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검색결과 783건 처리시간 0.019초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Inquiry Mentoring' Program)

  • 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300-1311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탐구지도능력 향상을 위해 개발된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예비 과학교사들이 고등학생들의 탐구를 지도하는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은 2.5개월 동안 적용되었는데, 45명의 예비 과학교사가 참여하여 고등학생 44명의 탐구를 지도하였다. '탐구 멘토링' 과정 동안 예비 과학교사들은 멘토 일지를 작성하였고, '탐구 멘토링'이 끝난 이후에 멘토링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또한 멘토링 과정 중과 멘토링이 모두 끝난 이후에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학생들에 의한 어려움인 '멘티' 요인보다 자신들의 부족함에 의한 어려움인 '멘토' 요인이 더 컸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멘토' 요인인 인지적 능력의 부족, 탐구 능력의 부족, 지도 능력의 부족 등에서 고르게 자신의 부족함을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멘티' 요인에 의한 어려움에서는 학생들의 차이, 적극성 및 열의의 부족 등에 의하여 어려웠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상호작용' 요인에 의한 어려움에서는 물리적인 거리에 의한 어려움이 많았고, 감정적인 거리에 의한 어려움도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지도의 범위를 선정하기 어려웠다는 의견과 온라인 상호작용에 의한 어려움도 제시되었다. 다섯째, '환경'요인으로 학생들의 탐구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원체제에 대한 아쉬움이 많이 표현되었다. 아울러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학교 급별에 효과적인 계절별 별자리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Effective Seasonal Constellation Experiment according to School Level)

  • 한제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67-27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계절별 별자리 실험에 대해 알아보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계절별 별자리 실험이 무엇인지 연구하는데 있다. 초등 예비교사 24명과 함께 계절별 별자리 실험을 정리하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실험이 무엇인지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역할놀이를 통한 직접적인 체험활동을 통한 별자리 학습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중·고등학교에서는 stellariu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실적으로 계절별 별자리의 변화를 관찰하고 추리해보는 활동을 효과적인 실험으로 선택하였다. 예비교사는 초등학교에서는 직접적인 체험과 구체적인 조작활동이 강조되는 실험을, 중·고등학교에서는 사실적인 자연현상의 관찰과 이를 통한 추리 활동이 강조되는 실험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중등학교 여교사의 가공식품의 식품표시 이용실태 및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Utilization of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of Processed Foods and Awareness on Nutrition Labeling among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 김향숙;임현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65-774
    • /
    • 1998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nutriton labeling and consumer education about food label by offereing basic information. Survey was carried out by questionnaire method. Subject groups were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teachers and they were asked questions about their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their awareness of the nutrition labeling and its necessity, and their acceptance of the future enforcement of nutrition labeling syste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00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in Chungbuk and Kyoggi area. Out of 340 reports(68%) collected, 311 reports(91.5%) were analyzed using SAS computer program. Most of the respondents payed much attention to the labels of the food at the time of purchase,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in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was low. Concerning the awareness on nutrition labeling, Home Economics teachers knew better than non-Home Economics whether there were the regulations of nutrition labeling in Korea or not. Ninety-six percent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nutrition labeling is necessary. Home Economics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nutrition labeling more strongly than non-Home Economics teachers. Sixty eight percent of the respon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 to the actuation of nutrition labeling.

  • PDF

물리학에서 이론적 설명과 실험에 포함된 이상조건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교사의 이해 조사 IV-실험에 포함된 이상조건을 중심으로- (A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Ideal Conditions Involved in the Theoretical Explanation and Experiment in Physics: Part IV- Focused on the Ideal Condition Involved in the Experiment -)

  • 박종원;정병훈;권성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8-9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실험에 포함된 이상조건의 이해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실제 실험 상황에는 어떠한 이상조건이 포함 되어 있다고 생각하는가? (2) 실험에 포함된 이상조건들이 실제 실험에서 얼마나 만족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 (3) 실험에 포함된 이상조건들이 실험 결과에 얼 마나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가 ? (4) 교사들은 실험에 포함된 이상조건에 대해 일반적으로 어떠한 관점을 가지고 있는가 ? 연구질문 1, 2, 3을 위해서 6개의 설문을 개발하여 총 85명의 고등학생과 과학교사에게 직접 실험과 함께 제시하여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연구질문 4를 위해서 과학교사 42명을 대상으로 4개의 설문을 개발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응답결과는 연구 질문에 따라 분류되어 요약 제시되었으며, 물리 실험 지도를 위한 시사점 추출을 위해 사용되었다.

  • PDF

용해 현상에 대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 분석 및 지도 실태 (A Textbook Analysis and Teaching Practices on Dissolution in Elementary School)

  • 강대훈;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2호
    • /
    • pp.138-148
    • /
    • 2003
  •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explain dissolution and to examine th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s on dissolution and the teaching practices on dissolu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textbook analysis, the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didn't explain dissolution very differently from those based on the 6th curriculum. The contents dealing with dissolution in the textbooks of 7th curriculum became difficult gradually as the year went up, but the connected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made students learn it easily. For example, in order to learn dissolution introduced first in the 3rd year 2nd semester textbook, students would tell soluble substance in water from insoluble substance in water as they put powdered substance in water. In the 5th year 1st semester textbook students were supposed to acquire the knowledge related to dissolution through the designed activities such as comparing solubility produced by different solvents and defining a solvent, a solute, dissolution, and a solution. In addition, teachers' guide for 5th year 1st semester textbook elucidated the principle of dissolution using attraction concept that was scientific.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eachers showed that 90%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ood the dissolution of salt in water just as millet particles' filling the space between bean particles and they responded that they demonstrated millet particles' filling the space between been particles when they taught the dissolution of salt in water. When it comes to teachers who had the right idea on dissolution as the attraction conception, understanding was one thing and teaching was another, because they often instructed dissolution as the space conception in the real teaching.

