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Talented Pers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1초

중국 신 농촌 건설에 있어서 농촌 잉여 노동력에 대한 해결방안 연구 (Study on the Solution to the Excessively Transferring Labor Forces in China's New Rural Building)

  • 왕영락;범평;심문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22-234
    • /
    • 2009
  • 중국에서 농촌 잉여 노동력을 어떻게 합리적인 배분할 것인가는 신 농촌 건설의 성공요인중의 하나이다. 농촌의 잉여 노동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도적인 방안이 마련 되어할 것이다. 첫째, 도농 경제사회의 발전기획을 종합적으로 계획하고, 둘째, 도농 시장, 특히 노동력 등 요소시장에서 공평 정대한 취업제도를 마련해야한다. 셋째, 도농 기초시설을 건설하고, 넷째, 도농 교육, 위생 등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다섯째, 도농 사회보장체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농촌에 우수한 인재와 중앙정부의 재정지원 및 관리기능을 확대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현재 중국 농촌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중국(中國) 관광농업(觀光農業)의 현황(現況) 및 발전(發展) 방향(方向) - 내몽고(內蒙古) 자치구(自治區) 탁극탁현(托克托縣)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China's Agricultural Tourism - Centered on Takgeuktak County of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in Particular -)

  • 박재철;허영미;정경숙
    • 농촌계획
    • /
    • 제19권4호
    • /
    • pp.213-226
    • /
    • 2013
  • Agricultural tourism is a new kind of industry, which combined agriculture with tourism. It not only has the productive function, but also has the func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supplying people with sightseeing, leisure, vacation. Agricultural tourism is a new kind of industry from the amalgamation of agriculture and tourism: it is based on farm work, characterized by agricultural management, combines agriculture and tourism, and includes the city as a market-place. It satisfies tourist demand with food, lodging, excursions, shopping and entertainment provided by agricultural places and agricultural products. After combining the substance of this study with the primary sourc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ourism, I suggest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agricultural tourism on the basis of sustainable tourism theory in case of the Inner Mongolia region. To conduct research, various data such as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s a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ner Mongolia region has great-wealthy resources for agricultural tourism. However, they have problems as well such as lack of funds, low infrastructure, low business-mind level, low management-mind, the scarcity of mid-supporting organizations for research and education, low awareness, and low service level of the agricultural touris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have to strengthen publicity, strengthen the county and city communication, educates continuously profession talented person, establish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crease the integrity of infrastructure. As a developing industry, agricultural tourism is a new field of study which needs more encouraging research. The agricultural tourism of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has only just started development resulting in a limited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for this study. Future planned work entails a continuous in-depth study of Chinese agricultural tourism, considering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in particular.

퇴계 이황의 도덕교육론 - 『성학십도』 체계와 내용을 중심으로 - (Toegye(退溪) Yi Hwang(李滉)'s Moral Education Theory - Focused on the system and contents of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 지준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287-312
    • /
    • 2018
  • 사람과 사람 사이의 올바른 관계를 추구하는 유학은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이라는 논리구조를 통하여 도덕적 개인이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이상향을 그린다. 16세기 한국 성리학의 태두인 퇴계 이황은 자신의 교육적 의도와 관심을 반영하고 성리학의 본체와 공부의 전 과정을 그림 열 폭에 정리하여 "성학십도"를 만들었다. "성학십도"에서 표방하는 교육의 목적은 성인(聖人)이 되는데 있으며, 이는 성찰적이며 실천적인 도덕인이 되고자 하는 도덕교육의 목적과도 궁극적으로 그 궤를 같이 한다. "성학십도"의 전체 주제는 경(敬)을 기초로 인륜과 도덕의 원리를 밝혀 인간의 본성을 회복하기 위한 것과 연관된다. 경(敬)은 또한 수양의 목적이자 방법이며, 주요 내용이다. 전통 유학의 교육 방식은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간의 유기적 통합성을 지향하고 있으며,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지(知)와 행(行)의 병진이라는 일관성을 드러내고 있다. 전통문화가 가지고 있는 보편적 가치를 탐구하고, 전통교육의 측면에서 도덕문화를 다시 일으키는 것은 현재와 미래에 유효한 것들이 과거의 전통으로부터 연원한다는 점을 논의하는 것으로서 오늘의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유용할 수 있다. 특히, 전통교육이 추구했던 도덕교육의 본질을 분석하여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자신을 실현하고' '공동체를 배려'할 수 있는 인재를 배양하기 위한 반성적 접근은 매우 의미가 있다.

