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xy radical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9초

해조 올리고당 음료가 고지혈증 유도 쥐에 있어서 혈액 지질 산화 및 혈액ㆍ혈장 응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tangle Oligosaccharide Drink on Oxidation of Serum Lipid and Bleeding and Plasma Clotting Time in Rats Fed a Hyperlipidemic Diet)

  • 주동식;이진경;김옥선;조순영;이득식;제외권;최종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70-1376
    • /
    • 2003
  • 식이성 고지혈증 model 실험동물을 사용하여 해조 음료를 투여하여 지질 산화와 관련된 효소 변화 및 혈액응고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혈액의 lipid peroxide 함량과 혈중 hydroxy radical 생성이 식이성 고지혈증의 유도로 증가되었으며, 혈중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은 오히려 감소되던 것이 해조 음료의 투여로 조절되었다. 식이성 고지혈증을 유도한 흰쥐에서 감소되었던 bleeding time과 plasma clotting time이 해조 음료의 투여로 다소 증가하였고, 증가하였던 tissue factor의 활성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동물 소화장관에 대한 운동성 시험에서는 해조 음료의 투여로 장관 운동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조 음료나 해조 음료 소재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해조 올리고당이 기존의 해조 다당과 마찬가지로 혈관계 관련 질병의 예방에 유효한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향후로도 다양한 기능성 제품의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말티톨 첨가 흑마늘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Jam Containing Maltitol Substituted for Sucrose)

  • 김민지;김민희;김효진;이지연;김혜란;유보람;양기현;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66-871
    • /
    • 2010
  • 흑마늘로 잼을 만들어 품질특성을 알아본 결과, pH 및 산도는 MTS 첨가군이 pH가 가장 높았으며 산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MT 첨가군, MTS 첨가군 순으로 환원당 함량이 높았다. 점도는 MT 첨가군, MTS 첨가군 순이었고, 대조군은 가장 낮았다. 색도는 명도는 MT군이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는 대조군이 말티톨시럽을 첨가한군에 비하여 높았다. 황색도는 MTS군이 가장 높았다. 기계적인 조직감 측정결과, 경도와 부착성은 MT 첨가군이 가장 높고 그다음이 MTS, 대조군의 순이었다. 탄력성과 응집성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DPPH radical 및 hydroxy radical 소거능 측정에 의한 항산화능은 MT군이(DPPH $IC_{50}$: 49.63 mg/g, hydroxy radical $IC_{50}$: 27.24 mg/g)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MTS군이었으며 대조군은 가장 낮았다. 총페놀함량은 MT군이 가장 높고, 그다음이 MTS군, 대조군의 순으로 항산화능 결과와 일치하였다. 관능검사결과, 마늘냄새는 MT군과 MTS군이 낮았으며, 기호도 검사에서 향미와 전반적인 수용도는 MTS군이 6.9점 및 6.6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설탕군은 5.8점으로 말티톨군의 5.3점과 유사하였다. 제품구입의사는 MTS군이 6.8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MT군은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잼 제조시 설탕을 말티톨로 대체시 50% 정도만 대체하는 것이 관능적으로 가장 좋다고 사료된다.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in vitro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활성성분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in vitro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and Its Active Principles)

  • 이희정;이범종;이동석;서영완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668-672
    • /
    • 2003
  • An antioxidative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was tested by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evaluatio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by measuring lipid peroxide using 2-thiobarbituric acid (TBA). The crude extract was sequentially partitioned with n-hexane, 15% aq. MeOH, EtOAc, n-BuOH, $H_2O$. Among them, a remarkable antioxidative effect was observed in the fractions of EtOAc and n-BuOH.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IC_{50}=17.90{\mu}g/ml)$ of the n-BuOH soluble fraction was comparable with that of natural antioxidant, ${\alpha}-tocopherol(IC_{50}=\;6.99{\mu}g/ml)$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lipid peroxidation in mouse liver homogenate was similar to that of natural antioxidant, L-ascorbic acid at a concentration of 0.1mg/ml to 5mg/ml. From the BuOH soluble fraction yielded two biophenolic glycosides, 3-hydroxy-1-(2-hydroxyethyl)phenyl-4-O-${\beta}$-D-glucopyranoside(1) and 2-(3,4-dihydroxyphenyl)ethyl-O-${\beta}$-D-glucopyranoside(2) using column chromatography and revered-phase HPLC. In particula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2 was comparable to that tocopherol$(IC_{50}=6.59{\mu}g/ml)$.

