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Steve W. J. Kozolowski and Bradford S. Bell, (2003). Work groups and teams in organizations. in Walter C. Borman, Daniel R. Illge and Richard J. Klimoski (Ed.), Handbook of Psychology: 12.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New Jersey: John Wiley & Sons.
|
2 |
김효준(2010), "민간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신뢰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논문, 경기학교 대학원.
|
3 |
박숙희, 김도근(2014),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집단적 노사협력 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지, 57: 127-150.
|
4 |
Bae, J. & J. Lawler(2000), "Organizational and HRM strategies in Korea: Impact on firm performance in an emerging econom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3(3): 502-517.
DOI
|
5 |
남길석(2015), "민간경비기업의 전략적 인자원리와 인적자원 유연성, 혁신행동 및 조직성과 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
6 |
Wright, P. M. & L. H. Nishii(2007), "Strategic HRM and organizational behavior: Integrating multiple levels of analysis", In D. Guest (Ed.), Innovations in HR. Oxford: Blackwell Publishing.
|
7 |
Huselid, M. A., S. E. Jackson, & R. S. Schuler(1997), "Technical and strategic human resources management effectiveness as determinants of firm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0(1):173-188.
|
8 |
김형진, 심덕섭(2014),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종업원의 직무태도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기부여의 매개효과와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학술대회, 55: 383-410.
|
9 |
Delery. J. & H. D. Doty(1996), "Modes of theorizing i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Test of universalistic, contingency, and configurational performance predi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4):.802-835.
DOI
|
10 |
원종하(2007), "벤처기업의 인적자원관리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2(3):61-102.
|
11 |
채주석, 김찬중(2019),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역량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6(1):143-174.
|
12 |
송은일, 이종호(2018),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시큐리티연구, 54:181-202.
|
13 |
이상석(2019), "주얼리 산업 종사자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
14 |
배종석, 박오원(2005), "조직 및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양면성과 혁신성과",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105-131.
|
15 |
신다정, 조대연(2017), "A 기업의 학습지향성과 구성원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비판적 성찰 업무행동의 조절효과", 역량개발학습연구, 12(2):165-190.
|
16 |
김문준, 김노사(2019),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리뷰, 10(1):199-229.
|
17 |
이민호(2012), "지방공무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18 |
Scott, S. G., & Bruce, R. A.(1994), "Determinants of Innovation Behavior: A Path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580-607.
DOI
|
19 |
Hult el. al.,(2004), "Innovativeness and capacity to innovate in a complexity of firm-level relationships: A response to Woodside",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4(3):281-283
DOI
|
20 |
김문준(2015), "경영진의 컨설턴트 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15(1):195-210.
|
21 |
배호영, 이재훈, 이종완(2015), "조직여유가 기업명성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經營硏究, 30(2):75-100.
|
22 |
김종우, 이지우(2012), "조직공정성, 과업특성, 혁신행동 및 혁신성과 간의 관계", 經營經濟, 45(1):117-140.
|
23 |
이금심, 황복주(2017), "개인 창의성과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이 혁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서비스연구, 7(3):71-91.
DOI
|
24 |
서상원, 이재곤, 류을순(2017), "호텔 조리사의 학습조직이 창의성, 혁신행동,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79:595-619.
|
25 |
Calantone, R. J. & Cavusgil, S. T., & Zhao, Y.(2002), "Learning Orientation, Firm Innovation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1:515-524.
DOI
|
26 |
전상철(2013), "다양한 인적자원관리와 조직몰입, 맥락성과 및 혁신행동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
27 |
이재훈, 박지호(2012), "HRM 시스템이 혁신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經營硏究, 27(1):21-48.
|
28 |
Chen, C.J. and Huang, J.W. (2007), "How organizational climate and structure affect knowledge management the social Interaction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7(2):104-118.
