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aluronidase activity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4초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부패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iological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of extracts from Hericium erinaceus)

  • 김명욱;이은호;정희영;이승열;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2호
    • /
    • pp.173-179
    • /
    • 2019
  •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 추출물의 총 페놀성 성분함량은 물 추출물은 $0.349{\pm}0.004mg/sample\;g$이었고, 에탄올 추출물은 $0.258{\pm}0.012mg/sample\;g$을 나타내었다. 노루궁뎅이버섯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BHA 보다 더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기능성식품활성에서 노루궁뎅이버섯 에탄올추출물은 $50-200{\mu}g/mL$ 페놀성 성분 농도구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50{\mu}g/mL$ 페놀성 성분 농도에서 80% 이상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염증인자로 hyaluronidase 저해활성은 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기능성 미용식품활성에서 노루궁뎅이버섯 에탄올추출물의 collagenase 저해활성은 $200{\mu}g/mL$ 페놀성 성분 농도에서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65.09%와 58.38%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 9.4-58.24%의 농도의존적인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노루궁뎅이버섯 ethanol 추출물 $50-200{\mu}g/mL$ 페놀성 성분 농도구간에서 18.94-100%의 우수한 모공수축 효과가 확인되었다. 식품부패유발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은 2.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및 Escherichia coli에 대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노루궁뎅이버섯은 건강기능성 식품 및 미용식품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부패균에 대한 천연방부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of Cimicifuga heracleifolia: Partial Purification of Active Components

  • Kim, Young-Ran;Park, Soo-Hyung;Kim, Kyeong-Ma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권2호
    • /
    • pp.149-154
    • /
    • 1994
  •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of the water extract from Cimicifuga heracleifolia were evaluated in mice and rats. Several criteria were employed to assess the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of Cimicifuga heracleifolia, such as hyaluronidase activity, mediators-induced vascular permeability changes, 48 hour homologous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histamine release from mast cells, and the carrageenan-induced rat paw edema. To further characterize the active components, the water extract was either extracted with organic solvent or fractionated according to molecular weight, and each fraction was tested for some of anti-allergic parameters. Hyaluronidase activities, both in activating and in activated state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water extract of Cimicifuga heracleifolia and by some of its subfractions, molecular weight less than 1,000. The water extracts (50~400 mg/kg) significantly inhibited 48 hr homologous PCA and vascular permeability changes induced by chemical mediators (histamine, serotonin, and leukotriene $C_4$) in mice. In the case of histamine-induced vascular permeability changes, more extensive studies were conducted; water extract was either fractionated according to molecular weight or extracted with butanol. Anti-histamine actions were observed only from the water layer, and these active components were of the molecular weight less than 1,000. These anti-allergic actions were observed mainly from mice than from rats. On the other hand, anti-inflammatory actions of the water extract from Cimicifuga heracleifolia were significant in rats.

  • PDF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odent Germ Cells-Specific Hyaluronidases

  • Kim, Ekyune;Chang, Kyu-Tae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6권3호
    • /
    • pp.155-161
    • /
    • 2012
  • Germ cell-specific hyaluronidases such as sperm adhesion molecule 1 (SPAM1) and hyaluronoglucosaminidase 5 (Hyal5) are in part responsible for dispersal of the cumulus cell mass, which is a critical step in establishing fertilization in mammal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wo testis-hyaluronidases, SPAM1 and Hyal5, in hamster and rat. These two genes were expressed specifically in the testis. At the protein level, hamster SPAM1 and Hyal5 display 78.7% and 75.4% identity with mouse SPAM1 and Hyal5. Further, the activity of the enzymes with respect to cumulus cell dispersion did not differ, although we observed that the enzymatic activity differed in pH range. These studies suggest that different sperm hyaluronidases are capable of dispersing the cumulus cell mass despite differences in enzyme activity.

