 가지 숨겨진 규칙으로서의 교수학적 계약이 존재한다. 브루소는 수학과 수업의 어떤 숨겨진 규칙을 표현하기 위해 그것을 도입하였다. 그 규칙들은 암묵적이고 호혜적인 것으로, 특히 학생들이 위반하기 전에는 드러나지 않는다. 브루소는 교수학적 계약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그것을 교사의 행동과 그것에 대응하는 학생의 행동으로 정의하였으나, 심리적 및 인식론적 차원에서 정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교사의 교수 행동은 자신의 신념 체계와 인식론의 영향을 받는 만큼, 그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또, 브루소는 교사가 교수학적 계약을 위반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충분히 논의하지 않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