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lianthus annuu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6초

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의 항염 및 피부 개선 효과 연구 (Study on Effect of Skin Soothing by 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 소지민;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31-33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의 in vitro 시험 및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항염 효과와 피부 보습, 피지 분비, 피부 장벽기능 개선 및 피부 진정 등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In vitro 시험 결과, lipopolysaccharide로 염증 반응을 유도한 각질형성세포(cultured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에 H. annuus (Sunflower) seed oil을 처리하였을 때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IL-8, TNF-α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항염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H. annuus (Sunflower) seed oil을 함유한 시험제품을 제조하여 민감성 피부 대상으로 4 주간 인체적용시험한 결과, 피부 보습, 피지 분비, 피부 장벽이 개선되었으며, 피부 붉은기와 트러블이 개선되는 등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민감성 피부를 타겟으로 한 화장품 원료로서 H. annuus (Sunflower) seed oil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해바라기씨 추출물의 천식 완화 효과 (Water-extract of Helianthus annuus Seed Exhibits Potent Anti-asthma Activity In Vitro and In Vivo)

  • 허진철;박자영;우상욱;정신교;정규식;이진만;마진열;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95-500
    • /
    • 2006
  • 항산화물에 의한 천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DPPH, FRAP,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실험을 high throughput-compatible chemical assay로 디자인하여 해바라기씨 추출물에 적용하여 보았다. 해바라기씨 추출물의 용매에 따른 항산화 효과 중 $H_2O_2$에 의한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사멸을 DW추출물에서 강한 억제능력을 보였다. 이를 이용하여 마우스를 이용한 천식 동물모델에 적용하여 탁월한 천식 억제효과를 $CD4^+$세포, IL-4와 IL-13의 발현정도를 통해 알수 있었다. 해바라기씨 추출물은 천식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in vitro 및 in vivo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향일규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주요 성분 동시 정량분석 (Simultaneous Quantitative Analysis of Major Constituent of Ethanol Extract from Leaves of Helianthus annuus L.)

  • 김은남;전상용;정길생
    • 생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2-117
    • /
    • 2021
  • Helianthus annuus L. has been reported with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bacterial,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s. According to recent studies, H. annuus L. is known to contain components such as phenolic compounds, flavonoids, alkaloids, sesquiterpenoids, and lignans. The seeds of H. annuus L. have been reported to contain chlorogenic acid and di-O-caffeoylquinic acid as major components. However, studies on the main components and content of leaves of H. annuus L. are still incomplet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four major components of H. annuus L. were evaluated by simultaneous quantitative analysis with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diode array detector (DAD). The isolated four compounds Caffeoylquinic acid(CQA), 3,4-dicaffeoylquinic acid(3,4-DCQA), 3,5-dicaffeoylquinic acid(3,5-DCQA) and 4,5-dicaffeoylquinic acid(4,5-DCQA) were shown in a large linearity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R2) of 0.99.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tra-inter day analysis of four major compounds by the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the accuracy of 88.46% or more and less than 112.85% and excellent precision of less than 3% were shown, the content analysis showed CQA (0.383±0.018 mg/g), 3,4-DCQA (0.282±0.017 mg/g), 3,5-DCQA (1.109±0.068 mg/g), and 4,5-DCQA (0.673±0.020 mg/g).

식물경작장에서의 중금속 고축적종 식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의 정화 연구 (Phytoremediation on the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by Hyperaccumulators in the Greenhouse)

  • 박상헌;최상일;박종부;한하규;배세달;성일종;박응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5호
    • /
    • pp.1-8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mediation efficiency by Helianthus annuus, Brassica juncea and Brassica campestris on the soil contaminated with nickel, zinc and lead, respectively. The growth rates fell down under 60% in the condition of over 700 mg/kg of zinc for Brassica campestris, 300 mg/kg of lead for Helianthus annuus, and 150 mg/kg of nickel for Brassica juncea on the basi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he soil, because of its toxicity. Also, the hyperaccumulators showed the maximum heavy metal contents in their biomass after 90 days of cultivation. The accumulated heavy metal content per kilogram of hyperaccumulator was 0.65 mg of nickel in Brassica juncea, 0.14 mg of zinc in Brassica campestris, and 0.06 mg of lead in Helianthus annuus, respectively. Additionally, 73.2% of nickel accumulated in Brassica juncea and 95.1% of zinc accumulated in Brassica campestris were concentrated in the upper site of crop like stem and leaves. However, in the case of Helianthus annuus, 83.7% of lead was accumulated in the root.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해바라기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Stem Rot of Sunflower (Helianthus annuu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323-325
    • /
    • 2010
  • 2009년 9월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해바라기 재배포장에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되면서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모양으로 생기고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sim}8\;{\mu}m$이었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의 적정온도는 $30^{\circ}C$이었다. 균사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해바라기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해바라기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해바라기(향일규(向日葵), 향일화(向日花))의 어원(語源)에 대하여 (The origin of the word of sunflower)

  • 김종덕;고명희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55-66
    • /
    • 2001
  • According to the customary, naming is done after the subject is in existence. But the name's Hae-ba-ra-gi(해바라기), 향일규(向日葵), 향일화(向日花))' has been used as an alias of Hibiscus manihot L.(닥풀) long before Helianthus annuus L.(sunflower) was brought in to Korea. And now the usage of the name has been conversed since them. Since the incorrect record of '葵藿' and '葵花'as '해바라기' in ${\ulcorner}$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lrcorner}$(1920), the mistake has been carried on this must be corrected from now on. Incorrect record of hollyhock(蜀葵花) '해바라기' in ${\ulcorner}$몽유(蒙喩))${\lrcorner}$(1810) took a role in this incorrect trend.