  • PDF

뇌조직의 활성산소 및 그 제거효소에 미치는 뽕잎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Mulberry (Morus alba L.) Leaf Extract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Brain of SD Rats)

  • 최진호;김대익;박수현;김정민;김창목;이희삼;류강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70-576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berry (Morus alba L.) leaf extract (MLE)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brain membranes of rats. Sprague-Dawley (SD) male rats (160$\pm$10 g) were fed basic diet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diets (MLE-100 and MLE-300 groups) added 100 and 300 mg/kg BW/day for 6 weeks. Hydroxyl radical (.OH) lecels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s (13.4% and 21.1%, 12.0% and 13.4%, respectively) in brain mitochondria and microsome of MLE-100 and MLE-30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uperoxide radical ($O_2$)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bout 12% in brain cytosol of MLE-300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Lipid peroxide (LPO) levels were effectively inhibited (18.1% and 12.3%, respectively) in brain mitochondria and microsomes of MLE-30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Oxidized protein (OP)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14.2%, and 10.9%, respectively) in brain mitochondria and microsomes of MLE-30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n-SOD activities in brain mitochondri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13.5% and 18.6%, respectively) in MLE-100 and MLE-300 groups, and Cu/Zn-SOD activities in brain cytosol were also effectively increased (about 17.7%) in MLE-30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GSHPx activities in brain cytosol were remarkably increased (17.2% and 23.9%, respectively) in MLE-100 and MLE-30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aging effect of mulberry leaf extract (MLE) may play a pivotal role in attenuating a various age-related changes in brain.

  • PDF

대황감초음자(大黃甘草飮子)와 그 구성약물군(構成藥物群)이 Alloxan 유도 당뇨(糖尿) 백서(白鼠)의 혈청 조성 및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ehwanggamchoeumja and its component groups on diabetes, free radical and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 고원도;곽동걸;신화석;최오철;박선동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9-18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ch the effect of Daehwanggamchoeumja(大黃甘草飮子) and its component groups on diabetes,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system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Daehwanggamchoeumja(DG), and its components groups, Gamdutang (Gamcho&Daedu; DG-I) and Daehwanggamchotang(DG-2).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the study of effect on diabetic metabolic dysfunction(Glucos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Total Protein, Albumin, Creatine, BUN), only DG has a significant effect. 2. In the study on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in vitro(the suppressing effect on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on concentration, the scavenging effect of DPPH radical, inhibitory effect of superoxide in 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 inhibitory effect on lipid peroxidation reaction by hydroxy radical in $H_2O_2Fe^{2-}$system, and the effect on Nitrate reductase activity), DG and DG-2 have more effect than DG-l relatively. 3. In the study on antioxidants system in vivo(The level of serum LPO, The level of hepatic LPO, Catalase, GSH, GST), only DG has a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ehwanggamchoeumja(大黃甘草飮子) has an effect on diabetes, peroxidative damage by free radical, so it seems to be useful to prevent and treat diabetes. The mechanisms of these are supposed to be involved in antioxidant and three drugs' cooperative synergy effect.

  • PDF

오계란 단백질 가수 분해물 제조 및 한외여과 분획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특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Ogae (Korean Native Black Fowl) Egg White Protein Hydrolysates Fractionated by Ultrafiltration)

  • 하유진;김슬기;유선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73-682
    • /
    • 2017
  • 식물 및 동물성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형태의 단백질 가수 분해물들은 항산화, 고혈압 완화, 면역조절, 진통완화 및 항균작용 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연산오계란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Ultrafiltration를 이용하여 HDS(분획되지 않은 가수 분해물), 1 kDa, 5 kDa, 10 kDa, 50 kDa로 분획된 기능성 펩타이드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Fe^{2+}$ chelation ability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최대값은 1 kDa(70.83 %),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최대값은 5 kDa (47.01 %),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최대값은 5 kDa(40.57 %), $Fe^{2+}$ chelation ability 최대값은 5 kDa(29.87 %)로 나타났다. Ultrafiltration를 이용하여 fractionation된 단백질 가수 분해물의 항산화 저해 능력 $IC_{50}$ 평가하였다. 그 결과 HDS의 최대값은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IC_{50}$, 5.42 mg/ml)이고, 1 kDa의 최대값은 $Fe^{2+}$ chelation ability($IC_{50}$, 1.67 mg/ml)이고, 5 kDa의 최대값은 $Fe^{2+}$ chelation ability($IC_{50}$, 2.09 mg/ml)이고, 10 kDa의 최대값은 $Fe^{2+}$ chelation ability($IC_{50}$, 2.61 mg/ml)이고, 50 kDa의 최대값은 $Fe^{2+}$ chelation ability($IC_{50}$, 4.53 mg/ml)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5 kDa를 이용하여 오계란 단백질에서 분획한 펩타이드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할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유화중합에 의한 전분-아크릴 그래프트 공중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rch-acrylic Graft Copolymerization by Emulsion Polymerization)

