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기주도학습의 명시적 수업과 암묵적 수업에 대한 과학영재중학생의 평가에서 관찰되는 자기주도학습 요소 비교

Comparison of Compon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Discribed in the Students' Evaluation of Explicit Instruction and Implicit Instruction Regarding Self-directed Learning

  • 투고 : 2013.11.30
  • 심사 : 2013.12.30
  • 발행 : 2013.12.31

초록

자기주도학습을 암묵적으로 다루는 과학내용수업과 명시적으로 다루는 자율학습자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는 과학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에게 매 수업마다 평가의 일부로 수업에서 만족스러운 점을 서술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에서 언급되는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들을 비교하였다. 첫째, 자기주도 학습 관련 하위요소의 대부분이 학생들의 평가에 언급되어 있었다. 수업 평가에서 만족스러운 이유를 조금이라도 구체적으로 서술한 경우, 거의 언제나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분류기준에 있는 대부분의 하위요소가 언급되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들을 인식했고, 그에 대해서 만족스러워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두 가지 수업에 대한 평가에서 자주 언급되는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와 빈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자율학습자수업에 대한 평가에서 더 많은 요소들이 더 높은 비율로 언급되었다. 예를 들어 탐구기반 차원의 하위요소인 조별활동은 두 수업에서 동일하게 수행되지만, 자율학습자수업에 대한 평가에서 더 자주 언급되었다. 자율학습자수업 평가에서 더 자주 언급된 하위요소들로 인지차원에서 조직화, 계획, 점검, 동기차원에서 자아효능감과 성취가치, 행동차원에서 행동 통제 등이 있다. 한편 일반인지 차원의 하위요소인 지식의 정교화는 주로 과학내용수업 평가에서 언급되었으며, 동기차원의 하위요소인 목적지향은 두 수업에서 모두 많은 학생들이 언급하였으나 과학내용수업 평가에서 더 많은 학생들이 언급하였다. 따라서 두 가지 수업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들에 차이가 있으며 두 수업이 서로 보완적이며 두 가지 수업이 모두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Science gifted students enrolled in a program, where classes had either explicit or implicit instruction about self-directed learning, were asked to write what was satisfying after each class. This process was part of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Students' descriptions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re compared in these two classes, one with explicit instruction and the other with implicit instruction. First, most of the components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which were reported in the previous research articles, were mentioned in students evaluation. If there was any specific description regarding what was satisfying, there were compon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Students descriptions were consistent with list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onents, which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that students recognized most of the reported self-directed learning components and satisfied with them.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two types of classes. The evaluation of class with explicit instruction contained more self-directed learning components more frequently. For example, students worked in small groups in both classes. However more students mentioned small groups in classes with explicit instruction. As a result the explicit instruction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for students to recognize the self-directed learning components. However some of the components mentioned in classes with implicit instruction were not mentioned in the classes with explicit instruction. Therefore classes with explicit and implicit instructions are complimentary with each other and both instructions are necessary.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 (2002).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운영에 관한 권장 기준.
  2. 김경대, 강순민, 임재항 (2006).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43-752.
  3. 김미숙 (2010). 한국의 영재교육: 영재교육 현황과 국가표준 정립 CRM 2010-109, 3-4. 한국교육개발원.
  4. 김혜영, 김금선 (2010). 초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능력 검사의 탐색 및 개발. 교육종합연구, 8(1), 21-42.
  5. 남경운, 이봉우, 이성묵 (2004). 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6. 박은이, 홍훈기 (2010).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명시적 과학의 본성 프로그램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49-260.
  7. 배영주 (2006).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교 학습의 가능성과 실현조건의 탐색. 교육과정 연구 24(2), 299-319.
  8. 배영주 (2008). 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한 실천적 모형 개발 연구. 교육과정연구, 26(3), 97-119.
  9. 소경희 (1998). 학교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의 의미. 교육과정연구, 16(2), 329-351.
  10. 신명렬, 이용섭 (2011). 과학영재 학생을 위한 RMS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천문학적 공간 개념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1(4), 993-1009.
  11. 안도희, 양명희, 김유리, 정윤선, 윤한솔, 장암미 (2013). 자기주도학습의 발달과 변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이용한 유형 탐색, 서교연 2013-10.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12.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3. 이봉우, 이성묵 (2004). 온라인 물리탐구토론에 나타난 학생들의 상호작용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38-645.
  14. 이진기 (2008). 글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5. 장명덕, 홍상욱, 정진우 (2002).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과학철학적 관점과 이에 대한 토론 및 읽기 활동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5), 397-405.
  16. 정미경 (2009). 자기조절학습과 창의적, 비판적 사고력간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6(1), 163-182.
  17. 정미경 (2009). 영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전망. 영재와 영재교육, 8(2), 5-29.
  18. 정지현 (2010). 구성주의에 근거한 자기주도학습 및 문제해결학습의 원리와 절차. 청소년 행동연구, 1(15), 173-200.
  19. 정현철, 조석희, 서혜애, 신명경, 허남영 (2004). 영재의 자율연구능력 기초탐색연구 CR2004-43, 한국교육개발원.
  20. 정현철, 윤초희, 허남영(2005). 과학영재의 자율연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전략 탐색 및 교수 ․ 학습모형 개발 연구. CR 2005-37. 한국교육개발원.
  21. 주호수 (2003). 자기주도적 학습의 개념화와 교육적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21(1), 203-221.
  22. 최승언, 김은숙, 전미란, 유희원 (2012). 자율학습자 모형에 기반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 연구. 영재교육연구, 22(3), 575-596.
  23. 최원, 정현호 (2010). 자기평가가 수학영재아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학영재교육, 2(1), 45-71.
  24. 한기순 (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25. 홍기철 (2004). 구성주의적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력 분석과 학습모형 개발. 교육심리연구, 18(1), 75-98.
  26. Betts, G. T., & Kercher, J. K. (1999). Autonomous Learner Model: Optimizing Ability. Greeley, Colo.: ALPS Pub.
  27. Cleary, T. J., & Zimmerman, B. J. (2004). Self regulation empowerment program: A school-based program to enhance self-regulated and self-motivated cycles of student learning. Psychology in the schools, 41(5), 537-550. https://doi.org/10.1002/pits.10177
  28. Ellinger, A. D. (2004). The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Its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6(2), 158-177. https://doi.org/10.1177/1523422304263327
  29.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30. Khishfe, R., & Abd-El-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551-578. https://doi.org/10.1002/tea.10036
  31. Liu. S., & Lerderman, N. G. (2002). Taiwanes Gifted Studen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2(3), 114-123.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2.tb17905.x
  32. Loyens, S. M., Magda, J., & Rikers, R. M. J. P. (2008). Self-directed learning in problem based learning and its relation aships with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9(4), 411-427.
  33. Zimmerman, B. J. (1986).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are the key subprocess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76, 307-313.
  34. Zimmerman, B. J. (1989).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 J. Zimmerman & D. H. Schunk (E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 1-25). New York: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