  • PDF

식품소재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천식 완화용 물질의 초고속스크리닝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High Throughput Screening Techniques Using Food-borne Library against Anti-asthma Agents)

  • 허진철;박자영;권택규;정신교;김성욱;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7-274
    • /
    • 2005
  • 천식과 관련하여 산화스트레스 (Oxidant stress)는 그 발병요인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산물과 한약재를 이용하여 항산화 물질을 찾고자 하였으며, 시간과 비용의 단축을 위하여 HTS인 throughput screening)을 이용을 하였다. 항산화 실험과 관련하여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FRAP(ferr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 HO(hydroxyl radical) 소거,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활성 등을 시행하였다. 이후 $H_{2}O_2$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이용한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세포생존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결과 해바라기씨(Helianthus annuus), 신선초(Angelica utilis Makino), 시금치(Rehmannia glutinosa Libo) 등이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기에서 나온 hit를 이용하여 동물모델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해바라기씨 추출물 함유 음료의 저장기간 중 품질 특성 분석 (Analysis of Quality Change during Preservation by a Prototype Drink Containing a Helianthus annuus Seed Extract)

  • 이진만;강복희;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9-303
    • /
    • 2009
  • 천식 완화용 음료의 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한 바, pH의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3.50에서 3.65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저장 초기값이 저장 25일째 측정한 값과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는 L값, a, b값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저장 온도가 $40^{\circ}C$에서 저장한 경우 그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의 변화에서는 저장에 따른 음료의 관능적 특성의 변화는 $10^{\circ}C$에서 저장한 경우는 약 25일간의 저장기간 동안 $4^{\circ}C$에서 저장한 대조구에 비하여 기호도 점수가 약간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전반적인 기호도면에 있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0^{\circ}C$ 이상에서 25일 이상 저장할 경우에는 기호도면에서 상품가치의 하락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생물학적 안전성 검증에서는 저장기간 중의 모든 시료에 대해 검출되지 않아 미생물학적으로 저장 중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볼 때, 본 천식 완화용 음료의 저장기간 중 품질 변화에서 유통기간 중 $40^{\circ}C$ 이상의 온도에 민감함을 알 수 있었다.

구리 내성 식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pper Tolerance of Herbaceous Plants)

  • 김성현;이인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1호
    • /
    • pp.43-47
    • /
    • 2004
  • 본 연구는 구리 내성을 가진 식물을 선별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피, 알팔파, 닭의장풀, 해바라기, 옥수수, 어저귀 등 6종 유식물의 토양 내 구리 농도별 생장율 및 구리 제거율 등을 조사하였다. 대조구 및 50, 100, 200, 300 ㎎-CuCl₂/㎏ 의 토양에 각 식물의 종자를 심어 14일 후 수거하여 발아율, 유식물의 생장 및 생체량, 구리 축적 및 제거력 등을 관찰하였다. 구리 농도에 따른 발아율 저해가 나타나지 않은 식물로는 피, 해바라기, 닭의장풀 등이었다. 그러나 해바라기의 경우 300 ㎎-CuCl₂/㎏ 에서 유식물의 뿌리 및 지상부의 생장율이 대조구의 약 7% 수준으로 큰 저해를 받았으며 생체량도 대조구의 약 35%에 불과해 구리에 의한 생체량 저해가 가장 심한 종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피와 닭의장풀은 고농도의 구리 오염 토양에서도 생장률이 높아 구리에 대한 내성이 가장 뛰어난 식물로 나타났다. 특히 피의 경우, 토양 내 구리 제거율이 30% 이상이었으며, 토양 내 구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축적량이 꾸준히 증가하여 300 ㎎-CuCl₂/㎏ 에서 ㎏당 약 1020㎎의 Cu를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나 phytoremediation에 사용될 가능성 있는 종으로 사료된다.

고려인삼의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Small Subunit(rbcS) 유전자의 분리 및 특성분석 (Molecular Cloning of a cDNA Encoding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Small Subunit (rbcS)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 인준교;이범수;윤재호;손화;이태후;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74-381
    • /
    • 2005
  • 고려 인삼(Panax ginseng)의 뿌리로부터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small subunit(rbcS) 유전자를 선발하여 sequence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려 인삼 rbcS cDNA는 790 bp 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183개의 아미노산(pI 8.37)을 코드하는 549 bp의 ORF를 가지고 있고 단백질의 분자량은 20.5 kDa으로 추정되었다. 인삼 rbcS는 기존에 보고된 것과 유사성을 나타내었으며, Helianthus annuus(CAA68490)에서 분리된 것과 $78\%$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다른 식물체로부터 분리된 rbcS와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한 결과 인삼의 ybcS는 H. annuus (CAA68490), C. morifolium (AAO25119), L. sativa (Q40250)와 밀접한 유연관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