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S1-ITS4

검색결과 25,864건 처리시간 0.056초

RAPD 및 ITS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곰취 속(Ligularia) 식물의 유연관계 분석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Ligularia Species Based on RAPD and ITS Sequences Analyses)

  • 안순영;조광수;유기억;서종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638-647
    • /
    • 2010
  • RAPD와 ITS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Ligularia$ 속 식물 5종류의 유연관계를 밝혔다. RAPD 분석에서는 총 196개의 random primer를 사용하여 밴드수가 많고 선명한 63개의 primer를 선발하였다. 다형성을 나타낸 밴드는 141개(31.8%)이었으며, 증폭된 크기는 0.2-1.6kb로 다양하였다. 유집 분석 결과, 유사도 값은 0.54-0.95의 범위로 나타났고, 0.77을 기준으로 크게 5그룹으로 나누었다.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ITS 1과 ITS 2 지역은 각각 248-256bp와, 220-222bp로 구성되어 있으며, 5.8S 부분은 164bp로 나타났다. ITS 1과 ITS 2 지역의 총 478개의 염기 중 49(10.2%)군데에서 변이가 있었으며, 구아닌(G)과 시토신(C)의 비율은 ITS 1 지역에서 49.4%, ITS 2에서는 53.5%로 나타났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5종류는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갯취는 군외군으로 부터 가장 먼저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한대리곰취와 어리곤달비는 79%의 지지율을 가지고 유집되었으며, 곰취와 곤달비도 함께 유집되었지만 지지도는 52%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두 데이터는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한 대리 곰취의 분류학적 위치는 RAPD와 ITS 분석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다.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의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보길도산 황칠나무의 분자 계통학적 연구 (Phylogenetic Analysis of Dendropanax morbifera Using Nuclear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Sequences)

  • 신용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341-1344
    • /
    • 2016
  • 보길도에서 자라고 있는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를 구입하여, 캘러스로 유도한 후, ribosomal DNA(nr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보길도의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의 ITS region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총 689염기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689염기 중에서 ITS1은 222 개염기, 5.8S rDNA는 160염기, ITS2는 233염기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GenBank의 BLAST 프로그램(http://www.ncbi.nlm.nih.BLAST)을 사용하여 GenBank/EMBL/DDBJ에 등록되어 있는 Dendropanax 속 33의 염기서열을 수집한 후 multiple alignment를 수행한 결과, 유사도는 99.7%(D. chevalieri)에서 92.6%(Dendropanax arboreus)로 나타났으며, 일본황칠나무(D. trifidus)와는 유사도가 99.4%로 판명되었다.

동충하초의 계통분류 및 시판동충하초의 분류학적 위치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Entomopathogenic Fungal Species and Taxonomical Positions of Their Commercial Products)

  • 김순한;이영자;김인복;김미경;한정아;홍무기;이순호;이재동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0-411
    • /
    • 2003
  • 5.8S rDNA를 포함한 ITS부위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결과, 종에 따라 다양한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어 분류에 이용될 수 있었으며, 특히 ITS2부위보다 ITS1부위에서 종에 대한 변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균종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사용된 모든 종들이 서로 계통분류학적 거리가 멀어서 종간의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났다. P. tenuipes, I. japonica, P. japonicus는 multiple alignment분석에서 매우 유사한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어, 이들 세종은 같은 종이지만 다른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러 Paecilomyces sp. KACC 40220과 KACC 40656도 동일한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어 p. tenuipes로 판단된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동충하초제품 35건과 중국산 1건에 대해 실험한 결과 23건은 P. tenuipes / japonica로, 11건은 C. militaris로, 1건은 B. bassiana로 분류되었으며, 중국산 제품 1건은 C. multiaxialis로 분류되었다.

인삼포장에서 뿌리섞음병원균의 진단을 위한 RT-PCR KIT의 개발 (Development of RT-PCR Kit for Diagnosis of Pathogenic Agent of Ginseng Root Rot in the Ginseng Field)

  • 도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0-48
    • /
    • 2003
  • C. destructans는 인삼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뿌리섞음병을 유발하는 매우 중요한 미생물이다. 현재까지 정상적인 인삼포장이나 폐포지에서도 이 병원균의 농도를 조사할 만한 방법이 없어 이를 쉽게 조사함으로서 인삼 예정지 관린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ested PCR이란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매우 낮은 농도의 C. destructans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2개의 universal ITS primers(ITS5F와 ITS4R)을 사 용 하 여 Cylindrocarpon spp.의 rDNA로부터 ITS영역을 증폭하였다. 이어 C. destructans의 specific primer(Nest 1 과 Nest 2)을 사용하여 최적의 PCR조건으로 재증폭시켜 밴드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런 2번의 과정을 4개의 primer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따른 PCR조건도 확립하였다. 따라서 본 방법에 의해서 인삼포장의 토양에서 채취된 매우 낮은 농도의 wild type C. destructans spore로부터 성공적으로 positive band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인삼포장의 선정 및 4년생에서 6년까지(홍삼포) 재배기간등의 예측에 활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

Phylogenetic Analysis of Phyllospadix iwatensis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Encoding 18S rRNA and ITS-1

  • Kim, Jong-Myoung;Choi, Chang-Ge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272-277
    • /
    • 2010
  • Seagrasses are marine angiosperms of ecological importance in providing shelter and food to aquatic species as well as maintaining the carbon cycle on earth. Phyllospadix iwatensis is a seagrass of the family Zosteraceae and is distributed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e nucleotide sequences of P. iwatensis nuclear genes encoding 18S ribosomal RNA (rRNA)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1 (ITS-1) were determined for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Genomic DNA was isolated from P. iwatensis and used for PCR amplification of 18S rRNA and ITS-1. Examination of the 18S rRNA sequence of P. iwatensis showed a close (99% similarity) relationship to Zostera noltii, another genus of Zosteraceae, but a distant (84% similarity) evolutionary relationship to other macroalgal Laminariales species. Further discrepancies found in ITS-1 nucleotide sequences between closely related species indicate that the sequence information could be used for species identification.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wo Strains of Phellinus sp. by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Analysis

