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venia dulcis Thunb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헛개나무 열수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 및 간 보호 효과

  • 김성문;성주리;김진현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605-608
    • /
    • 2003
  • 헛개나무 열수 추출물은 알코올 분해 및 D-galactosamine/LPS와 $CCl_4$에 대한 간 보호에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Rat(SD)에 알코올(50%, 10 ml/kg)을 경구 투여하여 숙취를 유발한 후 헛개열매 열수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결과 혈중 알코올 농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D-galactosamine($600{\mu}g/kg$)/LPS($600{\mu}g/kg$)와 $CCl_4$(1.0ml/kg)를 처리한 후 헛개열매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간 기능 수치인 AST, ALT 및 LDH 값이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헛개나무의 Angiotensin 전환 효소 저해 및 항산화 활성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venia dulcis Thunb. Cortex Extract)

  • 이승은;방진기;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9-84
    • /
    • 2004
  • 식물 유래 기능성 식품 소재발굴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헛개나무 수피의 항고혈압, 항산화 활성과 총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헛개나무 수피 메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의 ACE 효소 저해 활성은 $4,000\;{\mu}g\;m{\ell}^{-1}$의 농도에서 각각 81.1% 및 75.8%였으며, 용매별 분획물중에서는 에테르 분획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각각 66.6% 및 75.9%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은 메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200\;{\mu}g\;m{\ell}^{-1}$의 농도에서 모두 99.5%이상의 활성을 보여 매우 우수하였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테르 분획이 90.8% 및 85.3%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RC_{50},\;30.9{\mu}g\;m{\ell}^{-1})$이 실험된 조추출물 및 분획물들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람 저밀도지단백질 (LDL)의 산화에 대해 헛개나무 수피 조추출물은 $50\;{\mu}g\;m{\ell}^{-1}$이상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25\;{\mu}g\;m{\ell}^{-1}$의 농도에서 반응 5일째까지 메탄을 추출물이 ${\alpha}-tocopherol$보다 더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총 페놀 함량은 메탄올 및 물 추출물이 7.2% 및 3.6%를,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60.8%로 조추출물 및 분획물 중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Laxative Activity of the Hot-Water Extract Mixture of Hovenia dulcis Thunb. and Phyllostachys pubescens Mazel in Chronic Constipation Model SD Rats

  • Oh, Kyo-Nyeo;Kim, Yujin;Choi, Eun Jin;Lee, Hyunmi;Hong, Ji Ae;Kim, Miri;Oh, Dool-Ri;Jung, Myung-A;Park, Ro-Dong;Kim, Seong-il;Yong, Ju-seon;Lee, Hui-Seop;Ban, SangOh;Choi, Chul-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5호
    • /
    • pp.649-661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laxative effects of hot-water extracts of Hovenia dulcis Thunb. (HD), Phyllostachys pubescens Mazel (PM), and a 2:8 mixture of both (HP) in two chronic constipation models. For the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model, animals were divided into an untreated group, negative control group (loperamide 4 mg/kg), positive control group (bisacodyl 4 mg/kg) group, and six treatment groups (HP 100 or 400, HD 50 or 100, and PM 100 or 400 mg/kg). For the low-fiber diet-induced constipation model, animals were divided into an untreated group (normal diet), negative control group (low-fiber diet), positive control group (Agio granule, 620 mg/kg), and the same treatment groups. Fecal number, weight, fecal water content, and intestinal transit ratio were higher in the groups treated with HP, HD, and PM than in the groups treated with loperamide or low-fiber diet. Thickness of colon mucosa and muscle layers were increased in the treated groups. Colon tension increased in the HP groups, and [Ca2+]i measurements using fura-2 as an indicator showed that HP inhibits ATP-mediated Ca2+ influx in IEC-18 cell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P mixture has laxative activity by increased mucin secretion and inducing contractile activity and relaxation. It may be a useful therapeutic strategy for ameliorating in chronic constipation.

산양이 헛개나무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ur Long-tailed Goral on the Germination of Hovenia dulcis Thunb.)