유근피(Ulmus pumila)로부터 분리한 페놀성물질의 미용식품활성 (Beauty Food Activities of Isolated Phenolic Compounds from Ulmus pumila)

  • 김경범;조분성;이주영;박기태;안봉전;이선호;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4호
    • /
    • pp.207-215
    • /
    • 2012
  • 유근피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7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17.9{\pm}1.0mg/g$이 용출되었다. 주름 생성과 관련된 elastase 저해 활성은 $50-200{\mu}g/mL$ phenolics 농도의 70% ethanol 추출물에서 55.5-69.5%의 제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미백효과와 관련된 tyrosinase 저해활성은 $200{\mu}g/mL$ phenolics 농도의 70% ethanol 추출물에서 24%의 저해효과가 측정되었다. Astringent 활성은 $200{\mu}g/mL$ phenolics 농도의 70% ethanol 추출물에서 71%의 활성을 나타내어 모공축소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활성은 $50{\mu}g/mL$ phenolics의 농도에서 80%의 염증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물 추출물의 경우 $50-200{\mu}g/mL$의 phenolics 농도에서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이 각각 8.7, 10, 11.1 및 11.8 mm의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유근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복합 기능성 화장품(로션)의 안정성은 28일 동안 pH 및 점도의 변화가 없었고, 온도 및 광에 대하여 안정하였다. 제조한 로션은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색도는 어둡게 나타났으나, 사용감면에서 8.5점 정도의 좋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인진청간탕(茵蔯淸肝湯)의 알코올성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 연구 (Protective Effects of Yinjinchunggan-tang (YJCGT)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 김영태;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50-564
    • /
    • 2011
  • Objectives : Oxidative stress seems to play a major role in mechanisms by which ethanol causes liver injur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reatment with Yinjinchunggan-tang (Yinchenqinggan-tang, YJCGT) has protective effects on alcoholic liver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YJCGT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Materials and Methods : In vitro, we evaluate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YJCHT on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xanthine oxidase, trypsin, and hyaluronidase. In a cell culture model, we measured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and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after YJCGT treatment in C34 and E47 cell lines, and HepG2 cells transfected with/ without cytochrome P450IIE1 (CYP2E1) gene. In vivo, we estimated serum level of hepatic biochemical markers, and alcohol concentration in the blood. Results : YJCGT showed significa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ainst DPPH and xanthine oxidase and decreased hyaluronidase activity effectively in vitro. YJCGT also increased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in C34 and in E47 cell lines, and increased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in C34 and in E47 cell lines. YJCGT reduced serum AST, LDH, and total cholesterol level in some of the results, and reduc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vivo, as wel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YJCGT has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stress by inhibiting alcohol-induced sup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Raw264.7 cell에서 Phellodendron amurense의 Jatrorrhizine에 의한 염증 억제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Jatrorrhizine from Phellodendron amurense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 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2호
    • /
    • pp.114-119
    • /
    • 2011
  • 황백으로부터 n-BuOH 추출물에서 약 50%의 hyaluronidase 저해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n-BuOH 분획 농축물을 Sephadex LH-20 및 MCI gel CHP-20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한 결과 저해활성을 가지는 Jatrorrhizine을 분리, 동정하였다. 황백추출물과 Jatrorrhizine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NO 발현을 억제하였고, 100 ${\mu}g/mL$의 농도에서 60% 이상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황백추출물과 Jatrorrhizine의 iNOS와 COX-2의 억제력을 살펴본 결과, 100 ${\mu}g/mL$의 농도에서 45% 및 29%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황백추출물 및 Jatrorrhizine은 LPS로 유도되어진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의 염증반응의 억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구자 투약기간이 수컷 생쥐의 생식능력에 미치는 영향 (Administration Term-dependent Effects of Allii Tuberosi Semen Extract Solution on the Reproductive Capacities in the Mice)

  • 이진무;이창훈;조정훈;장준복;이경섭;박대순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1-82
    • /
    • 2007
  • 목 적 : 본 연구는 기간별 구자 투약이 생쥐의 생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이를 위해 30일, 60일, 90일 및 120일간의 구자 투약이 생쥐의 총 정자수, 활동 정자수, 정상형태 정자수, 고환조직 및 hyaluronidase activity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 과: 1. 총 정자수는 60일과 90일 투여 후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2. 활동 정자수는 60일, 90일 및 120일 투여 후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3. 정상 형태 정자수는 60일, 90일 및 120일 투여 후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4. 고환 세정관의 조직학적 변화는 60일 투여 후에 가장 현저히 나타났다. 5. Hyaluronidase activity는 모든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60일 이상의 구자 투약이 남성 생식능력을 활성화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Agarwood Inhibits Histamine Release from Rat Mast Cells and Reduces Scratching Behavior in Mice -Effect of Agarwood on Histamine Release and Scratching Behavior-

