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PA 중요도-만족도 분석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9초

IPA를 활용한 전기공사 건설사업관리 역량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Evalu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Electrical Construction Management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김승범;변정윤;김주형;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03-112
    • /
    • 2014
  • 최근 건설 프로젝트 규모의 대형화, 복잡화로 인해 관리기술의 난이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리스크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 프로젝트 관리기술 향상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공사에서 우선적으로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제도를 도입하였으나 국내 건설 산업의 경우 업역별 분리발주가 이루어지고 있어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건설사업관리제도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부분적 사업관리제도의 운영은 향후 스마트그리드, 인텔리전트 빌딩 등과 같은 융 복합화 사업에 있어 많은 제약을 받을 수 있다. 국내 건설 프로젝트 관리기술의 향상을 위해서는 현 사업관리제도의 이질성을 극복할 수 있는 업역별 사업관리기술 역량을 확보하고, 협업 능력 저해 요소를 발견하여 이를 해결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PA모델을 활용하여 건설 전기공사의 사업관리제도 업무역량 차이를 분석하고,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전기공사 사업관리제도 도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학교 그룹스터디룸 계획요소의 중요도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Importance-satisfaction of Interior Space in University Group Study Room)

  • 신은경;위한빈;김세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745-755
    • /
    • 2017
  • 대학 캠퍼스는 시대적 흐름과 학생들의 생활패턴 변화 등의 다양한 공간 계획적 이슈를 충족시키고자 노력해야 한다. 물리적 공간의 지속적인 변화는 대학의 경쟁력 확보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주된 구성원인 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에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학생들의 학습 방법은 기존의 개별 학습 형태를 벗어나 여러 명이 모여 토론하는 그룹형 학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시설 및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자료를 재가공해야하는 새로운 유형의 과제가 등장하고 있어 관련된 설비 또한 새롭게 구축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다각적인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새로운 유형의 독립된 공간이 각 대학에 등장하고 있는데, 이를 그룹스터디룸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K대학 내 조성된 그룹스터디룸들이 가지는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간 계획요소가 실제 사용자들의 만족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IPA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새롭게 구축해야 하는 대학 내 시설들에 대한 건축적 이슈를 도출하여 각 대학별로 활용 가능한 디자인 요소들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포항 향토음식의 품질속성과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 방안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연구 (Analysi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Quality Attribute, Popularization and Tourism Commercialization Strategy of Pohang Local Food)

  • 백서영;이연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7-24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quality attribute, popularization and tourism commercialization of Pohang local f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efficient marketing direction that serves the popularization and the activation of the Pohang local food. On the prospects and improvement of Pohang local foods and its use, 86.1% of subjects stated that the status quo was being maintained or only a portion of the foods was being transmitted. On the dissemination of local foods as world foods, subjects stated 'cooking methods' and 'simplified cooking methods' were required. In the IPA result of Pohang local food quality attributes,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keep 'health', 'nutrition', 'hygiene', 'preference (taste)', 'freshness', and 'credibility toward the ingredients', while 'service' needs to do intensive care and operati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attributes regarding plans for popularizing local foods and commercializing tourism differed, wit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average being high, although attributes on plans for popularizing local foods and commercializing tourism was lower than the expectation of customers. Such results mean that residents have high expectations for Pohang local food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of local foods fails to satisfy the expectations of resid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ocal foods overall.

그린리모델링 사업 활성화를 위한 민간 이자지원사업 개선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terest Support Program for Activating Green Remodeling Business)

  • 유정현;이종건;김봉주;방선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6호
    • /
    • pp.147-15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iority improvement items through business expansion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for green remodeling business operator in order to enhance the activating of green remodeling business in a long-term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survey of 128 business operator respondent is conducted based on 13 items. Also, priority improvements item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by using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echniques. As a result, In order to revitalize the green remodeling, it is necessary to induce market participation motivation through monetary profit. Additionally, The management of green remodeling business operator and the opinions of owners should be reviewed. In the future, the items that reflect the views of business operator and owners will be investigated and further research on improvements for expanding green remodeling 'interest subsidies on existing private buildings will be conducted.

사회취약계층의 숲체험교육 질적향상 방안을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 박세익;고병준;박희정;최용락;이상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9-159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of a forest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by administering a survey problems of the program and suggested improvements. 428 participants in the program. Reliability analysis of the survey yielded values of, Cronbach's α value was higher than 0.8 for all items, indicating very high reliabilit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 method of measuring and compar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und two factors: "first need for correction" which included "diversity of programs" and "professionalism of programs"; and "the need for sustained effort" which included "benefits of programs", "the role of program instructors" and "the interest of programs". Previously,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cused on programs involving base expansion and promotion, or quantitative expansion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on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내부마케팅 관점에서 본 퇴직예비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tiremen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Marketing)

  • 박주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149-169
    • /
    • 2015
  •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시기가 도래함으로써 퇴직(예비) 종업원들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실제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교육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퇴직관련 교육프로그램 지원은 은퇴하는 개인적 차원에서도 중요할 뿐 아니라 현직 종업원 관리차원에서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내부마케팅 관점에서 퇴직예비교육이 현직 종업원들의 직장만족, 퇴직불안, 직무동기부여,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퇴직예비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육, 재취업교육, 재테크교육은 종업원의 직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퇴직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생활교육은 직장만족과 퇴직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장만족은 직무동기부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퇴직불안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동기부여는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실무적, 이론적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 PDF