  • 이용욱;배창환;정동혁;정승준;정대호;이배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02-306
    • /
    • 2011
  • 2006년부터 2009년 말까지 월악산에 서식하는 산양의 겨울철 배설물을 관찰한 결과, 배설물 속에 헛개나무 종자가 포함되어 있었고, 봄철에 그 배설물에서 헛개나무 종자가 발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양이 헛개나무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동일 시기 및 장소에서 산양의 배설물 속에서 수집한 헛개나무 종자 600개와 산양이 먹지 않은 종자 600개를 포트에 심어 비교, 관찰하였다. 그 결과, 산양 배설물 속에서 추출한 헛개나무 종자는 발아율이 32.5%였으나, 산양이 먹지 않은 종자는 발아율이 0.8%로 나타났다. 산양 서식지에서 산양이 먹이원으로 섭취하는 헛개나무 종자는 산양이 서식하지 않는 지역보다 40배 정도 발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랫드를 이용한 헛개나무과병 열수추출물 투여가 운동에 의한 피로회복과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기전 규명 (The Effects of Hovenia dulcis Fruit Hot Water Extracts on Anti-fatigue and Improvement of the Exercise Performance in SD Rats)

  • 나천수;김희경;김진범;노현정;엄나나;노혜지;나대승;동미숙;홍철이
    • 약학회지
    • /
    • 제57권5호
    • /
    • pp.348-356
    • /
    • 2013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ovenia Dulcis (HD) fruit extract powder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especially exercise capacity. Forty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including normal controls, negative controls, 100 (HD-100) and 200 (HD-200) mg/kg HD fruit extract powder groups for 5-times exercises using treadmill. Normal control did not performed treadmill running but others did 5-times for 10 days. HD fruit extract powders were administrated orally one-times per day for 10 days before treadmill exercise and normal and negative controls were fed with excipient water. After 5-times exercise, blood bio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creatine phosphokinase (CK) activities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were statistically increased in negative controls than in normal controls. They were decreased in HD fruit extract powder groups, compared with negative controls.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as the effects of HD fruit extract powders on reduced tissue damages during exercise. Other measured indices did not reveal remarkable differences. All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D fruit extract powders may enhance the exercise performance by recovering the exercise-fatigue via blood lactate concentration by reducing blood LDH activity and via reduction of blood CK and AST activity.

헛개나무 열매 열수추출물 투여에 의한 생쥐의 지구력 운동 수행 능력 향상 및 피로개선 효과 (Hotwater Extract of Hovenia dulcis Peduncle Improves Exercise Performance and Anti-fatigue Effect in Mice)

  • 나천수;홍철이;나대승;김진범;윤순영;이상범;동미숙
    • 생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3-90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peduncle obtained from Hovenia dulcis Thunb (HD) which is commercially developed for the protective effect on the alcoholic hepatotoxicity, on the endurance capacity for weight loaded forced swimming mice. The swimming times to exhaustion in mice fed 100 and 200 mg/kg HD for 2 weeks were prolonged 3.6 and 3.7 fold, and for 4 weeks 1.9 and 2.7 fold compared with each vehicle control ($42.8{\pm}20.5$ min and $67.7{\pm}47.8$ min, for 2 and 4 weeks), respectively.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for ALT, AST, creatinine and BU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from HD fed or control mice. Although HD fed mice swam over 2 fold longer time than vehicle control mice at 4 weeks, blood biomarkers of physical fatigue such as glucose,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lactat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and even tended to ameliorate. Hepatic lipid peroxidation and SOD activity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in HD fed- and vehicle control exhausted swimming mice at 2 or 4 weeks. However, catalase activity in HD-fed mi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vehicle control mice.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HD improved physical fatigue and exercise performance in mice. Therefore, it has a potential for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anti-fatigue.

Neuroprotec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from Hovenia dulcis

  • Li, Gao;Min, Byung-Sun;Zheng, Chang-Ji;Lee, Joong-Ku;Oh, Sei-Ryang;Ahn, Kyung-Seop;Lee, Hyeong-Kyu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7호
    • /
    • pp.804-809
    • /
    • 2005
  • The EtOAc-soluble fraction from a methanolic extract of Hovenia dulcis Thunb. exhibited neuroprotective activity against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The neuroprotective activity-guided isolation resulted in 8 phenolic compounds (1-8), such as vanillic acid (1), ferulic acid (2), 3,5-dihydroxystilbene (3), (+)-aromadendrin (4), methyl vanillate (5), (-)-catechin (6), 2,3,4-trihydrobenzoic acid (7), and (+)-afzelechin (8). Among these, compounds 6 and 8 had a neuroprotective effect on the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HT22 cells. Furthermore, compound 6 had a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with an $IC_{50}$ value of $57.7{\mu}M$, and a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effect with an $IC_{50}$ value of $8.0{\mu}M$. Both compounds 6 and 8 had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effects with $IC_{50}$ values of $7.8{\mu}M\;and\;23.7${\mu}M$,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ounds 6 and 8 could be neuroprotectants owing to thei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헛개나무와 오리나무 추출물의 간 해독작용 및 체내 알콜 분해능 비교 (Comparison of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ing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sis $T_{HUNB}$ and Alnus japonica Steud.)

