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513건 처리시간 0.018초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가정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체제 및 구조 개선 연구

  • 김경애;윤인경;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5-79
    • /
    • 1996
  • This study proposes a model curriculum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in the 7th Curriculum Revision. The model in the study is first drawn from the assumptions that reflect ever changing demands of industrial society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other perspective employed in the study is historical analysis that focuses on the evolution of the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a from the 1st through the 6th revision. This study also employes comparative research tools for the national level comparison such as USA, Japan, Taiwan, and Korea. The proposed model curriculum in this study is concluded from those step-by-step studies as follows:1) Problem definition and design in current curriculum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2) Needs and roles analysi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for the future; and 3)Historical analysis of our curriculum revisions in the past and coparative analysis with other countries. Authors conducted this research project for 3 month period from June 15, 1996 to September 15, 1996. During this period, authors collected the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those method a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and curriculum specialist conference. The key and critical features of the proposed curriculum in the study are as follows:1) In the numbers of department, a proposed model curriculum offers 8 as opposed to 6 in the 6th revision, reflecting two additional departments of “Elderly Welfare”and “Cosmotology”. 2) In the stat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 model curriculum emphasizes a more concrete statement to each specific skills according to the changing societal needs. 3) In the numbers of total subject matters, there would be 40 in the new as opposed to 23 in the current curriculum. Among these changes, 17 would occurr in the newly introduced subject matters, while 11 would simply change the subject matter name. Among 40 subject matter, “Introduction to Computer” and “Home Economics in Vocational Education”would be required subject matter. 4) In the total numbers of required unit for graduation in three years, a model offers 86∼132 unit. A maximum unit for each subject matter would be 12.

  • PDF

Habermas의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Dietary Lif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ome Economics that Integrated Habermas's Three Systems of Action)

  • 최성연;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39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가정교과에서의 융합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문헌 고찰을 통해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식생활 교육과정의 특징, 개발의 중점사항, 핵심역량, 목표를 도출하였고, 국내외 식생활교육 문헌, 국내외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찰하여 항구적 문제와 하위 실천적 문제를 설정하고,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가 타당한지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하여 수정·보완하였고,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되어있으며, 항구적 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이 교육과정의 영역은 5가지로 '건강과 식생활', '식단계획', '식품 구매와 관리', '조리', '식사'이며, 이 영역이 '개인과 가족', '사회'로 교육과정의 범위가 반복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5개 영역의 실천적 문제는 초·중·고등학교 급별, 두 차원(개인과 가족, 사회)으로 10개씩의 실천적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열화의 원리가 적용되어 실천적 문제와 내용 요소가 나선형적 계열화가 되어있다. 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우리나라 2015 초등학교 실과와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가정과학 교육과정의 식생활 영역 성취기준 및 학습 요소와 비교한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면서 더 추가된 내용이 있었다.

국민학교 가정과 교과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Subject Educa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Elementary School)

  • 전정희;김용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7-99
    • /
    • 1989
  • This paper is aimed to improve the current curriculum in the Korean elementary school’s practical course, which covers both industrial fields and Home Economics. Specially inveotigated here are teacher’s attitude toward the practical course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eaching each content of the practical course in the 4th and 5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erm’s of teacher’s sex and localing. Since two heterogeneous subjects, industrial fie인 and Home Economics, are integrated into one subject named the practical course, the teaching of the practical course is not specialized. Besides, the teaching is implemented inefficiently, owing to the teacher’s mis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course. In this respect, as a way of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course in elementary school, the authors suggest some proposals. (1) The curriculum of practical course should be divided into two course, industrial fields and Home Economics (2) All students should be completed Home Economics as a required course (3) A system of full-time teacher for Home Economics subject should be introduced. Concurrently, the curriculum of the practical course in Teacher’s College be modified.

  • PDF

가사$\cdot$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활설화 방안 (Activation Plan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Education)

  • 윤인경;김선태;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07-12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사 $\cdot$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현행 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주로 문헌분석, 설문조사, 면담조사가 활용되었으며 설문조사는 교사용과 학생용을 개발 $\cdot$ 실시하였으며, 결과 분석에는 통계 패키지 SPSS ver10 을 적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추진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사 $\cdot$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가사 $\cdot$ 실업계 분야 직업교육과 관련되는 사회 경제적 변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한 가사 $\cdot$ 실업계 교육의 변화. 외국의 가정계 직업교육 동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가사 $\cdot$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실태 분석을 위하여 학교 및 학생 현황과 가사 $\cdot$ 실업계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가사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의 주요 내용은 학교 교육과정 운영 전반과 학교 생활에 대한 만족도 등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가사 $\cdot$ 실업계고등학교 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운영체제(3개항). 교육과정 운영(5개항) 교원의 확보 및 전문성 제고(4개항), 행 $\cdot$ 재정적 측면(3개항)으로 구분하여 총 15개항을 제시하였다.

