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gh School Gifted Students' Perception on Cheating in School

개념도를 통해서 본 고등학교 영재학생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인식

  • Received : 2013.02.04
  • Accepted : 2013.02.26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high school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cheating in school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e map shows the gifted students' concept structure and the different perception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on cheating. For the purpose, 63 high school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at the brainstorming stage to gather the possible related statements. Finally, 64 statements were confirmed and these were divided and evaluated by 13 focus group students. Then, they were analyzed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processed by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compiled from this procedure show that high school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cheating is classified into five clusters: "unacceptable cheating behaviors of friends", "an inseparable relation among social structure, giftedness and cheating", "conflict, coping skills, and tolerance related to the cheating", "immorality in one's inner person" and "the judgement based on morality and social justice". In addition, 150 gifted students and 160 non-gifted students checked the degree of agreement to each statement with the likert 6 points scale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clusters, "unacceptable cheating behaviors of friends" and "the judgement based on morality and justice", while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erception gaps in three clusters, "inseparable relation among social structure, giftedness and cheating", "conflict, coping skills, and tolerance related to the cheating" and "immorality in one's inner person".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gifted students' moral behaviors were discussed in depth.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영재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인식의 개념도를 작성하여 영재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개념구조를 제시하고,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인식차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영재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여태까지 강조되어 왔던 지식 영역뿐만 아니라 도덕성, 인성 등과 같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올바른 접근 및 지도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영재학생 초점집단 63명의 브레인스토밍으로 얻어진 진술문들을 종합하여 64개의 최종 진술문을 확정하였고, 이들 진술문은 초점집단 63명 중 다시 선발된 13명의 연구 참여자에 의해 분류, 평정되었다. 그 후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개념도를 작성한 결과 고등학교 영재학생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인식은 총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군집명은 '용납할 수 없는 친구의 부정행위', '사회적 구조, 영재성, 그리고 부정행위 간의 불가분의 관계', '부정행위 요구로 인한 심적 갈등, 대처 및 용인 수준', '개인 내면의 비도덕성(도덕불감증)', '도덕성과 사회정의에 근거한 판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학생 150명과 일반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각 진술문에 대한 동의 정도를 likert 6점 척도로 표시하게 한 후 두 집단 사이의 인식 차를 살펴본 결과 '용납할 수 없는 친구의 부정행위', '도덕성과 사회정의에 근거한 판단' 군집은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전무하거나 매우 미미한 반면, '사회적 구조, 영재성, 그리고 부정행위간의 불가분의 관계', '부정행위 요구로 인한 심적 갈등, 대처 및 용인 수준', '개인 내면의 비도덕성(도덕불감증)' 군집은 두 집단 간의 인식 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학업부정행위에 관해 더 도덕적인 입장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들의 도덕성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균 (2001). 여고생의 학업부정행위 경향성에 대한 원인 및 시험 불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 김승희 (2011). 초등 영재아와 일반아의 가능한 자기 비교 연구: 기대하는 자기와 두려운 자기.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3. 김언주, 이군현, 이기문, 하종덕 (1998). 과학영재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4. 김호진 (2008).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우울 증상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5. 민경화, 최윤정 (2007). 상담학 연구에서 개념도 방법의 적용. 상담학연구, 8(4), 1291-1307.
  6. 배영민 (2011).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바라보는 영재의 특성 인식과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주는 시사점.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7. 연합뉴스 (1992.01.21.). 부천 서울신학대서 후기대 입시문제지 도난.
  8. 연합뉴스 (2004.11.21.). 수능 휴대폰 커닝, 예고된 범행 가능성.
  9. 연합뉴스 (2011.11.11.). 수능 부정행위 160명 적발 무효처리 방침.
  10. 오영희 (1983). 도덕적 판단 수준과 시험부정행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1. 오영희 (1999). 성별 학년 학교에 따른 대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 차이 비교. 교육학연구, 37(1), 105-125.
  12. 오영희 (2004). 한국 고등학생용 학업부정행위 척도 개발 연구. 덕성여대논문집, 33, 161-181.
  13. 오영희 (2008).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청소년연구, 19(1), 215-242.
  14. 유미현, 박은이, 홍훈기 (2008).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도덕판단력 비교 및 중.고등학교 과학영재의 도덕판단력 발달 경향. 국제과학영재학회지, 2(1), 1-11.
  15. 이규태 (1991). 돈의 한국학. 서울: 기린원.
  16.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9). 최신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17. 이정규 (2003). 한국사회의 학력.학벌주의. 서울: 집문당.
  18. 이학식, 임지훈 (2011). SPSS 18.0 매뉴얼. 서울: 집현재.
  19. 이현정 (2010).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도덕판단력 발달 비교.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20. 이현주, 신종호 (2009). 영재아동 바로 알기. 서울: 학지사.
  21. 최윤정, 김계현 (2007).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8(3), 1031-1045.
  22. 한국선, 우남희 (2005). 한국아동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 10, 174-186.
  2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4. 허정경 (2010). 청소년의 학업부정행위와 관련 변인 연구. 한국교육, 37(3), 29-53.
  25. 홍덕표, 김종수, 문홍태, 김재우, 김덕순, 임은정, 양맹모, 이진우 (2011). 영재교육실무편람. 서울특별시교육청.
  26. Clark, B. (2010). 영재교육과 지능계발(김명숙, 서혜애, 이미순, 전미란, 진석언, 한기순 공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7. Damon, W. (2008). The path to purpose: How young people find their calling in life. New York: Free Press.
  28. Gardner, H., Csikszentmihalyi, M., & Damon, W. (2001). Good work: When excellence and ethics meet. New York: Basic Books.
  29. Goodyear, R. K., Tracey, T. J. G., Claiborn, C. D., Lichtenberg, J. W., & Wampold, B. E. (2005). Ideographic concept mapp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236-242. https://doi.org/10.1037/0022-0167.52.2.236
  30. Gross, M. (1993). Exceptionally Gifted Children. New York: Routledge.
  31. Johnsen, J. A., Biegel, D. E., & Shafran, R. (2000). Concept Mapping in Mental Health : Uses and Adaptation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3, 67-75. https://doi.org/10.1016/S0149-7189(99)00038-5
  32.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3. Paulson, B. L., & Worth, M. (2002). Counseling for suicide: Client Percep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0, 86-93. https://doi.org/10.1002/j.1556-6678.2002.tb00170.x
  34. Trochim, W. M. K.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 1-16. https://doi.org/10.1016/0149-7189(89)900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