제천시 용두산권역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따른 개발수요 및 의식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Demand and Consciousness Investigation to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of YongDuSan Area in Jecheon City)

  • 김승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9-16
    • /
    • 2006
  • This study is the YongDuSan area which finished a basic plan of a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in 2006 February.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of YongDuSan area in Jecheon city progressed as follows. It is played by consciousness investigation to the objects with 143 adult man and woman in a region until November 4th from October 28th(for eight days) in 2005. The results of study as follows; First, YongDuSan area and income were mostly contenting themselves in life. This is as there is income through HwangGi, and be as there is a little inconvenience of a life as is located in the city neighboring. Also, prepare the infrastructure which can process a twice and three times through HwangGi businesses, were as an income business they are continuous, and to be stable was possible, and were investigated if done so. The second, local residents were recognizing so that a rural related projects enforcing in the most governments can't affect greatly a life improvement and activation. Therefore, let you understand residents so that these projects are performed by residents, and an educational program and aggressive public information to be able to feel participation consciousness are necessary. The third, Must review a plan to strengthen bisexual a talented person leadership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a local ability. And Construction of a system to be able to increase efficiency operating a village and The system that can manage systematically that kind of system is necessary.

  • PDF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An Analytical Study on Studies of Creativity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Categories and Levels of Creativity)

  • 조연순;정지은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33-352
    • /
    • 2012
  •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해 어떻게 개념화하고 접근하는가는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국내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창의성이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를 범주와 수준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창의성을 정의하고 있는 연구들은 비교적 많았지만 점점 줄어들고 있었고, 일반적으로 독창성과 유용성과 관련된 인지적 특성으로 정의한 것이 많았다. 창의성의 범주로는 개인, 과정, 산출물, 환경 중에서 개인적 측면에 관련한 연구들이 가장 많았으며, 이 중 대부분 연구들이 TTCT와 같은 심리측정적 검사를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창의성 범주가 이론적 배경에서와 평가에서 서로 다른 경우가 있었다. 창의성 수준으로 구분해 볼 때는 대부분 '작은 창의성' 수준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독창성'과 '유용성'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인 정의나 설명을 하는 연구는 적었다.

과학영재교육경험이 개인의 성취정도와 진로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Effects on Achievements and Careers of Secondary Science Gifts Education Experience)

  • 김연희;조갑룡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763-78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소속의 영재교육원을 수료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영재교육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여 그 효과성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과학영역 영재교육원에 입학한 중등영재 7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경험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고 Giorgi 분석방법으로 현상학적으로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영재교육경험이 성취면에서 7개 중심의미와 21개의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진로면에서는 5개 중심의미와 11개의 주제를 규명하였다. 영재학생들의 영재교육경험이 성취면과 진로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학생들의 영재교육 경험의 의미를 토대로 앞으로의 영재교육 방향을 설정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개념도를 통해서 본 고등학교 영재학생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인식 (High School Gifted Students' Perception on Cheating in School)

  • 김상우;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67-8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영재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인식의 개념도를 작성하여 영재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개념구조를 제시하고,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인식차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영재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여태까지 강조되어 왔던 지식 영역뿐만 아니라 도덕성, 인성 등과 같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올바른 접근 및 지도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영재학생 초점집단 63명의 브레인스토밍으로 얻어진 진술문들을 종합하여 64개의 최종 진술문을 확정하였고, 이들 진술문은 초점집단 63명 중 다시 선발된 13명의 연구 참여자에 의해 분류, 평정되었다. 그 후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개념도를 작성한 결과 고등학교 영재학생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인식은 총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군집명은 '용납할 수 없는 친구의 부정행위', '사회적 구조, 영재성, 그리고 부정행위 간의 불가분의 관계', '부정행위 요구로 인한 심적 갈등, 대처 및 용인 수준', '개인 내면의 비도덕성(도덕불감증)', '도덕성과 사회정의에 근거한 판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학생 150명과 일반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각 진술문에 대한 동의 정도를 likert 6점 척도로 표시하게 한 후 두 집단 사이의 인식 차를 살펴본 결과 '용납할 수 없는 친구의 부정행위', '도덕성과 사회정의에 근거한 판단' 군집은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전무하거나 매우 미미한 반면, '사회적 구조, 영재성, 그리고 부정행위간의 불가분의 관계', '부정행위 요구로 인한 심적 갈등, 대처 및 용인 수준', '개인 내면의 비도덕성(도덕불감증)' 군집은 두 집단 간의 인식 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학업부정행위에 관해 더 도덕적인 입장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들의 도덕성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초ㆍ중등 영재학생의 연구윤리 의식 조사 (Surve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n Research Ethics)