  • PDF

가정과교육에서 "나와 가족생활"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체계 연구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Systemization of Contents for 'Family Life' Area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9-95
    • /
    • 2006
  • 이 연구는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적 체계를 틀로 하고 선행 연구와 교육과정 동향의 분석, 교육내용 요구조사를 고려하여 $\ulcorner$나와 가족생활$\lrcorner$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체계를 구안하였다. 개발된 시안은 전문가 협의와 워크숍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보완하여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ulcorner$나와 가족생활$\lrcorner$ 영역의 교육목표는 '나와 가족생활을 개인과 가족, 사회, 문화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나와 가족생활 중에 일어나는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여 건강한 가족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내용체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PDF

가정과 교사의 중.고등학교 가정관리 교육내용에 대한 수업요구도와 관련변수에 관한 연구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Home Management Perceived by Secondary Home Economics Teachers)

  • 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1-95
    • /
    • 1995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1)determine important home management concepts in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2)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home management perceiv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3) use the findings to make recommendations for developing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aching home economics in the secondary school.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385 home economics teachers, lived in seoul, local cities and rural a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with scheffe 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ty home management concep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lated literatures. Resource use, environmental concerns, consumer rights and consumer problems were the concepts which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al needs perceived by the teachers. The educational needs were affected by school level, residence area of the respondents, age, career, and other factors related to the perception about home management education.

  • PDF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서의 가족생활 영역 분석 (Analysis of Family Life Par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 최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25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of family life in the 7th curriculum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policy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further revision. For this purpose, 10 different textbooks prepared for 7th Curriculum and published in 2001 were examined and obtained the following major findings 1. It was gradually strengthened that the part of family life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2. The part of family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a in middle school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tried to adapt diverse learning programs and many fixtures were included to improve its learning efficiency. 3. Since the contents of family life par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consisted of practically and empirically appliable. it must be suite useful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 PDF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조사연구 (A Study on the Preservice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of Home Economics)

  • 김갑영;김경애;이전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1-69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rivce curriculum and present it as a material for planning of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For this study, the preservice curriculum of 5 areas were collect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eachers who were being trained at these areas. Most of the teachers contented with the numbers of literal art subjects and educational subjects and the prescribed hours of them. More than a half numbers of teachers unsatisfied with the numbers of Home Economics subjects and the prescribed hours of them. They wanted that they could take the more Home Economics courses. The proportion on the lab courses hours are 33% of the hours of the total Home Economics ones.

  • PDF

중학생의 가정과교육 학습요구도 및 가정생활참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Needs for Home Economics Curriculum Education and the Family Life Participation)

  • 김경숙;박미금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7-78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find middle school student's needs for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he family life participation. The samples are 323 middle school students in Kangneu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follows; 1. It is shown that the family life participation of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2. Variables that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needs for Home Economics curriculum are needs for Home Economics, number of brothers and sisters and the age for mother. 3. Variables that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the family life participation are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the clothing, participation in class of Home Economics, perception of life status and sex. 4.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family life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explan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 is 12.2%. Adding the variable of Home Economics course, the degree of explanation is increased to 21.8%(deviation 9.6%). Adding the variable of needs for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degree of explanation is increased to 33.1% (deviation 11.3%).

  • PDF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한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 (Analysis of Eco-Citizenship Contents Elements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the Introduc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 조성미;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0
    • /
    • 2023
  •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해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에서 활용하고 있는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현직 중학교 가정과 교사 6인에게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S-CVI 값이 0.97로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가정과 교과서에서 추출한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242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영역에 따른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는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 가장 많았고, '자원 관리와 자립' 영역,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태시민성 요소의 범주에 따라서는 가치⋅태도, 과정⋅기능, 지식⋅이해 범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구성 체계별로는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가 그림, 본문, 활동, 보충 자료의 순으로 추출되었고, 출판사에 따라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의 수가 차이가 크게 나타나 교과서 집필진의 인식이나 해석, 집필 방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교과의 생태전환 교육 도입을 위한 생태시민성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생태전환교육이라는 교육과정의 새로운 지향점에 부합하는 생태시민성 교육을 가정교과에서 실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히는 동시에 가정교과에서의 생태시민성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