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oderating Effect of Help-See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in sports, Depression, and Intention to Sport Continuance among Female Athletes

여성선수의 운동부 내 폭력 피해경험과 우울, 운동지속의사의 관계에서 도움요청(Help-Seeking)의 완충효과

  • Kim, Jae Yop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 Lee, Jeen Suk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 Choi, Sun Ah (Kayang4 Social Welfare Center, Yonsei University)
  • 김재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이진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최선아 (연세대학교 가양4 종합사회복지관)
  • Received : 2011.10.31
  • Accepted : 2012.01.11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violence in sports on intention to sport continuance among female athletes and to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difference groups according to help-seeking.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study surveyed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10. The final subjects in the analysis were 345 female athletes who are belong to school athletic team, professional team, business team, and national te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and AMOS 10.0 for conducting multiple group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ose who were suffered by emotional violence were 62.4%; those who are damaged by physical violence were 28.6% amo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 case of intention to sport continuance, when measured by a rule of five, was average 3.15. 29.9% of the female athletes scored above the standard of depression. Second, depression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where violence in sports has effect on intention to sport continuance. Third, betwee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group on help-seeking among female athlet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is means that help-seeking has moderating effect within the path of violence in sports affecting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strong need for intervention for the both prevention and cure of the sports viol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eventive programs and coping strategies on female athletes' depression and intention to sport continuance.

본 연구는 여성 운동선수의 운동부 내 폭력 피해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도움요청 경험유무에 따라 운동부 내 폭력, 우울, 운동지속의사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 고등학교 및 대학의 운동부와 국가대표팀, 실업팀, 프로팀에 속해 있는 여성 운동선수 총 34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변수 간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도움요청의 완충효과 검증을 위해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운동부 내 폭력피해경험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증가하고 운동지속의사는 저감되며,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운동지속의사가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나 운동부 내 폭력피해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이 우울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다집단 분석을 통해 도움 요청을 하는 집단과 도움 요청이 없는 집단의 인과경로를 살펴본 결과, 도움요청을 하는 집단의 경우 운동부 내 폭력 피해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인과경로 상 도움요청이 없는 집단과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도움 요청이 운동부 내 폭력 피해와 우울의 경로에서 완충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운동부 내 폭력피해로 인한 운동중도탈락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