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e of scientist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7초

변형된 DAST와 인터뷰를 이용한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자가 하는 일에 관한 초.중등 학생의 인식 조사 (Investigating Student뷰s Private Perceptions of Scientists and their Work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 Modified DAST and Interview.)

  • 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1호
    • /
    • pp.1-10
    • /
    • 1998
  •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s have a stereotyped image of a scientist, and this image is often a rather negative. Earlier work on images of the scientist revealed to be consistent across the various social classes and across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 Korean students' stereotyped images of scientist, compare it with earlier work, and also find out whether students have other ideas about scientist, apart from the stereotyped image. To these purposes, modified DAST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217 students and 53 stud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Most of the students portrayed the scientist as a neat and young man with well-featured face, which was different from earlier studies. 2. Year 3 boys described the scientist as a mu, but year 3 girls as a woman. 3. Most of the students gave positive answers which were at variance with the streotyped image. 4. An interview asking only one question was a complement to DAST. It was concluded that students have private perceptions of scientists and their work, as well as a stereotyped image.

  • PDF

의미분석법에 의한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ool for Measuring on a Scientist Image by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 송영욱;최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8권1호
    • /
    • pp.63-73
    • /
    • 2024
  •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교과관련 직업에 대한 이미지를 아는 것은 교사의 교수·학습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 기존의 그리기 이미지 분석도구는 과학자의 외형적인 이미지 및 그림을 분석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의미분석법은 특정 대상의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의미분석법을 활용한 연구는 초창기 연구에서 사용한 형용사쌍을 연구 내용에 맞추어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시대 변화에 따른 용어나 요인들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의미분석법을 활용하여 중등학생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중학생에게 적용하여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 활용의 유용성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과 관련된 경험 및 배경 조사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towards Science)

  • 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59-6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towards science. Subjects are 120 ordinary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75 participators in invention club and science camp for talented students in a metropolitan city. A questionnaire for investigating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Images about scientist was developed. That contains the items for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experiences towards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think scientist is younger than the previous students thought. But as yet, the representative image of scientist is the neat man with glasses and gown. Also, a majority of elementary students like science, science subject and science classroom, especially experiment activity. They have various experiences related in science.

  • PDF

초등학생의 과학, 공학, 기술에 대한 인식 및 과학자, 공학자, 기술자에 대한 이미지 조사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and on the Images of Scientists, Engineers, and Technicians)

  • 정진규;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719-730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과학, 공학, 기술에 대한 인식과 과학자, 공학자, 기술자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도구로 Fralick et al. (2009)의 연구에서 사용된 DAST(Draw a scientist test)를 Draw a scientist at work와 Draw a engineer at work를 수정하고 변형하여 사용하였으며, 경남 G시의 S초등학교 6학년 2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자의 이미지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전형적인 과학자의 이미지와 비슷하였다. 공학자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짧은 머리에 안경을 쓰고 있지 않으며 평상복을 입고 일을 하고 있는 형태이다. 그리고 주로 선박, 로봇, 컴퓨터, 비행기를 설계하거나 만드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기술자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짧은 머리에 보호 장갑을 끼고 용접용 마스크를 착용하였다. 기술자는 자동차, 로봇 등을 고치거나 렌치, 드라이버,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일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학생들은 공학과 기술을 학문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공학, 기술의 연구 분야, 연구 방법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인식하지 못하였다.

과학자에 대한 청소년의 인상 (이미지)

  • 김학수;홍혜현;박성철
    • 기술혁신연구
    • /
    • 제11권2호
    • /
    • pp.41-69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youths' impressions of the scientist. The concept of impression is assumed to reflect our significant view of an object better than that of image. That is, the basic assumption is that we tend to behave toward an object, based on its impression which is conceived to be "significant". In late August and early September 2002, a national survey for 1,204 youth (406 for 5th grad; 381 for 8th grade; and 417 for 11th grade) was conducted to find the Korean youths' impressions of the scientist. Our major finding is that the Korean youths' most impressions of the scientist were re his or her activities such as inventing, experimenting, researching, etc. And the major sources of those impressions were found to be television, book, and class. Other findings were about youths' impressions of the science teacher and opinions of the scientist as a profession. Finally, some policy-related implications based on survey results were presented at the end.

  • PDF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 비교 (Comparison of Career Awareness, the Preference for Science and Stereotypic Image of the Scientist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안미정;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527-55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진로인식과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영재학생 52명, 일반학생 8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을 비교한 결과, 영재학생들의 진로인식이 더 높게 나왔으며,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일반학생에 비해서 영재학생의 진로인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재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과학 선호도는 영재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가 나왔다. 하위영역별로 자세히 보면 6개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도 영재학생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집단과 성별의 차이 간 상호작용 효과는 일반학생에 비하여 영재학생이 과학 학습의 흥미와 학습 지속 실행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형화된 과학자의 이미지 검사를 실시한 결과, 영재학생에 비해 일반학생이 느끼는 과학자의 이미지에서 더 많은 정형화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영재학생의 진로인식과 과학 선호도, 진로인식과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각의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진로인식이 과학 선호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자 이미지 및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mage of Scientists and Perception on the Science-Related Career)