  • Shin, Kwang-Soo
    • Mycobiology
    • /
    • 제39권4호
    • /
    • pp.299-300
    • /
    • 2011
  • Two species of cultivated Phellinus sp. were identified as P. baumii by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 analysis. The fruit bodies of the examined strains were similar to those of naturally occurring strains, having a bracket-like form, yellow-to-orange color, and poroid hymenial surfaces. The DNA sequences of ITS region of both strains showed a homology of 99% with ITS1 to ITS2 sequences of P. (Inonotus) baumii strain PB0806.

ITS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쑥속(Artemisia L.)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phylogenetic analysis of Korean Artemisia L. based on ITS sequences)

  • 이정훈;박충범;박춘근;문성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3-302
    • /
    • 2010
  • 한국산 쑥속 분류군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위해 Nuclear ribosome DNA의 ITS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렬된 염기의 총 길이는 635~643 bp이며, ITS1과 ITS2 부위의 길이는 각각 251~255 bp와 217~222 bp로 나타났다. 염기서열 변이를 보이는 site는 95개로 확인되었다. 그 중 ITS1이 35개, ITS2가 26개로 총 72개의 site가 계통학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ITS1이 ITS2보다 종 분화의 변이가 다양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TS 염기서열을 기초한 계통학적 분석은 쑥속 내에 5개의 Clade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자방이 퇴화된 분류군들(사철쑥, 제비쑥, 섬쑥, 갯제비쑥)이 하나의 분계조(Clade 1)를 형성함으로써 아속 수준(Subgen. Dracunculus)으로 취급되는 결과를 뒷받침 하였다. 애기비쑥과 큰비쑥은 거의 동일한 유전적 정보를 보였으며(Boostrap 99%), 한국산 참쑥의 학명은 재고 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강화약쑥(A. sp.)은 황해쑥과 매우 가까운 상동성을 보였다(Boostrap 89%). 따라서, 형태적 형질의 변이가 다소 연속적인 쑥속은 D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학적 연구가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되며, 본 ITS 연구결과는 한국산 쑥속의 계통분류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형질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Genetic Relationships of Four Korean Oysters Based on RAPD and Nuclear rDNA ITS Sequence Analyses

  • 김우진;이정호;김경길;김영옥;남보희;공희정;정현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1-49
    • /
    • 2009
  •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 and sequence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ribosomal DNA were used to assess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four Korean oyster species.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specific markers identified from five universal rice primers (URPs) by RAPD-PCR was 1.8 for Crassostrea gigas, 3.2 for C. nippona, 3.6 for C. ariakensis, and 4.6 for Ostrea denselamellosa. The length of the ITS (ITS1-5.8S-ITS2) region ranged from 1,001 to 1,206 bp (ITS1, 426-518 bp; 5.8S, 157 bp; and ITS2, 418-536 bp), while the GC content ranged from 55.5-61.1% (ITS1, 56.8-61.8%; 5.8S, 56-57.3%; and ITS2, 54.1-62.2%).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oysters based on our RAPD, ITS1, and ITS2 sequence data reveal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 gigas and C. nippona and a distant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 Crassostrea and Ostrea. Our results indicated that RAPD and ITS sequence analysis was a useful tool for the elucidation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for the selection of species-specific markers in Korean oysters.

  • PDF

광릉요강꽃과 복주머니란의 뿌리에 감염된 난균근균의 특성 (Characteristic of Orchid Mycorrhizal Fungi from Roots of Cypripedium japonicum and C. macranthum)

  • 심미영;염재영;정재민;이병천;구창덕;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
    • /
    • 2010
  • 광릉요강꽃(Cypripedium japonicum)과 복주머니란(C. macranthum)의 뿌리에서 난 균근균이 확인되었다. 두 종의 난 뿌리에서 균근의 형태적인 특성을 관찰하였다. 분자적인 분석을 통하여 두 종의 뿌리로부터 난균근균을 확인하였다. 뿌리에서 DNA를 추출하여, 담자균류 ITS 지역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인 ITS1-OF와 ITS4-OF를 사용하여 ITS 지역을 증폭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두 식물의 뿌리에 공생하는 난균근균을 동정하였다. 광릉요강꽃의 뿌리에는 3종류의 Tulasnellaceae와 1종의 담자균류가 발견되었고, 복주머니란의 뿌리에서는 2종류의 Tulasnellaceae에 속하는 균이발견되었다.

울릉도의 자생란과 공생하는 난균근균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Orchid Mycorrhizal Fungi of Native Orchids in Ulleung Island)

  • 염재영;정재민;이병천;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10
    • /
    • 2011
  • 울릉도에서 채집된 6종의 지생란의 뿌리에서 난균근균을 확인하였다. 난균근균의 감염이 확인되었다. 각 종의 뿌리로 부터 분리된 난균근균이 분자적인 분석을 통하여 확인되였다. 뿌리로부터 분리된 균에서 DNA를 추출하여, 담자균류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인 ITS1-OF와 ITS4-OF를 사용하여 ITS 지역을 증폭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두 식물의 뿌리에 공생하는 난균근균을 동정하였다. 분자적인 분석을 통해 Tulasnellaceae 와 Ceratobasidaceae에 속하는 난균근균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