  • 황주호;류훈;조을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4호
    • /
    • pp.221-229
    • /
    • 2008
  • 전분을 매트리스 고분자로 하여 아크릴 모노머인 2-ethylhexylacrylate와 methyl methacrylate, acrylic acid를 그래프트 중합하였다. 중합은 라디칼 유화중합에 의하여 전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면서 수행되었다. 효소인 $\alpha$-amylase 가 전분 대비 0.174% 투입되었을 때 가장 안정한 중합물이 얻어졌으며 전분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합물의 유리전이온도가 상승하였다. 전분 함량의 증가에 따라 계내의 -OH기가 많아짐에 따라 중합물의 입자 크기와 점도가 증가하였다. Peel strength는 전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OH기 증가에 의해 중합물이 피착체 표면과의 친화력 상승이 일어나서 증가하였다. 반면 초기 점착력은 전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의 증가에 따라 필름의 경도가 증가하면서 감소하였다.

Aspergillus sp. F184가 생산하는 Xanthine Oxidase 저해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Xanthine Oxidase Inhibitor Produced from Aspergillus sp. F184)

  • 박시형;윤상웅;박정민;옥승호;유주현;배동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2-96
    • /
    • 2000
  • 통풍과 oxygen free radical의 독성에 관여하는 xanthine oxidase에 대한 새로운 저해물질의 탐색 및 개발을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 선택분리한 Aspergillus sp. F184가 생산하는 저해물질을 분리.정제하고 구조를 결정하였으며 효소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본 균주를 배양 후 배양액을 여과하여 균체와 배양액을 분리하고 균체를 acetone으로 추출하고 감압농축하고 남은 수용액층을 배양액과 합쳐 HP-20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ethyl acetate 추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결정화 등을 실시하여 xanthine oxidase에 대한 저해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본 저해물질의 구조를 NMR 및 MS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5,6-epoxy-2-hydroxy-3-methyl-2-cyclohexene-1,4-dione으로서 terreic acid로 동정되었다. Terreic acid의 xanthine oxid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IC50가 1.1$\times$10-7M로서 기존의 저해제인 allopurinol과 유사하였다. 이에 terreic acid에 의한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보고된 바가 없기에 새로운 통풍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한다.

  • PDF

Tachioside, an Antioxidative Phenolic Glycoside from Bamboo Species

  • Li, Ting;Park, Min-Hee;Kim, Mi-Jeong;Ryu, Bog-Mi;Kim, Myo-Jung;Moon, Gap-S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1376-1378
    • /
    • 2008
  • Tachioside (4-hydroxy-3-methoxy-phenyl-1-O-glucoside), a known phenolic glycoside, was isolated from various bamboo species.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determined a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of tachioside which was comparable to L-ascorbic acid. Each culm and leaf extracts were tested and the culm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appeared to contain the highest amount of tachioside.

거대배아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항변이원성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Giant Embroynic Rices)

  • 강미영;이연리;고희종;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61-66
    • /
    • 2004
  • 신선찰거대배아미, 화청거대배아미 및 남풍거대배아미 등 거대배 돌연변이 계통 쌀 3종류 및 일반미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항산화 활성 및 항변이원성을 비교 검정하였다. 거대배아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cal 및 Fenton 반응에 의해서 유도되는 hydroxy radical의 소거활성, hypo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인 superoxide radical의 소거활성, linoleic acid자동산화에 대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및 토끼 적혈구 막지질의 과산화 억제활성 둥으로써 검정하였으며, 항변이원성은 E. coli PQ 37 균주를 사용하여 화학적 변이원 mitomycin C에 대한 변이원성 억제효과를 SOS chromotest에 의해서 검정하였다. 일반미 품종에 비해서 거대배아미 품종의 항산화 활성 및 항변이원성이 모두 높았으며, 거대배아미 품종 중에서는 남풍거대배아미가 가장 효과적인 경향이 있었다. 남풍거대배아미의 DPPH radical, superoxide radical과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그리고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일반미보다 각각 2.3배, 3.3배, 1.7배 및 2.5배 정도까지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