  • 송영욱;최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53-763
    • /
    • 2018
  • 학습자들이 갖고 있는 과학자 이미지는 과학학습이나 과학 관련 직업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과학자의 이미지는 주로 그리기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기 분석법은 그리는 것에 제한이 있어 주로 과학자의 외형적인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과학교사들이 갖고 있는 과학자의 이미지 및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과학학습이나 과학 관련 직업 선택에 중요한 요인이다. 하지만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의미분석법을 통해서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측정 도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중등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자 이미지 및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사범대학교에서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2, 3학년 남학생 79명, 여학생 55명 총 134명이다. 연구결과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는 '능력', '평가', '활동', '정서'의 4개 요소,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중등 예비 과학 교사들에게 적용한 결과 과학자의 '평가', '능력', '활동' 요소에 대한 이미지는 높은 반면에 '정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해서는 '힘들다', '전문적이다', '똑똑해야한다', '복잡하다' 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학생들은 '힘들고 어렵다'라고 인식하는 반면 여학생들은 '도전적이고 복잡하다'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 활용의 유용성 및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자 이미지,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과학기술자와의 인터뷰가 과학 진로 지향 및 과학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view with Scientist and Engineer on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and Image of Scientists)

  • 전화영;이진명;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50-358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역 과학기술자와의 인터뷰 수행 평가가 과학 진로 지향도 및 과학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고등학교 2학년 이공계 학생들은 인터뷰를 실시하고 파워포인트 프리젠테이션을 만들어서 수업 시간에 발표를 했고, 프리젠테이션 후에는 교사가 그 내용에 관련된 코멘트를 하였다. 프리젠테이션 발표는 매 수업 시간마다 한 명씩 1년 동안 계속되었다. 이 수행 평가를 시작하기 전에 과학진로지향도 검사와 과학자 이미지 검사(DAST; Draw-A-Scientist-Test)를 실시하였고, 프리젠테이션이 끝난 후 같은 검사를 다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과학진로 지향도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세부 영역별로는 '과학 학습 선호'범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생의 진로 결정이 이미 상당히 견고하게 자리 잡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과학자 이미지 검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p< 0.01)가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정형화된 과학자의 이미지가 인터뷰 수행 평가를 통해 줄어들었다는 것으로 과학 관련 직업에 종사하는 과학자들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미지와 인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Images and Perceptions of Scientist, Technician and Engineer)

  • 김현영;박수경;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4-8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과학자, 기술자, 공학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미지와 인식 비교 79자에 대한 이미지 및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검사 도구는 Fralick 등(2009)이 개발한 'Draw a scientist at work and draw an engineer at work'와 그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일하는 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의 그림을 그리고 외형적인 특징과 일하는 장소, 일하는 행동, 다루는 대상 또는 사물에 대하여 서술하도록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인식하는 과학자가 취급하는 대상 또는 사물로는 플라스크, 비커, 시험관이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차이가 없었다. 학생들이 그린 과학자 이미지에서 복잡한 기계나 설계도를 묘사한 경우가 다수 나타나 학생들이 과학자와 공학자를 유사하게 인식하는 반면 공구, 다리, 건물에 대한 묘사는 없는 것으로 보아 과학자와 기술자는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기술자가 일하는 곳은 공장이나 카센터 등으로 인식하였고 스패너,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차량을 수리하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기술자의 외형적 특징으로 과학자에서는 매우 낮은 비율로 나타났던 작업복과 모자의 빈도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그림에서 나타난 기술자의 행동으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손으로 만들거나 고치는 공통적인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셋째, 공학자가 일하는 곳은 실내이며 기계를 다룬다는 공통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으며 남학생의 경우 공학자가 컴퓨터로 설계하거나 발명하는 모습을 주로 표현한 반면 여학생들은 차량을 고치거나 만드는 일을 한다고 인식하여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과학자와의 만남'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과학자에 대한 신체적 이미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ETING WITH SCIENTISTS' Program on the Fifth Graders' Physical Images of Scientists)

  • 김성관;장명덕;정진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90-498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과학자와의 만남'이라는 프로그램의 효과, 즉 과학자의 강연에 참가하기, 웹을 통해 일선 과학자 및 이들이 하는 일 조사하기 및 과학자들과 e-mail 주고받기 등이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정형화된 신체적 이미지의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자와의 만남 프로그램 투입 후 전체 평균값에서 사전 사후검사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많은 정형성의 항목에서 감소를 보였다. 특히 대머리 수염, 연구의 상징 및 과학자의 나이 항목에서는 사전 사후 검사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생들이 가지는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요인들로 사전 검사에서는 영상매체(TV 영화)>인쇄매체(과학잡지 신문 만화)>학교교육(선생님 교과서 등)>학교 밖 교육(견학 및 강연 인터넷 등) 등의 순서였으나 프로그램 투입 후 학교 밖 교육>영상매체>인쇄매체>학교교육 등의 순서를 보였다. 특히 '견학 강연'과 '인터넷' 항목은 서전 사후 검사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과학자들의 강연에 참가하기 및 인터넷을 이용한 과학자와 과학자의 하는 일 조사하기 등의 활동으로 이루어진 과학자와의 만남 프로그램은 과학자에 대한 정형화된 이미지의 변화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