PLS-SEM 기반 IPM 방법 활용 - 수출 경쟁력 요인 대상 (On utilizing PLS-SEM based IPM method - Focused on export competitiveness factor)

  • 김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43-47
    • /
    • 2019
  • 본 연구는 기존 경쟁력 요인들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통하여 전략적 정책을 파악하는 기존 방법인 중요도-성과도 분석(IPA)을 확장하여 PLS-SEM 기반 IPM(Importance-Performance Map) 방법을 적용하여 정책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적용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융 복합 산업의 전략 요인들 분석하여 글로벌한 세계 경쟁에서 살아남고 파급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과 관련된 연구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정보기술(IT) 융 복합 산업의 육성은 관련된 산업의 발전과 고용 활성화를 활성화는 효과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융 복합 산업의 중소기업들의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적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를 대상으로 본 연구방법론의 활용 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그 분석 결과 IT 융 복합 수출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적 방안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IT 융 복합 산업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요인들을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가운데 하나의 전략 수단으로서 본 연구 방법론을 다른 분야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스마트관광기술 속성에 대한 MICE 참가자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The MICE Participants'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on Smart Tourism Technology Attributes)

  • 이은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37-443
    • /
    • 2023
  •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스마트관광기술의 발달과 COVID-19 이후 비대면서비스의 확대로 MICE산업에서 스마트관광기술의 활용한 하이브리드 MICE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최근 5년간 하이브리드 MICE 참가자를 대상으로 스마트관광기술의 활용에 대한 중요도-실행도분석을 하였다. 먼저 MICE분야에서 활용되는 13개의 스마트관광기술속성은 행사운영요인, 콘텐츠확대요인, 커뮤니티요인으로 축약되었으며, 그중에서 행사운영요인과 커뮤니티요인이 MICE참가자의 전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응표본 t검정 결과에 의하면, 청중과의 소통, 웨비나, 가상쇼케이스, 소셜허브레 의한 소통, 가상장터, 매치메이킹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중요도-실행도분석 결과 역시 매치메이킹, 가상장터, 청중과의 소통, 소셜허브를 통한 소통, 웨비나 등이 높은 중요도와 낮은 실행도를 나타내어 향후 노력을 집중하여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공공 R&D 시설. 장비의 공동 활용 전략에 대한 연구: 사업별 서비스 품질 개선 및 운영주체의 역할 재조정 (A Study on the Strategic Management of the Public R&D Facilities: The Direction of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nd Managerial Role Reformation)

  • 임성민;정욱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88-412
    • /
    • 2009
  • 최근 연구개발투자의 확대와 더불어 첨단 분야 연구 활동이 활발해지고, 국가균형발전 및 지역혁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연구시설 장비 인프라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 있으나 연구시설 장비의 중요성에 비하여 전략적 투자와 효율적인 운영체제 및 공동 활용을 위한 노력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가 연구개발 사업 중 주요 부처에서 지원하고 있는 대표적 연구시설 장비 구축 사업들의 향후 개선 방향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외 공동 활용 서비스에 있어서 사업의 대외 사용자들이 인식하는 중요한 서비스 품질의 요인들과 각 요인들에서 느끼고 있는 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수행하여 각 사업별 집중 개선 대상이 되는 서비스 품질 요인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여 설문 조사 결과의 확인과 원인 도출 및 개선방향 설정 등을 포함하는 분석활동을 수행한끝에 정부차원의 시설 장비 운영 자원제도의 수립에 있어서 함께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대학의 경우 공동 활용 목적 보다는 자체 연구목적의 다양한 적용분야에 대한 시설 장비 지원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고, 독립법인의 경우에는 공동 활용 목적의 일반/범용수준의 장비들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정부출연연구소의 경우에는 선도/개척 수준에 해당하는 고가 및 희귀한 장비들을 필요로 하는 자체연구 및 공동활용목적의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는 사업 추진주체의 효과적 역할분담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공항이용객의 공항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김포국제공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irport Users Choice Behavior -A Gimpo International Airport Case Study-)

  • 박진우;김문환;최유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88
    • /
    • 2013
  • 세계 및 한국경제의 성장과 함께 항공운송 시장의 급속한 확대에 따라 대한민국에서의 국제항공 운송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게 됨에 따라 한국의 관문 역할을 담당하던 김포국제공항의 수용능력은 한계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정부는 김포국제공항을 대체할 인천국제공항을 건설하여 운영하는 한편 김포국제공항에는 한국 중국 일본의 수도를 포함한 몇몇 도시를 연결하는 근거리 중심의 국제선이 취항하게 되면서 공항운영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의 항공교통을 위한 공항이 제한적이지만 복수공항 체계로 운영되면서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을 이용하는 항공여객은 공항 이용 시 선택의 기회가 주어지면서 공항운영자는 여객의 공항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항공여객의 항공사 선택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지고 있으나 항공여객의 공항선택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임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여객의 공항선택에 미치는 속성이 무엇이고 속성에 따른 중요도와 만족도를 측정하여 공항운영자의 공항운영과 활성화 전략수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포공항 국제선 이용객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IPA 분석과 GAP분석 및 경로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