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530건 처리시간 0.025초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n clothing department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 장지경;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1-89
    • /
    • 2009
  •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전국의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 교육현황을 자료를 통해 조사하고, 의상과 교육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는 전국 10개교이며 학과 명칭이 다양했다. 교사의 교원자격 표시과목은 의상, 가정 등이고, 실습실은 각 학교마다 2~7개가 설치되었다. 전문교과 단위 수는 82~112단위로, 의복재료관리, 복식디자인, 서양의복구성은 10개 학교에서, 한국의복구성은 9개 학교에서 개설하였고, 홈패션, 편물, 한국무늬, 자수과목의 개설 빈도는 낮았다. 학생의 의상과 선택 동기는 대학진학 가능성이 가장 컸고 만족도는 보통이었다. 전문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었고, 이론과 실습 모두 다소 어렵고, 이론과 실습시간의 비율은 적당하다고 인식했다. 서양의복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수/편물은 폐지되기를 원했고, 패션코디가 개설되기를 희망했다. 실습시설에 대해 보통의 만족을 보였고, 현장실습은 다소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대부분 졸업 후 진학을 희망했고, 실습시설 및 기자재 확충 요구가 가장 높았다. 교사는 전문교과 교육과정에 대해 보통으로 만족하고 불만족 이유는 산업체와의 거리감 때문이 가장 많았다. 교과서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론과 실습 모두 다소 어렵게 느꼈고, 이론과 실습의 비율은 적당하고, 전문교과 교과목 수는 보통이라고 인식했다. 서양의복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수/편물 과목의 폐지를 바랬으며, 패션CAD의 개설을 희망했다. 실습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며, 현장실습의 필요성은 보통이라고 하였다. 학생의 진로로 취업보다 진학이 전망이 밝다고 인식하였고, 진학위주로 교육하고 있었다. 연수 내용으로 유행하는 패턴 연수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애로사항으로 수업 외 업무과중을 들었으며 교원 수의 증가를 원했다. 의상과 교육은 직업교육과 계속교육의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직업교육을 위해 산업체 현장실습과 같은 산학연계 등을 통해 취업에 힘쓰고 이를 위해 다양한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해 실습수업을 활성화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실적으로 대학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이 많으므로 계속교육에 대한 요구도 무시할 수 없어 동일계 전형을 통한 대학 입학도 적극 지원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의상과 전문교과의 내용수준을 교사와 학생 모두 다소 어렵게 느끼고 있으므로 교과내용 수준의 조정이 필요하며 중요도와 선호도에 따른 교과목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증원이 필요하며,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의상과는 의상전공 교사가 담당해야하며, 교사의 재교육으로 다양하고 정기적인 연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applied Problem Based Learning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김윤주;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9-56
    • /
    • 2018
  • 최근 일반교육 교육과정을 통해 장애학생의 성인생활 자립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일반교과인 가정교과는 사명지향적인 학문으로써 장애학생들의 개인생활과 가정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정교과에서 식생활 교육은 학생들의 자립성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면서 식생활 교육과 식생활 연구가 부족한 특수교육 상황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수업을 실행한 후 이 수업이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학과정에 다니는 학생 6명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이들 학생들에게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을 6차시 실행한 후 이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1~3차시 주제는 식품 선택과 보관방법이고, 4차시 주제는 샌드위치 재료를 구입하여 보관하는 것이며, 그리고 5~6차시 주제는 샌드위치를 만들어 선물하는 것이다.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PBL 적용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며 실생활에서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개발하였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업 과정과 학습 자료를 제작한 후 가정교육학 교수 1인과 특수교육 전문가인 교사 3인으로부터 선정된 문제와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의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수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는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 평가 도구, 문제해결력 관찰 평가와 학생용 자기평가 도구, 학생 수업만족도 평가지, 교사의 수업행동 평가지, 수업 관찰 일지로 구성되며 이 도구들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을 받은 6명 학생 모두가 100점 만점인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 점수에서 사전보다 사후에서 평균 30점 높아졌고 14점 만점인 문제해결력 점수는 사전보다 사후에서 평균 5점 더 높아졌다. 따라서 이 수업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효과를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지적장애 학생들은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시간에 열심히 참여하였으며 이 수업에 만족감을 느꼈다. 특수교육 전문가인 교사 3인은 이 수업에 대해서 실습을 위한 수업 준비 시간이 오래 걸린 점이 다소 아쉬웠지만 교수·학습 과정안이 타당하게 철저히 준비되었고 학생 간 상호작용이 적절하였으며 문제중심학습 수업 흐름에 맞는 진행을 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은 지적장애 학생들이 식품 선택과 보관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음식을 만드는 종합적인 식생활 기술을 습득하여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생활 관련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전국의 특수학교의 장애학생들에게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뿐만 아니라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 아동·가족생활, 자원관리 전 영역을 다루는 가정교과가 특수학교에서 정식교과로 도입되기를 제언한다.

