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와 조직의 성과관리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32초

공공부문에서의 BSC 도입에 따른 인사관리의 변화 (A study on changes in HRM by introduction Balanced Scorecard(BSC) in the public sector)

  • 임효창
    • 산학경영연구
    • /
    • 제18권2호
    • /
    • pp.83-110
    • /
    • 2005
  • 최근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 방법론 중 하나로 제안되고 있는 것이 균형성과표(BSC)에 의한 성과관리이다. BSC는 재무적 측면 뿐만 아니라 조직의 내부 프로세스와 구성원 역량, 그리고 고객의 관점 등에서 성과관리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동안 공공부문은 민간부문과 비교하여 성과측정 및 관리를 소홀히 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 이유는 민간부문처럼 경쟁의 심화 및 지속적인 수익창출을 위한 성과주의 조직관리의 필요성이 공공부문에서는 제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공성 뿐만 아니라 효율성과 지속적인 혁신이 중요한 가치가 됨에 따라 성과지표의 선정 및 관리에 따른 성과향상이 중요해지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일환으로 제기되고 있는 BSC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BSC의 도입이 공공부문의 인사관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공공부문의 바람직한 인사관리 방향성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판매성과가 높은 조직과 낮은 조직의 차이에 대한 사례연구 (K사 판매관리자의 코칭행동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Sales Organizations (With a focus on the Coaching behavioral of sales managers at K))

  • 김상범
    • CRM연구
    • /
    • 제3권1호
    • /
    • pp.49-71
    • /
    • 2010
  • 지금까지 판매원 성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최근 현장에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코칭과 관련해서, 판매원 성과영향요인으로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판매조직 내에서 관리자의 코칭이 판매원들의 긍정적 태도형성 및 판매원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성과 조직 5개와 저성과 조직 5개의 판매관리자들의 판매관리 활동 전반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조사한 후 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조직의 관리자들의 코칭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판매원성과의 중요한 변수로 밝혀진 바 있는 판매원의 조직몰입, 역할지각의 개념을 보다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10명의 판매관리자들의 인터뷰 기록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고성과 조직의 판매관리자들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었다. 첫째, 고성과 조직의 판매관리자들은 판매원들에게 긍정적인 피드백, 역할모델의 제공, 신뢰관계의 유지와 같은 코칭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고성과 조직의 판매관리자와 판매원들은 자신이 속한 조직에 몰입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성과 조직의 판매원들은 자신의 역할에 대한 지각이 명료하며 역할갈등이 저성과 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판매관리자의 코칭은 판매원들의 조직몰입, 역할지각 그리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서 구분되어 연구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정보보호 성숙도와 조직성과 간의 정보보호 정책의 효과분석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between Information Security Mat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박정국;김인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9호
    • /
    • pp.301-310
    • /
    • 2014
  • 정보의 가용성, 접근성,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선제적인 정보보호 관리의 부재는 서비스 연속성을 훼손하여 고객에게 뿐만 아니라 조직의 성과와 경쟁력에 심각한 리스크를 가져다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보보호 성숙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조직성과, 위험 관리 프로세스 성숙도, 위험 평가 프로세스 성숙도, 정보보호 정책지표를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만들고 설문을 통한 실증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위험 관리 및 위험 평가의 프로세스 성숙도와 조직성과 간에는 높은 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보보호 인력비율, 정보보호 예산비율에 따라 정보보호 성숙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보호 성숙도 수준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나, 실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정보보호 정책 및 규제는 정보보호 성숙도가 조직의 성과 향상의 촉매제로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IT 거버넌스 활동과 정보시스템 성과 및 조직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Governance and IS Performance, Corporate Performance)

  • 이재범;김승윤;장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235-251
    • /
    • 2011
  • 21세기 기업경영에서 기업 내 IT(Information Technology: 정보기술)의 중요성과 복잡성이 급속히 증가되었고,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IT의 역할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IT 거버넌스와 효과적인 관리가 선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IT 거버넌스의 확립 정도는 기업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또한 IT 거버넌스 활동과 관리에 대한 실증적 연구 역시 충분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거버넌스 이론을 근거로 하여 IT 거버넌스 활동과 성과, 그리고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 전략과 IT 전략간의 연계성, IT 계획, 전사적 아키텍쳐, 프로젝트 관리 조직, 서비스 수준 관리, IT 컴플라이언스, 장애관리, 정보시스템 효과성, 가시성, 기업성과 등, 구성개념 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LISREL을 활용한 구조 방정식 모형을 개발하였고, 108개의 기업과 기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비즈니스 전략과 IT 전략간의 연계성은 IT 거버넌스 활동 중, IT 위원회와 IT 계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거버넌스 활동 중, IT 거버넌스 위원회, IT 계획, 서비스 수준 관리, 장애 관리는 IT 거버넌스 성과로서의 정보시스템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데 반하여, IT 컴플라이언스는 정보시스템 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T 계획, 전사적 아키텍쳐, 서비스 수준관리, IT 컴플라이언스는 IT 거버넌스 성과인 정보시스템 가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마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시스템 효과성과 가시성은 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IT 거버넌스에 대한 근거 이론들을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IT 거버넌스의 이론적 배경을 체계적으로 확립하고 IT 거버넌스 활동 및 IT 거버넌스 성과, 비즈니스 성과를 포함하는 이차원적 성과를 제시함으로써 학계와 실무 측면에 공헌하고자 하였다.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혁신행동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Innovation Behavi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김문준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21-33
    • /
    • 2020
  •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서 조직구성원들이 지각하고 있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성과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1.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첫째, 가설1인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채용과 보상, 직무설계, 교육훈련과 경력관리, 의사결정 참여)는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관계에 대한 검증결과 긍정적 영향관계를 나타내어 가설 1은 채택이 되었다. 둘째,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채용과 보상, 직무설계, 교육훈련과 경력관리, 의사결정 참여)는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 2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내어 가설 2는 채택이 되었다. 셋째, 가설 3인 조직구성원들이 지각하고 있는 혁신행동은 조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가설 3은 채택이 되었다. 넷째, 가설 4인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에서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혁신행동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조직구성원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자신의 직무수행에 있어 혁신행동을 거치면서 조직성과에 더욱 더 높은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는 의미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사업 성과평가 모형개발 및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Informatization Projects for National Library of Korea)