  • PDF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Ways to Restructure Science Convergence Elective Courses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12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앞두고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의 재구조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경우 비(非)이공계열 진로적성을 지닌 소위 문과계열의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비이공계열 진로적성을 지닌 학생들을 위한 과학과 선택과목이었던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을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실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교사 12명과의 면담을 통해 이들 선택과목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 과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으로 분류, 개정될 예정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등학생들은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을 교양 과학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흥미와 노력 부족, 학습내용 자체의 어려움 등으로 이들 과목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 과목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학생들은 주로 생활과과학을 선택하며, 과학사 과목의 경우 내용이 어려워서 교사도 학생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융합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을 간학문적인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내용접근성이 높은 융합선택과목 개발, 인공지능(AI)이나 첨단과학 관련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융합선택과목 개발, 모듈단위로 구성된 융합선택과목 개발, 간학문적 융합선택과목을 지도할 수 있는 과학교사 전문성 개발지원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Verbal Aggression Against Teacher and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Pain

  • Ceballos, Albanita G.C.;Carvalho, Fernando 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2호
    • /
    • pp.187-192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erbal aggression against school teachers and upper extremity (neck, shoulder, upper limb, and/or upper back) musculoskeletal pain.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of 525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Jaboatão dos Guararapes, Northeast Brazil. Results: The prevalence of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pain among teachers who reported verbal aggression in the past six months (67.7%) was higher than that among those who did not report verbal aggression (51.7%): (prevalence ratio = 1.21; 95% confidence interval = 1.04-1.40). The prevalence of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pain was associated with verbal aggression, sex, and common mental disorders, controlled by skin color, age, monthly income, teachers' education, years working as a teacher, workload, and obesity. Furthermore, the measure of the association between verbal aggression and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pain was modified by sex and common mental disorders, considered altogether. Teachers who suffered verbal aggression, of the feminine sex, and also having common mental disorders reported high prevalence (85.4%) of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pain. Conclusion: The association between verbal violence in the school and complaints of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pain was strong and modified by teachers' sex and common mental disorders.

중.고등학생을 위한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야외 활동 지도 방안 (Development of Geological Field Courses and Field Activitie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 박진홍;정진우;조규성;이병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21
    • /
    • 2000
  • 야외 학습의 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중 고등학교에서는 야외 지질 활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최근에 지질 답사 지역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 지질학적 층서에 관한 서술적 설명으로 기재되어 있어 중 고등학생들에게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전문적인 내용보다는 지구과학 교사가 손쉽게 학생들을 데리고 야외로 나갈 수 있는 야외 학습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을 위한 야외 지질 학습장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전략을 제시하여 일선 지구과학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생명 현상을 보는 관점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Views on Life Phenomenon)

  • 이소희;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108-11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iews of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in relation to life phenomenon. Students seemed to strongly agree with the notion of vitalism as well as with organicism. However they clearly disagreed with the notion of mechanism. Contrary to our supposition, their viewpoints on lift phenomenon were highly affected by their relativ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subject areas, rather than by their religious affiliations. One possible explanation for this outcome is that elementary schoolers have not firmly established religious views, though they might indeed have a religious affiliation. High-achieving children in science subject areas seemed to agree with both vitalism and organicism (p<.01), and it is suggested that those students must have had more opportunities to encounter related cases in modem science or life ethics. Teachers agreed with all three views, showing the highest rate of approval in organicism. Though they appeared to agree with mechanism, they were strongly opposed to radical mechanism generally arguing that 'organism and machines were essentially the same'. Student responses indicated that TV had a bigger influence on their viewpoint on life phenomenon than teachers did. This means that children held certain views about the relative significance and influences of teachers vis-a-vis TV in daily life, and is also reflective of a perception amongst students that teachers do not how the significance of viewpoints on lift phenomenon.

  • PDF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의 탐구수업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Environmental Factors of Inquiry Instruction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이현욱;심규철;여성희;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43-450
    • /
    • 1998
  •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탐구수업 환경 요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는 근무 여건, 탐구수업 환경 요인, 탐구수업 장애 및 개선 요인 등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간의 근무 여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탐구수업 환경 요인에는 '시설 및 장학지원', '업무량과 학습자료', '교사교육과 교과서', '탐구에 대한 지식과 실천', '필요성 인식과 교사의 만족도' 등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은 '필요성 인식과 만족도'를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 대해 탐구수업을 실시하기에 부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생각하였다. 탐구수업의 장애 및 개선 요인으로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다인수 학급', '교과서', '학습 자료'를 우선으로 생각하였으며,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은 '다인수 학급'과 '입시제도'를 우선으로 생각하였다. 중 고등학교 과학 탐구수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탐구 학습자료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업무량 및 심리적 부담을 감소시키고, 교사 교육의 체계적인 재조직 및 강화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