남.여 중학생의 체형인식에 따른 외모관리 항동 비교연구 -광주시내 남.여 공학 중학생을중심으로- (A Comparison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middle school boys with girls in relation to the Perception of Body Size -Among girls and boys' middle school in Gwangju-)

  • 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9-13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남, 여 중학생의 체형인식에 딱른 외모관리 행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비교 분석하여 청소년의 긍정적인 신체이미지 형성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광주소재 남 여 공학 중학교 7곳의 2. 3학년에 재학중인 435명의 남, 여중학생이었다. 결과분석은 SPSS Package 12.0(Kr)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먼저, 남, 여중학생들은 실제체형보다 비만하게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체형보다 수척하게 인식하는 경향도 컸다. 자신의 체형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신체인식 요인과 외모관리행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남, 여 중학생 모두 비만인식에 대해 운동보다는 다이어트로 외모관리를 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것에 대한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자신의 실제체형보다 수척하게 인식하는 수척왜곡 인식집단과 정상집단의 외모관리행동을 살펴보면 남중학생은 운동관리만 하고 여중학생은 운동관리만 하지 알았다. 서로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비만왜곡인식집단은 남 여중학생 모두 다이어트관리를 하는 반면 신체보정관리나 운동관리를 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실제적으로 운동관리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해야할 집단이 다이어트에만 의존하는 경향은 시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 남 여 중학생의 왜곡된 신체인식과 외모관리행동을 바로 잡기 위해서 정규 교과목인 가정과목을 통해 표준체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자신의 실제체형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인문계와 가사.실업 전문계 고등학생의 '성공적인 노후생활 준비교육'을 위한 가정과 수업의 적용과 효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과 강의식 수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Home economic education teaching plans for students in academic and those in vocational high schools' 'Preparation for Successful aging' in the 'Family life in old age' unit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ractical problem-teaching lesson plans and instructor-l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 이종희;조병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05-124
    • /
    • 2011
  • 본 연구는 고령화사회에 대비하기 위하여 인문계와 가사 실업 전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기술 가정, 가정과학, 인간발달 수업 시간에 자신의 노후를 성공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과 강의식 수업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등학교와 가사 실업 전문계 고등학교의 정규 교과목 수업 시간에 실험집단은 실천적 문제 중심으로 총 5차시의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강의식으로 총 5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사를 분석하여 교수법의 차이, 학교계열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교수법과 학교계열에 따라 노인에 대한 이해 변인과 노후생활 준비 변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문계 고등학교 4개교, 가사 실업 전문계 고등학교 2개교를 임의표집 하여 총 41학급, 1,26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9년 10월부터~2010년 11월까지 총 9명의 교사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수업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과 통계처리는 SPSS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인문계와 가사 실업 전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노후 준비를 위한 가정과 수업을 적용한 결과, 가사 실업 전문계 보다는 인문계에서, 강의식 수업보다는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 노인에 대한 지식, 자녀로부터의 부양의식, 노후생활준비도, 노인복지서비스 필요도를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실천적 문제 중심 노후 준비 교육의 후속연구로서, 고등학생의 노후준비교육을 일반화 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학교에서 기술 가정, 가정과학, 인간발달의 정규 교과목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실시되기를 바라며, 고령화 사회에 대한 교육적 대응으로 노후생활 준비교육은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 PDF

고등학교 성교육 관련 교과 내용 분석 - SIECUS의 양성평등 관점 중심- (A Content Analysis of Sex Education in High School Textbooks Based on Gender Equality)

  • 김선옥;허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1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sex education content in high school textbooks and to suggest new guidelines for high school sex education content from a gender equality standpoint. The study analyzes sex-related content from high school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including subject areas such as Technical/Home Economics, Sciences, Physical Education, Social Studies and Moral Studies. The analysis relies on the framework of Sexuality Information and Education Council of the United States that covers 4 levels and 6 categories as well as the framework of Choi (2005) that includes 36 themes in 6 different 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ex-related textbooks are focused mainly on human development and human relations. Secondly, there is a lot of level 3 sex education content within the analyzed textbooks. Third, there are gender inequality issues in the coverage of such topics as pregnancy, contraception and sexual violence. Fourth, there are also gender inequality problems caused by content level. This study recommends that gender inequality issues be included in high school sex education guidelines in the future in order to provide improved and appropriate content for high school level sex education.

