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Definition video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45초

장면단위 색채 항상성과 변형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법을 이용한 고선명 동영상의 화질 향상 방법 (High-definition Video Enhancement Using Color Constancy Based on Scene Unit and Modified Histogram Equalization)

  • 조동찬;강형섭;김회율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68-379
    • /
    • 2010
  • 고선명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방면에서 좀 더 선명하고 큰 영상을 보고 촬영하려는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선명 동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절한 화질 향상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선명 동영상의 색상과 명암 대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고선명 동영상에서 처리 속도를 높이면서 효과적으로 화질 향상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고선명 동영상을 축소시킨 동영상에서 화질 향상 방법에 필요한 변수를 추출해낸다. 고선명 동영상의 색상을 향상시키기 위해 색채 항상성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장면별로 동일한 변환값이 적용되도록 동영상을 컷 탐지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장면마다 동일한 변환값을 계산하여 적용한다. 고선명 동영상의 명암대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원본 영상과 히스토그램 평활화 영상의 조합을 사용하였고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해 히스토그램 순위 기반 방식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선명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캠코더를 이용하여 촬영한 실험 영상으로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영상기기의 프로파일 분석 기반 패턴추적에 의한 비디오 프레임의 위변조탐지 (Automatic Detection of Forgery in Video Frames using Analysis of Imaging Device Profile based Pattern Trace)

  • 심재연;천인혁;김성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24-1027
    • /
    • 2011
  • 본 논문은 HD (High-definition) video, SD (Standard-definition) video, low quality video, handset video, 4 가지 Imaging Device 에 대한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비디오 프레임 상에 나타나는 위 변조를 검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High-definition video, Standard-definition video, low quality video, handset video 에 대한 분석을 하고 각 영상의 특이 점을 파악 하여 분류한 클래스에 대한 프로파일검사를 통해 EM Algorithm 을 이용하여 영상의 위 변조를 검사 하고 영상의 신뢰성을 높인다.

디지털 후반작업에서 고화질 영상표현을 위한 색보정(color correction)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n color correction for high-definition video in digital post-production)

  • 오문석;원종욱;이윤상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67-175
    • /
    • 2013
  • This study is the process of making high-definition TV broadcast color correction affects the end result comparison is focus on implement through study.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impact on the color Correction in the video as an study for UHD, 4K, 6K video production workflow improvement of an effective program in the present and time and cost in the post production process, color correction for the final video through the production and overcome the failure of further in-efficient color correction study will help you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is the color changes over the course of the final video to see how much influence color correction of post-production. Color correction using a program of courses in Visual quality, regularly presented the possibility to retain and make on high definition video production post-production process for color correction method is utilized as the basis of study.

테이프리스 기반의 HD포맷 편집에 관한 연구 -PMW-EX3와 Avid Media Composer를 이용한 영상편집 중심으로- (A Study on Tapeless HD Format Editing -Focus on video editing using PMW-EX3 and Avid Media Composer-)

  • 박성대;한수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61-468
    • /
    • 2009
  • 아날로그방송에서 디지털방송의 전환은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흐름으로, 국내는 2013년도 100%의 디지털방송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 방송의 중심역할을 하는 HD(High Definition) 영상포맷은 방송 및 영화분야에서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캠코더 및 편집시스템들은 빠르게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되어 현재 SD(Standard Definition)포맷 뿐 만 아니라 HD포맷 및 2K, 4K 등 다양한 영상포맷으로의 촬영 및 편집을 지원하고 있다. 오늘날까지 촬영단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테이프 방식의 영상 저장시스템은 점차적으로 테이프 없이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프리스 시스템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테이프리스 캠코더인 Sony PMW-EX3로 촬영된 HD포맷의 영상압축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비선형 편집 시스템인 Avid Media Composer에서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UHD(Ultra High Definition)영상기술이 다큐멘터리 제작과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UHD(Ultra High Definition) Video Technology on the Documentary Production Process)

  • 전민규;최원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13-515
    • /
    • 2014
  • 차세대 영상기술인 Ultra High Definition(이후 UHD)는 보다 높은 임장감을 향해온 제작자와 수용자의 오랜 요구 속에서 태동했다. 역사를 통해 입증되듯이 매체의 변화는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과 구체적인 콘텐츠의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UHD의 등장도 독자적인 제작기술이 요구되리라 예상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상콘텐츠 가운데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UHD영상기술에 따른 제작과정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보다 세부적으로 고해상도, 확장된 화면 등의 UHD영상기술이 다큐멘터리 영상제작에서 가져올 변화와 사실성의 전달이라는 다큐멘터리와의 합목적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문제점으로 예상되는 촬영소재의 선택, 방대해진 데이터에 따른 백업과 후반작업 상에서의 개선점에 대해서도 탐구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계획을 통해 다큐멘터리 제작에서의 UHD영상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발전적 측면을 도출하여 기술의 발전에 따른 콘텐츠 제작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프로그래머블 멀티 포맷 비디오 디코더 (A Programmable Multi-Format Video Decoder)