  • Inoue, Eiji;Shimizu, Yasuharu;Masui, Ryo;Tsubonoya, Tomoe;Hayakawa, Tomomi;Sudoh, Keiichi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9-245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s of agarwood on histamine release from mast cells in rats and on the scratching behaviors in mice. Methods: Histamine release from rat mast cells induced by compound 48/80 or concanavalin A (Con A) and compound 48/80-induced scratching behavior in mice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garwood. The hyaluronidase activity and the 3',5'-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levels in mast cells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for the inhibition of histamine releas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hibitory effects of agarwood on histamine release and the content of its typical ingredients, a 2-(2-phenylethyl)chromone derivatives, was analyzed using thin-layer chromatography. Results: Agarwood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n mast-cell histamine release induced by compound 48/80 or Con A without any effect on hyaluronidase activity; this effect involves an increase in the cAMP levels in mast cells. Oral administration of agarwood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n compound 48/80-induced scratching behavior in mice. The inhibitory effects of agarwood on histamine release were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rea where the agarwood was produced, its quality, and its market price.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nhibitory effects of agarwood on histamine release and the typical ingredients of agarwood, which are 2-(2-phenylethyl)chromone derivative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agarwood inhibits histamine release from mast cells partially through an increase in the cAMP levels in cells. We suggest that some active ingredients of agarwood must be effective on oral intake and that agarwood can be used to treat patients with a number of conditions, including urticaria, atopic dermatitis, and bronchial asthma, in which an increase in histamine release occurs. Differences in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this crude drug among markets ma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quality control of this herbal medicine.

천연물로부터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제 검색 (Screening of Hyaluronidase Inhibitor in Korean Medicinal Plants)

  • 황선구;양안나;김수정;김민기;김성수;오현정;이정대;이은주;남궁우;한만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98-504
    • /
    • 2014
  • HAase는 신체의 연골, 피부, 눈의 초자체 등에 포함된 고분자 다당류의 HA를 분해하는 효소로서 상처나 염증질환 시 활성화되어 염증, 알레르기 유발과 관련된 효소이다. 본 연구는 500종 식물에서 각 종당 한 식물체로부터 한 천연물의 메탄올 추출물(500추출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기능이 다양하고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많은 HAase 저해제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 HAase 저해효과가 가장 우수한 천연물 추출물은 때죽나무 줄기 추출물 57.28%, 매화말발도리 줄기 추출물 53.5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같은 추출물들의 농도 별 저해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율이 증가하였다. 이 같은 결과로 볼 때 때죽나무, 매화말발도리 추출물은 HAase 효소의 저해효과가 우수하여 향후 HA 분해와 관련된 항염증 및 항 알레르기 연구에 이용될 수 있다.

유산균 발효를 통한 황금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증진 (Enhancement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ermented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using Lactobacillus rhamnosus)

  • 최우석;권희석;노라환;최근표;이현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3-31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소염, 항염 작용이 뛰어난 작물로 알려진 황금을 유산균인 Lactobacillus rhamnosus를 이용해 발효를 통한 황금의 추출물에 대한 추출공정별 항염증 효과 증진을 측정하였다. 추출 공정으로는 일반열수추출(WE), 일반 70% 에탄올 추출(EE), L. rhamnosus 발효 열수 추출(FWE), L. rhamnosus 발효 70% 에탄올 추출(FEE)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각각의 추출 공정별 수율 측정결과 발효 70% 에탄올 추출이 25.9%로 최대 수율을 얻었으며, 발효 열수 추출, 일반 70% 에탄올 추출, 일반 열수 추출 순으로 높은 수율을 얻었다. 추출 공정별 세포독성 측정에서 발효 황금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1.0 mg/mL일때 9.8%로 가장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일반 에탄올 추출의 경우 22.6%로 가장 높은 세포 독성을 가졌다. Hyaluronidase 저해 효과는 발효 황금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1.0 mg/mL에서 최대 46.8%의 hyaluronidase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NO 생성량 및 $PGE_2$ 생성량 측정도 1.0 mg/mL 농도의 발효 황금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36%의 최대 NO 생성량 감소 및 810 pg/mL의 낮은 $PGE_2$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황금의 항염증 관련 효과를 위한 최적 추출 공정으로는 발효를 통한 황금의 70% 에탄올 추출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에 따라 항염증 관련 생리활성 물질이 보다 더 많이 용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