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lp Seeking Intent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자기효능감 및 교실맥락, 도움회피 태도가 초등학생의 도움요청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s' Self Efficacy, Classroom Contextual Characteristics and Help-avoidance Attitudes on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 이희주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09-220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self efficacy, classroom contextual characteristics and help-avoidance attitudes on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Participants were 210 4th grad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PSSWIN 12.0.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self efficacy, perception of teacher behavior and goal orienta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help-seeking behaviors. Help-avoidance attitud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help-seeking behaviors. Cognitive efficacy and social-emotional efficacy facilitated help-seeking behaviors. Help-seeking behaviors were influenced by teacher's supportive help and expectation. Mastery goal orientations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s promoted help-seeking behaviors but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s impeded help-seeking behaviors. Autonomous intention attitudes expedited help-seeking behaviors but intention based on ability diminished help-seeking behaviors.

  • PDF

여대생의 도움추구 행위, 자기개방성 및 자기은폐 간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Help Seeking Behaviors, Self-disclosure and Self-consealment in Female College Women)

  • 박정언;박은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47-58
    • /
    • 2016
  • The college students were faced with not just technical challenges that require skill acquisition but adaptive challenges that require transforming one's mindset to a more complex way of making mea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firmed the relations among the help-seeking behavior, self-disclosure and self-concealment of 343 female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positive help seeking attitude was higher when the level of self-concealment was lower and self-disclosure, but regarding help-seeking intention, consultation intention was shown to be higher in the case of lower self-disclosure and higher self-concealment. Therefore, female college students need to visit college consultation centers more often while attending college and it needs to provide those students with mediation so that they can use mental health consultation services easily.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 노인의 우울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도움요청의도 (Depression Health Literacy and Help-seeking Intention of the Aged Receiving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 오두남;이지윤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6-28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levels of both mental health literacy of depression and intention of help-seeking, and then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them in Korean older adult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cross-sectional survey were 395 persons over 65 years old receiving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at Chungnam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by visiting nurses in 2011. Results: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ith depression was 61.8% ($6.7{\pm}3.6$). 78.2% of subjects appeared to have help-seeking intention for solving depression. The proportions of participants with ability to recognize depression was 69.1%. Although the level about knowledge and belief in self-help interventions were varied according to questionnaires, subjects understood self-help intervention of smoking accurately (86.3%) and physical activity (85.5%). Ability to recognize depression, knowledge and belief about self-help managements, and opinion of medication for treatment among health literacy variable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related to help-seeking intention. In addition, women, visual impairment, and lower depression scores were related to help-seeking intention. Conclusion: Results demonstrate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depression health literacy to manage effectively depression of vulnerable elderly in communitie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in developing mental health literacy programs.

여성선수의 운동부 내 폭력 피해경험과 우울, 운동지속의사의 관계에서 도움요청(Help-Seeking)의 완충효과 (A Moderating Effect of Help-See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in sports, Depression, and Intention to Sport Continuance among Female Athletes)

  • 김재엽;이진석;최선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59-87
    • /
    • 2012
  • 본 연구는 여성 운동선수의 운동부 내 폭력 피해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도움요청 경험유무에 따라 운동부 내 폭력, 우울, 운동지속의사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 고등학교 및 대학의 운동부와 국가대표팀, 실업팀, 프로팀에 속해 있는 여성 운동선수 총 34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변수 간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도움요청의 완충효과 검증을 위해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운동부 내 폭력피해경험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증가하고 운동지속의사는 저감되며,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운동지속의사가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나 운동부 내 폭력피해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이 우울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다집단 분석을 통해 도움 요청을 하는 집단과 도움 요청이 없는 집단의 인과경로를 살펴본 결과, 도움요청을 하는 집단의 경우 운동부 내 폭력 피해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인과경로 상 도움요청이 없는 집단과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도움 요청이 운동부 내 폭력 피해와 우울의 경로에서 완충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운동부 내 폭력피해로 인한 운동중도탈락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Mental Health Services for Mental Wellness)

  • 선혜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51-261
    • /
    • 2021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과 응답자의 특성 요인들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정신건강에 대한 지식수준, 주관적 규범, 도움추구 태도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이 응답자의 도움 추구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규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태도가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명되었다. 이 요인들의 도움 추구 의도에 대한 영향력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 도움추구 태도, 주관적 규범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의도의 예측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정신건강 증진 및 인식 캠페인 실행시 메시지 개발에 도움이 되는 함의를 제공하였다.

Investigating Antecedents of Instagram Attachment and Intention to Post Photos on Instagram

  • Wallace, Racheal Zara;Jun, Soo-Hyun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1호
    • /
    • pp.217-234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the social-psychological motivations to use Instagram (i.e., identity seeking, social interaction)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on personal attachment to Instagram and intention to post photos on Instagram. Identity seeking, social interaction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i.e., grandiose/exhibi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ersonal attachment to Instagram. Identity seeking and social interac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ntention to post photos on Instagram. However, narcissistic personality had no effect on the intention to post photos on Instagram. The study results support the theory of the extended-self in the digital context. This study also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help organizations understand why people use Instagram as well as how to take advantage of Instagram to enhance their services and consumer experiences.