DOI
|
29 |
Minbaeva, D. B.(2008), "HRM practices affecting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of knowledge receivers and their effect on intra-MNC knowledge transfer,"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17: 703-713
DOI
|
30 |
남길석, 강민완(2015), "시큐리티기업의 인자원리와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혁신행동의 관계", 한국시큐리티융합경학회지, 4(2): 69-83.
|
31 |
Way, S. A. (2002),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and Intermediate Indicators of Firm Performance within the US Small Business Sector", Journal of Management, 28(6):765-785.
DOI
|
32 |
Harel, G. H. & S. S. Tzafrir(1999),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on the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and market performance of the firm", Human Resource Management, 38:185-199.
DOI
|
33 |
박재성(201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상사의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34 |
김생수(2018), "고성과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건설기업 핵심경쟁력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일터혁신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
35 |
Boxall, P., & Macky, K.(2009), "Research and Theory o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Progressing the High Involvement Stream",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19(1): 3-23.
DOI
|
36 |
Wright, P. M. & G. C. McMahan(1992), "Theoretical perspectives for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Management, 18:295-320.
DOI
|
37 |
Schuler, R. S., & Walker, J. W.(1990), "Human Resource Strategy: Focusing on Issue and Actions", Organizational Dynamics, 19(1):4-20.
|
38 |
Collins, C. J., & Smith, K. G.(2006). "Knowledge Exchange and Combination: The Role of Human Resource Practices in the Performance of High-technology Firm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9(3): 544-560.
DOI
|
39 |
차영덕(2010),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인사부서의 역할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40 |
전상철(2013), "다양한 인적자원관리와 조직몰입, 맥락성과 및 혁신행동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41 |
이기섭, 김경숙(2015), "호텔기업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직무역량, 직무 및 조직성과 간의 관계", 한국관광학회, 39(1):147-162.
|
42 |
박숙희, 김도근(2014),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집단적 노사협력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1(5): 127-150.
|
43 |
박인서(2006), "HR BSC를 통한 전략적 인적자원 관리와 조직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44 |
Gomez-Mejia, L .R. & Welbourne, T. M. (1991), "Compensation strategy in a global context", Human Resource Planning, 14(1):29-42
|
45 |
Richard & Johnson(2010), "Measur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wards Methodological Best Practice", Journal of Management, 35(3): 720-804.
|
46 |
Guest, D. E.(1997),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erformance: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8(3):263-276.
DOI
|
47 |
김종관, 윤준섭, 이영남(2013), "인사공정성이 종업원의 혁신행동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0(1):171-188.
|
48 |
이진규, 김태규, 이준호, 김학수(2013), "조직의 인력구성 다양성과 혁신성과간의 관계 및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조절역할", 기업경영연구, 20(4): 21-51.
|
49 |
구남욱(2014), "Sobel의 검정방법과 매개효과 연구에서 자료의 분포형태에 따른 비대칭 신뢰한계방법의 비교", 교육평가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7(1):163-181.
|
50 |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Hall. Upper SaddleRiver, N. J.
|
51 |
윤정현, 이승환(2014), "대학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실행이 구성원들의 혁신행동과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 구조방정식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343-365
|
52 |
Pfeffer, J.(1998), "Seven practices of successful organization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0(2):96-124.
DOI
|
53 |
Bae, J. & J. Lawler(2000), "Organizational and HRM strategies in Korea: Impact on firm performance in an emerging econom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3(3):502-517
DOI
|
54 |
강호.박일.이두.이영대(2010),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통한 동기부여가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향향", 재무와 회계정보, 10(3):107-131.
|
55 |
정기원(2017), "기업의 혁신행동과 최고경영진(TMT)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전략경영연구, 20(2):55-78.
|
56 |
이현도(2008), "중소기업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
57 |
김종석(2017), "태권도단체 종사자에 대한 전략적인적자원관리가 조직신뢰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
58 |
홍현경(2012), "자기효능감이 직무착근도, 혁신행동과 조직구성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내 특1급 호텔 근무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
59 |
홍완기(2015), "중소기업에서의 변혁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및 혁신행동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상지대학교.
|
60 |
Janssen, O.(2005), "The Joint Impact of Perceived Influence and Supervisor Supportiveness on Employee Innovative Behavio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 al Psychology, 78: 573-579.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