  • 곽승진;김정택;박용재;박옥남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9-141
    • /
    • 2014
  • 기업과 같은 영리조직뿐만 아니라 비영리조직인 국가기관들도 조직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의 일환으로 성과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도출된 성과평가 결과를 조직의 예산과 인사에 반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사업의 효율적 수행과 성과 제고를 위하여 성과지표 모형을 도출하고 도출된 성과지표를 기반으로 정보화사업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 정보시스템 운영, 디지털 정보자원 확충, 장애인 대체자료 공동활용 체계구축 사업별 2개의 관점에 따라 총 12개의 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성과평가 및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결과를 기초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IT 기업의 전략적 지식관리를 위한 SD모델 구축 사례

  • 박상현;연승준;김동호;김상욱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 /
    • pp.43-63
    • /
    • 2002
  • IT 기업과 같이 그들이 보유한 지식이 수익 창출의 근원이 되는 기업들은 개인의 경험들을 조직의 지식으로 변환하고, 보존하여 그들의 구성원들이 이러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식 경영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많은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활동이 조직 학습을 가속화시키며, 경쟁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구성원들의 가용 시간이 곧 생산을 위한 투입 요소가 되는 IT기업에 있어서 지식관리활동은 조직 구성원들이 수익 창출을 위한 업무수행 시간을 할애해야 하고 동시에 비용을 발생시키는 딜레마를 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IT기업의 경우 시간과 재원의 배분은 전사 적 전략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정책 결정이 됨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이를 종합적인 시각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 본 논문은 한 IT기업의 사례를 통해 비재무적 자산인 지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통하여 재무적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의 전략적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경영자를 비롯한 의사결정 자들이 지식의 동태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영향요인들에 대한 단선적인 이해를 벗어나 종합적인 견지에서 기업이 보유한 지식의 구조와 행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기업의 지식관리 전략 수립의 기초를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건축프로젝트 현장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ite Organization's Communication on Performance of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 안성훈;이웅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1-367
    • /
    • 2017
  • 건축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현장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수준을 높여서 조직 구성원의 협업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프로젝트 현장 조직을 대상으로 현장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프로젝트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커뮤니케이션 품질은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보공유는 프로젝트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축프로젝트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현장 조직에서 정보공유를 일정수준 이상 달성해야 하고, 커뮤니케이션 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건축프로젝트 현장 조직의 수행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조직의 서비스지향성이 종업원 직무만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특급호텔 뷔페레스토랑 주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ervice Orientation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 A Case of Buffet Restaurant Kitchen Employees in Deluxe Hotels -)

  • 송흥규;정덕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7-104
    • /
    • 2013
  • 본 연구는 특급호텔 뷔페레스토랑 주방 조직의 서비스지향성이 종업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주방종사자의 효과적인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직의 서비스지향성(서비스리더십, 서비스시스템, 인적자원관리, 서비스 접점)과 종업원의 직무만족 및 영업장의 조직성과에 대한 개념과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각각의 구성개념에 대한 요인을 도출하여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지향성의 서비스리더십과 서비스시스템이 종업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나 영업장의 조직성과에는 직접적이지 않고, 대신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성과에 직접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종업원의 만족이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서비스지향성을 향상시키면서 종업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서비스리더십과 서비스시스템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지향성을 향상시키면서 직접적인 레스토랑의 조직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인적자원관리에 의한 서비스훈련과 서비스보상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조직의 서비스 지향성이 서비스기업의 우수한 고객가치를 창조하는 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서비스지향성의 관리적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지방자치단체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 분석 (Acceptance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Local Government)

  • 임현준;김성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47-357
    • /
    • 2011
  • 정부조직에서는 성과관리제도의 법제화 이후 중앙부처에서부터 지방자치단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가고 있다. 성과관리제도가 지방자치단체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하기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수용성을 제고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정책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수용성제고를 위해서는 공정한 제도의 마련과 충분한 제도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선행되어야 하며, 제도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시행과 의견수렴장치의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조직에 적합한 평가체계를 수립하고 객관적인 지표도출을 위한 매뉴얼 개발 등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제도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비전중심의 성과관리제도로 변화하는 것 또한 수용성을 제고하는 중요한 요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