저소득층의 디스트레스에 따른 전문가 도움추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인지 요인들의 관계구조 탐색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Personal and Social Cognitive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Help-seeking Decisions for Distress among People in Low-income)

  • 박선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2호
    • /
    • pp.85-112
    • /
    • 2015
  • 이 연구는 저소득층이 디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사회복지사를 비롯한 전문가로부터 도움을 추구하고자 결정하는 데 기여하는 개인 및 사회인지 요인들의 구조를 살펴보고 보다 적절한 모형을 선정하여 사회복지실천에 유용한 지식을 얻고자 하였다. 편의표집에 의한 저소득층 331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계획행동이론(TPB)을 응용한 기본모형과 확장된 모형 두 단계로 분석하였다. 우선 TPB 기본모형의 분석을 통해 사회인식을 반영하는 주관적 규범, 도움추구에 대한 긍정적 태도, 자신의 행동통제력 순서로 추구의도에 정적으로 기여하고 다시 의도는 추구결정에 정적인 기여를, 행동통제력은 추구결정에 부적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단계로, 디스트레스와 가족지지의 영향을 포함하고 합리적 행동계획인 의도(intention)와 함께 상황에 대한 반응으로서 자진 추구의사(willingness) 경로를 포함하여 확장한 모형을 탐색적으로 검토하였다. 확장모형의 경로분석에서 디스트레스와 가족 지지 각각은 도움추구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력에 상당한 수준으로 정적 영향을 주었다.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추구의도와 의사 각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행동통제력은 추구의사에 정적 영향을, 추구결정에는 부적 영향을, 그리고 의도는 추구결정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보였다. 행동통제력이 추구의사를 통해 추구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추구의사가 의도를 통해 추구결정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TPB 모형이 저소득층의 전문가 도움추구와 관련되는 개인 및 사회인지 요인들의 관계구조 파악에 유용함을 시사하였고, 특히 주관적 규범의 영향력을 통해 사회인지의 중요성이 함의되었다. 나아가 저소득층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는 확장모형의 필요성과 함께 행동통제력과 자진 추구의사가 시사하는 클라이언트의 자기의지의 중요성과 활용 등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낙인이 자살생각에 대한 도움요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군 병사를 대상으로 (Effects of Stigma on Help-Seeking Intentions for Suicidal Ideation: Focused on Korean Soldiers)

  • 김지인;권호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9-38
    • /
    • 2017
  • 자살 위험성이 있는 사람이 주변지지 체계에 도움요청을 하는 행위는 자살예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군 병사를 대상으로 자살생각에 대한 도움요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기제를 파악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총 471명의 한국 군 병사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이 자살생각과 도움요청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은 자살생각과 도움요청의도를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살생각은 낙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도움요청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낙인은 자기 낙인을 강화시킬 뿐 아니라 직접적으로 도움요청 의도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군 병사의 자살에 대한 도움요청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 모두를 감소시키는 자살예방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자살 사고를 가진 20-30대 성인의 도움요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intentions to seek help in Adults with Suicidal Ideation)

  • 김나리;권호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69-47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사고를 가진 20-30대 성인의 공식 및 비공식 도움요청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모집된 성인 215명으로, 이들은 자신의 자살 사고, 자기 은폐, 자살 낙인, 사회적 지지에 대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와 자살 낙인은 일반적인 도움요청의도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공식 및 비공식적 도움요청 의도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자살 낙인과 자기 은폐는 비공식적 도움요청 의도와만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 고위험군에서 자살에 대한 도움요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 증가 및 자기 은폐를 감소시키는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체중조절 앱에 대한 도움요청과 활용의지의 이해: 이성적 또는 감성적 타입에 따른 낙인효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Users' Help-Seeking Intention & Willingness to Use Weight Management Apps: Interaction Effects of Stigma Based on Thinking or Feeling AI Types)

  • 범설;권소연
    • 정보화정책
    • /
    • 제31권3호
    • /
    • pp.72-87
    • /
    • 2024
  •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피트니스 앱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였으며, 그 중 체중감량 앱 시장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의 심리적인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일반적인 동기부여 및 장기적인 참여 유도를 위한 디자인 요소 개발에 집중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중 낙인이라는 사용자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고려한 효과적인 디자인 요소로서 인공지능 유형을 제안하고자 설문 기반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앱에 대한 사용자 반응은 체중낙인 인식의 정도에 따라 다르며, 체중낙인 인식에 따라 선호하는 서비스의 인공지능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낙인을 겪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인공지능 유형을 활용해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공공 애플리케이션 설계 시, 사용자의 심리적 요구를 반영한 공감 기반 인공지능이 체중 낙인 사용자에게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