  • 안상욱;김영길;김민회;이병익;이상호;권혁일;황백;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63-268
    • /
    • 1999
  • 헛개 나무 추출물과 오리나무 추출물들이 쥐 와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체내 알콜 분해능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쥐 실험의 경우 헛개 나무가 32% 의 알콜 분해능이 증진되었으며 오리나무는 13% 정도로 나타났으며 혼합물인 경우 42% 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경우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 혼합물을 섭취한 경우 4 시간만에 음주 전 알콜 농도로 감소했으나 오리나무는 6 시간에도 0.013% 정도의 알콜이 존재했다. 또한 헛개나무는 6 간 정도 후에 정상 치로 감소된 반면 알콜만 섭취한 경우는 6 시간이 되도 0.04% 의 알콜이 존재하고 있어 이 추출물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알콜 분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의 해독 증진 및 숙취 해소 기능에서도 혼합물, 헛개 나무, 오리나무 순으로 활성이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DH 효소의 활성의 경우 혼합물의 경우 약 60% 정도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헛개 나무의 경우 35.6% 로 상승되었으며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오리나무의 경우는 약 29% 정도로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GST 활성 증진의 경우 혼합물을 1 g/L의 농도로 투여해 실험한 결과 최대 180% 의 활성 증진이 가능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비해 각 추출물들이 단독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유사한 활성 증진을 보여 혼합물의 경우 간의 해독 작용 증진에 synergy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Cathepsin 활성 저해의 경우 역시 혼합물이 55 % 이상 활성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헛개 나무가 약 40%의 억제 기능을 나타냈다. 하지만 오리나무의 경우는 28% 정도의 낮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이는 오리나무 추출물은 ADH 효소 활성 증진이나 cethepsin 효소 억제 기능이 아닌 다른 기작에 의해 알콜 분해 및 간 기능 증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측된다. 모든 경우 다 혼합물이 여러 활성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혼합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이 유용할 것으로 평가된다.

  • PDF

헛개나무의 캘러스 형성 및 multiple shoot 유기 (Callus formation and multiple shoot induction of Hovenia dulcis Thunb.)

  • 엄승희;강원희;신동용;허권;최원철;이현용;유창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7-24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 조직 배양에서 체세포배 유토 및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적절한 배지, 생장조절물질, 탄소원 그리고 배양 환경을 조사하였으며 대량 번식 시스템을 위해 체세포 배로부터 식물체로 재분화 하기전 세포 동조화와 건실한 유묘 생산에 최적인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다. 강원도 양양 헛개나무 자생지에서 채취한 종자를 배배양하여 기내 발아시킴으로 기내 식물체를 얻었으며 이를 본실험에 이용하였다. 기내 발아후 7-14일 된 식물체의 자엽과 잎 절편을NAA를 처리한 배지에 배양했을 때 callus 상태를 거치지 않고 직접 shoot가 유기되었는데 NAA 0.5mg/에서 43.6%로 형성율이 가장 높았으며 절편체 당 shoot의 수도 2.8개였다. NAA와 BA 조합처리 하였을 때 BA 0.1mg/ + NAA 1mg/에서 38.1%의 형성율을 보였으며 절편체 당 shoot의 수는 4개 이상으로 유기 되었다. 체세포배는 NAA와 2,4-D의 단독처리 또는 BA와의 조합처리에서 발생하였으며 직접 체세포배 또는 배발생 캘러스가 형성하였다. BA 0.1mg/ + 2,4-D 1mg/ 또는 BA 0.1mg/ + NAA 1mg/ 에서 발생한 배발생 캘러스의 생장과 성숙 및 발아에 최적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을 때 GA3 1mg/ 을 처리하여 배 발아를 촉진시켰으며 자엽은 발달하지 못하고 하배축이 신장하여 유근이 발생한 형태의 유묘를 생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