광고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환경보전 지식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the Advertisement on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 임수민;안효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451-459
    • /
    • 2016
  • This study was to develop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 as well as investigat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advertisements on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y using advisements was examined based on 24 children aged five attending a daycare center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1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i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executed 12 times (twice a week)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a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advertisements was developed and execu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environment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life theme's in the Nuri curriculum of the comparative group.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 scale (two factors, 18 items)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scale (four factors, 16 items).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were assessed by pre-tests and post-tests using the SPSS ver. 18.0 program. Results indicated that after 6 weeks appli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 as well as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This study show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청소년의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및 활용실태 (Perception and Usage of Food & Nutrition labels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이주인;김정현;정인경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9-568
    • /
    • 2008
  • Even though snacks or meals purchased by teenager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in Korea, it has not been investigated whether teenagers know and take notice of the nutrition label.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usefulness and util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labels amongst teenager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814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and were completed by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Questionnaires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labels and degree of necessity and satisfaction on food products and nutrition labels. Data was analyzed with regards to sex and school year by using a SAS package program. Significant differences of each variable were tested by using the $x^2$-test, t-test and ANOVA. Only 4.4% of participants were well informed about food and nutrition labels, while 26.0% of them did not know about it. Most of participants(78%) perceived that food and nutrition labeling system is necessary but are not satisfied with it. More of them did not check the food and nutrition label when they purchased food. Students usually checked the food and nutrition label to know about the nutritional value, and additives. The survey showed that more than three quarters of participants take notice of the food and nutrition label on products whereas only 57.7% of them knew what the food and nutrition actually meant. This study showed that most teenagers did not know the food and nutrition label, didn't have right information and didn't use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the food and nutrition label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that will help students use the nutrition label and help them choose healthy food.

  • PDF

실과의 식품영양 단원의 교사용 지침서와 실제 수업과의 비교 연구 -인천직할시 공립국민학교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tion Curriculum As a Teaching Plan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Actual Teaching Plan by teachers in Incheon. Korea)

  • 김수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7-95
    • /
    • 1993
  • 본 연구는 교육부에서 의도하는 국민학교 실과 과목의 식품영양 단원의 지침서 내용과 현장에서의 교사 수업 실태를 교육관련 전문지인 새교육, 새교실, 새수업등에 게재된 현장교사들의 지도안 내용과 인천시내 공립국민학교 교사 510명과 학생 1,7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내용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용 지침서에 제시된 교과목표 및 단원 내용과 현장 교사들의 지도안 내용은 완전일치 하였다. 2. 교육부가 제시한 수업시수가 알맞다는 응답이 4학년 88.7%, 5학년 87.4%, 6학년은 87.8%였으나 약 10%정도의 교사는 식품 영양단원에 더 시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현재의 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응답도 4학년 0.8% 5학년 2.6% 6학년 2.4%나 되었다 또한 28-38%의 교사가 실과시간을 다른시간으로 활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3번이상 다른시간으로 쓴 경우도 4학년 6.5%, 5,6학년은 11%나 되었다. 3. 교육부가 제시한 교수방법보다 다양한 교수방법이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었으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수방법은 4, 5, 6,학년 모두 설명, 발표 판서, 교과서 읽기 등이었고 실험 조사, 역할 놀이, 토의, 시범 등은 드물게, 필름이나 슬라이드, 카세트 등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용된 학습자료로는 교과서, 교사용 지침서, 학습 과제장 등이 주된것이었으며 그 이외의 자료는 극히 활용도가 미약하였다. 5. 실험 실습을 위한 실습은 전혀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었으며, 조리 실습은 학생들이 재료와 도구등을 준비(4학년 96.5%, 5학년 96.1% 6학년 95.7%)하여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기청소년의 건강한 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Healthy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Early Adolescent)

  • 윤명선;김순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07-12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early adolescents. The overall goals of the program were to not only increase knowledge and skirts, but also to improve the awareness of healthy sex in order to promote premarital abstinence, parent-teen communication and parental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prevention of sexual problems of the early adolescent. The program consisted of six sessions: puberty changes during adolescence, the meaning of sexuality, sexual drives in dating relationships, understanding of the risks associated with early sexual involvement and support for postponing sexual activities, managing and avoiding sexually risky situation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s with parents about issues related to sexuality. The program evaluation had three steps: pre-test, immediate post-test and two month follow-up post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s knowledge about sex, and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sex, particularly in the immediate post-test. At the two month follow-up assessment, the effect of the program still remained strong, though there was a sight and partial reduction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st of the program participants express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Parental involvement appeared to be effective as well.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include: to re-evaluate the curriculum for various other participants. In addition, further study which would compare post-test results of these participants with a comparison group of peers who did not receive the program would be valuable.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in implementing specific subjects (sessions) in new settings, as well as implementing the entire package of the program.

  • PDF

고등학교 학생들의 저탄소 녹색성장 인식과 친환경 의생활 태도 (High school students' Low-carbon green growth awareness and Eco-friendly Clothing attitudes)

  • 전윤희;구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1호
    • /
    • pp.42-63
    • /
    • 2013
  • The attitude of Eco-friendly clothing is based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Low-carbon green growth awareness. It can be developed through our education. I studied and analyzed the survey which targeted on highschool students whether the recognition of low-carbon green growth can be effected to the eco-friendly clothing attitude or not, and school education effect. The research shows the green growth recognition affects significantly to the eco-friendly clothing attitude. Also the study proves the education of green growth awareness and the eco-friendly clothing attitude informs the realizations of environmental and green growth concepts. The education of clothing habits affects our eco-friendly clothing attitude. Therefore this education is necessary for school curriculum and it must be expanded in any areas both in 'environment and green growth' course and 'home economics' courses in secondary education. The education of Eco-friendly clothing habit should be keep researched specifically and develop further and fur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