  • 이진아;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593-61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 중등 영재학생들의 연구윤리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윤리교육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 중등 영재학생 180명과 초 중등 일반학생 180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에 자부심과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와 같은 항목에서는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집단으로 하는 탐구활동에서 탐구에 참여를 하지 않은 사람은 연구자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항목의 경우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에서 가장 낮은 의식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영재학생은 일반 학생보다 연구윤리 의식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영재학생의 교육 분야별 윤리의식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 수학영재, 정보영재에 따라 '연구자의 기본자세'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초등 영재학생과 중등 영재학생 간에는 '생각과 표현의 윤리'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연구윤리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와 연구 경험 횟수가 많은 경우 연구윤리 의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기술, 생명 연구 윤리' 항목의 경우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연구경험 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요나스 오델(Jonas Odell)의 작품 세계에 나타난 디지털 로토스코핑 이미지의 특성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Rotoscoping Images in Jonas Odell's Animations)

  • 김영옥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9호
    • /
    • pp.111-132
    • /
    • 2015
  • 로토스코핑 기법은 20세기 초부터 실제 인물의 움직임과 같은 자연스럽고 매끈한 움직임 구사를 위해 오랫동안 활용되어 왔음에도, 이미 촬영된 이미지를 단순히 모방한다는 이유로 예술적 가치가 평가절하 되며 일종의 편법이나 속임수 등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무한 융합이 가능해진 디지털 시대 속에서 실사와 애니메이션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로토스코핑 기법의 활용은 오히려 리얼리티의 확장적 재현이라는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제시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애니메이션적 체험의 층위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로토스코핑의 다양한 융합적 특성들을 적극 활용하고 실험하고 있는 요나스 오델의 작품들은 로토스코핑 이미지가 스타일적인 측면 외에도, 내러티브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역할 할 수 있음을 증명할 수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본 연구는 요나스 오델 감독의 독특한 철학적, 미학적 스타일을 완성시킨 다큐멘터리 형식의 3가지 옴니버스 단편들 -<투실라고 Tussilago>(2010), <거짓말 Lies>(2008), <첫경험 Never like the first time!>(2006) -을 분석하고, 실존 인물의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되는 내러티브와 실사 이미지와의 구조와 관계 속에서 로토스코핑 이미지들이 어떠한 독특한 역할로 의미 작용을 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는 세 가지 특성- 청각적 감성을 매개하는 내적 리얼리티의 형이상학적 기록으로서의 이미지, 특정 인물에 대한 존재적 표상으로서 익명화된 이미지, 물리적 시공간을 담아내는 기억의 표상으로서 신체 이미지-을 기준으로 분류되고 분석된다. 이를 통해 21세기 디지털 시대에 로토스코핑 이미지는 비단 자연스러운 움직임의 재현과 독특한 스타일을 위한 것을 넘어, 어떠한 새로운 가치들을 획득하게 되는지를 밝힐 것이다. 본 연구가 예술적인 면에서 평가절하 되어왔던 로토스코핑 이미지의 가치를 재발견, 재위치 시킬 수 있는 밑거름으로서 역할하고, 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혹은 특정 유럽국에 치우친 애니메이션 작가와 스타일 연구의 환경 속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웨덴 작가와 그의 독특한 스타일을 새롭게 소개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에 관한 분석과 탐구 (Investigation of Domain-specificity and Domain-general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 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47-69
    • /
    • 2000
  • 개인의 창의력이 특정 영역에만 한정되는가 아니면 여러 영역에 걸쳐 두루 나타나는가 하는 문제는 최근 창의력 연구에 있어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가 109명의 초등학교 2학년 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는 창의적 아동의 올바른 판별 및 교육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이 문제의 연구가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목적은 첫째, 세 가지 다른 영역간의 아동들의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둘째,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과 세 영역에서의 창의성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 가지 영역(언어, 미술, 산수)에서의 아동의 창의성은 이야기 만들기, 콜라주 만들기, 창의적 산수 문제 만들기 등으로 측정되었고, 9명의 각 영역 전문가들에 의해 평가되었다.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은 Wallach-Kogan Creativity Test와 Real-World Divergent Thinking Test 등 두 가지 창의성 검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들의 창의력이 영역 보편적이기보다는 다소 영역 한정적이라는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아동들은 세 가지 다른 영역에서 일관성 있는 창의적 능력을 보이기보다는 각 영역 간 폭 넓은 창의력의 차이를 보이므로 창의력이 상당히 영역 한정적임을 제시했다. 또한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창의성 검사들은 세가지 영역에서 드러난 아동들의 창의성과 매우 낮거나 무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아동의 한 영역에서의 창의성은 그 아동의 다른 영역에서의 창의성이나 일반적으로 유용 되고 있는 창의성 검사 등을 통해서 신뢰성 있게 예측되거나 판별되기가 어려움을 지적하고 있다. 창의적인 아동을 판별하기 위해 창의성 검사들이 무분별하게 사용되어 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그 의미가 상당히 크다 할 수 있다. 끝으로 필자는 창의성을 영역 한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아동의 창의적 특성에 관한 보다 유용하고 건설적인 정보를 제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창의성 검사에 의존하는 영역 보편적 견해보다 더욱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재 판별과 영재 교육과정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