  • 김재현;박구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963-96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최신 압축 표준인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를 포함한 다양한 비디오 압축 표준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멀티 포맷 복호기(Multi-Format video Decoder: MFD)를 제안한다. 제안한 MFD는 DTV(Digital Tele-Vision) SoC(System on Chip)에 필요한 고사양의 FHD(Full High Definition) 비디오 복호기를 목표로 하였다. 다양한 동영상 압축 표준과 방대한 연산 능력을 지원하기 위하여 제안된 플랫폼에서는 재구성형 프로세서(reconfigurable processor)와 하드웨어 가속기의 하이브리드 구조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HEVC로 압축된 초당 30장의 FHD 영상을 300MHz에서 디코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UHD급 영상패턴 제어를 위한 전송선로의 신호 왜곡현상 분석 (Analysis of Signal Distortion for Ultra High Definition Video Pattern Control)

  • 손희배;진종호;이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197-1205
    • /
    • 2014
  • 최근 초고화질(4K-UHD) 영상 시스템의 신호전송은 비압축 고속 데이터로 전송되며 고속 신호의 인터페이스 구간에 서로 다른 케이블 사이에서 나타나는 EMI, 스큐(skew) 문제로 인하여 영상신호의 왜곡, 지터 등으로 시스템 구현에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비압축 고속 데이터를 고속전송하기 위하여 V-by-One HS 인터페이스 기법을 적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고속 영상신호에 대하여 HSD(High Speed Differential) 전송선로의 신호무결성을 분석하였다. UHD 영상패턴 제어 인터페이스의 PCB 설계 방법을 RF 전송기법으로 적용하였으며 구현된 4K-UHD급 영상패턴 제어 신호발생기의 V-by-One HS 영상신호를 측정한 결과, 전송품질이 고속전송신호규격에 만족함을 보였다.

고화질 비디오의 부호화 효율성 증대와 연산 복잡도 감소를 위한 디블록킹 필터 (De-blocking Filter for Improvement of Coding Efficiency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Reduction on High Definition Video Coding)

  • 정광수;남정학;조현호;심동규;오승준;정세윤;최진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13-52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고화질 비디오의 부호화 효율성 증대를 위한 저 복잡도의 디블록킹 필터를 제안한다. 최근 고해상도 고화질 영상의 사용 증대로 인해 고화질 비디오의 부호화에 적합한 비디오 코덱 알고리즘 연구가 최신 비디오 압축 표준인 H.264/AVC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H.264/AVC의 디블록킹 필터는 낮은 비트율의 비디오 부호화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양자화에 의해 발생하는 블록경계 왜곡을 제거하여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부호화 효율을 높인다. 그러나 고화질 비디오의 부호화에서는 부호화 후 복원된 영상 내에 블록화 현상이 약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강한 세기의 필터가 적용되는 H.264/AVC의 디블록킹 필터가 적합하지 않다. 또한, 디블록킹 필터는 높은 연산 복잡도 때문에 복호화기에서 높은 비중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제안하는 저 복잡도의 디블록킹 필터는 고화질 비디오의 부호화에서 기존의 방법보다 최대 7.3% 의 부호화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최대 8.8%의 복호화 연산 복잡도 감소를 보인다.

HEVC 기반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의 개요 및 성능 분석 (Overview and Performance analysis of the HEVC based Scalable Video Coding)

  • 최진혁;최해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0-192
    • /
    • 2013
  • 최근 HD(High Definition)화질 및 UHD(Ultra High Definition)화질과 같은 고품질 방송 서비스가 등장하고,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존재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고해상도 영상을 고품질로 사용하기를 원하고 있다. 따라서 스케일러빌러티의 현실적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ISO/IEC의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와 ITU-T의 VCEG(Video Coding Experts Group)이 공동으로 결성한 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JCT-VC)에 의해 시간, 공간, 화질 등이 확장성을 제공하는 Scalable Video Coding(SVC)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공간적, 시간적, 화질적 스케일러빌러티(Scalability)를 제공하기 위한 SHVC의 표준 기술들에 대해 설명하고, 기존 단일 계층 부호화 방식(Single Video Coding)으로 서로 다른 해상도의영상을 Simulcast부호화한 결과와 비교하여 SHVC의 부호화한 결과와 비교하여 SHVC의 보호화 효율에 대한 성능을 분석 하였다.

  • PDF

A Parallelization Technique with Integrated Multi-Threading for Video Decoding on Multi-core Systems

  • Hong, Jung-Hyun;Kim, Won-Jin;Chung, Ki-Seo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10호
    • /
    • pp.2479-2496
    • /
    • 2013
  • Increasing demand for Full High-Definition (FHD) video and Ultra High-Definition (UHD) video services has led to active research on high speed video processing. Widespread deployment of multi-core systems has accelerated studies on high resolution video processing based on parallelization of multimedia software. Even if parallelization of a specific decoding step may improve decoding performance partially, such partial parallelization may not result in sufficient performance improvement. Particularly, entropy decoding has often been considered separately from other decoding steps since the entropy decoding step could not be parallelized easi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parallelization technique called Integrated Multi-Threaded Parallelization (IMTP) which takes parallelization of the entropy decoding step, with other decoding steps, into consideration in an integrated fashion. We used the Simultaneous Multi-Threading (SMT) technique with appropriate thread scheduling techniques to achieve the best performance for the entire decoding step. The speedup of the proposed IMTP method is up to 3.35 times faster with respect to the entire decoding time over a conventional decoding technique for H.264/AVC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